총 339개
-
성인간호학실습 마취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2025.01.161. 전신마취 관련 사용 약물 전신마취 유도 및 유지를 위해 byfavo (Remimamazolam), Remiva inj (Remifentanyl), alfentanyl, Esmeron 등의 약물이 사용되었다. 마취 유지를 위해 sevoflurane 흡입마취제와 Remifentanil이 사용되었다. 2. 마취 중 monitoring 마취 중 EKG, NBP, sPO2, 뇌파감시장치 등을 통해 환자의 생체징후를 모니터링하였다. 마취 유지 시 뇌파감시장치를 통해 마취 깊이를 40-60 사이로 유지하였다. 3. 마취 전 preparat...2025.01.16
-
산소포화도 및 심전도 측정 시나리오(선행지식 포함)2025.01.201. 산소포화도 측정 산소포화도는 혈액 중 산화된 헤모글로빈의 양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정상범위는 95-100%입니다. 산소포화도 측정은 손가락에 센서를 부착하여 실시하며, 혈액순환을 잘 측정하기 위해 팔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센서에 강한 외부 빛이 비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2. 심전도 측정 심전도 모니터링은 심장 기능 문제나 상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전극을 오른쪽 쇄골 아래, 왼쪽 쇄골 아래, 왼쪽 5번째 늑간 중심 액와선에 부착하며, 부착 부위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여 교류에 의한 전류 방해로 인한 오...2025.01.20
-
A+ 지주막하출혈케이스 입니다.2025.01.131. 지주막하출혈 지주막하출혈은 뇌 동맥류의 파열에 의한 것이 전체의 65%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은 원인이다. 지주막하출혈은 크게 자발성 출혈과 외상성 출혈로 나눌 수 있는데, 자발성 출혈은 비정상적인 동맥이나 정맥이 파열되어 혈액이 지주막 아래의 공간이나 뇌실로 유입된 상태를 말한다. 외상성은 넘어지거나 머리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흔히 발생한다. 지주막하출혈로 인해 생성된 혈액 부산물이 심각한 지연효과를 일으키게 되는데, 가장 심각한 것은 혈관경련이다. 지주막하출혈의 진단은 신경학적 검사, 영상 검사, 신경생리학적 검사 등을...2025.01.13
-
복강경 담낭절제술 보고서2025.01.031. 담낭절제술 담낭은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저장하고 분비하는 기관이다. 담낭 결석은 담즙 성분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며, 증상이 있는 경우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이 수술은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수술 후 통증과 회복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2. 마취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전신마취 하에 진행된다. 마취제로는 울티안, 프로포폴, 리도카인, 로쿠로늄, 브레비블록, 브리턴 등이 사용되며, 각 약물의 효능과 부작용을 숙지해야 한다. 3. 회복실 관리 수술 후 환자는 회복실에서 마취에서 깨어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2025.01.03
-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2025.04.291.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의 적응증, 용량 및 주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피네프린, 아데노코, 아미오다론, 도파민, 도부타민,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베라파밀, 노르에피네프린, 아트로핀, 리도카인, 황산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 칼슘 등의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Emergency Kit 장비와 기구 응급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장비와 기구들의 목적, 작동 원리, 관리 및 사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모니터, 제세동기, 산소 공급기, Ambu ...2025.04.29
-
복강경 좌측간절제술 수술실 케이스스터디2025.01.291. 복강경 좌측간절제술 복강경 좌측간절제술은 간내담석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되는 수술로, 수술 전 환자 평가, 수술 준비, 수술 과정, 회복 과정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수술 전 환자의 상태 확인, 마취 준비, 수술 중 간 절제 및 출혈 관리, 수술 후 회복실 관리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간내담석 이 환자는 간내담석을 가지고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 복강경 좌측간절제술을 받았습니다. 간내담석은 간 내부에 생기는 담석으로,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3. 마취 관리 수술 전 마취 준비 과정이 자세히 설명되어...2025.01.29
-
기본간호학실습 - 핵심술기 활력징후 실습 대본2025.05.101. 미생물 전파 방지 실습 시 손 씻기, 체온계와 청진기 소독 등을 통해 미생물 전파를 방지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체온 측정 고막 체온계와 전자 체온계를 사용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3. 맥박 및 호흡 측정 요골동맥을 촉진하여 맥박을 측정하고, 호흡 수를 관찰하는 방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4. 혈압 측정 상완동맥을 촉진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5. 간호사-환자 상호작용 간호사가 환자에게 자신을 소개하고, 활력징후 측정 목적과 절차를 설명하는 등 환자와의 상호작용...2025.05.10
-
수술실, 마취실 실습 필수 이론2025.01.141. 전신마취 전신마취는 혈관이나 기도로 약물을 투입하여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일시적으로 온몸의 감각과 의식을 저하 또는 소실시키는 것으로, 수술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 근이완제를 함께 사용한다. 환자의 연령과 체격, 수술 내용 등에 따라 마취과 전문의가 적절한 종류와 양의 마취약을 선택해 투여 및 조절한다. 자발적인 호흡이 억제되는 수술동안 기도삽관을 통해 안전하게 기도를 확보해 보조 호흡과 인공 호흡을 시행하며, 수술 및 검사 시간 동안 환자의 의식을 완전히 없애 통증과 기억을 제거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전신마취에는 흡입마...2025.01.14
-
마취전환자평가 회복시의 환자관리2025.04.291. 마취전환자평가 마취전환자평가는 수술 전에 환자가 최상의 상태에 있도록 하고 수술 전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적절히 대비하게 하여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수술 전 환자를 만나 정보를 수집하고 신체상태를 평가하여 마취계획을 세우고 환자에게 설명함으로써 환자의 불안감을 없앱니다. 진료기록 검토, 신체검사, 필요시 병리검사와 영상진단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2. 회복시의 환자관리 수술 후 회복 중 환자의 상태를 감시하고 치료하기 위해 마취 후 관리실을 운영합니...2025.04.29
-
EKG, 환자 모니터, 제세동기 사용법2025.05.131. EKG 사용법 EKG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환자 침상의 전자기기를 치우고 침상 콘센트 전원을 끄는 것으로 시작하여, 기계 전원 켜기, 흉부 전극 부착, 리듬 확인 및 출력 등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환자 모니터 사용법 환자 모니터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모니터 전원 켜기, 산소포화도 측정, 혈압 측정, EKG 리듬 출력, 알람 끄기 등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제세동기 사용법 제세동기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단상성 제세동과 양상성 제세동의 차이, 적응증, 사용 순서 등을 자세히 설...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