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실, 마취실 실습 필수 이론
본 내용은
"
수술실, 마취실 실습 필수 이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5.04
문서 내 토픽
-
1. 전신마취전신마취는 혈관이나 기도로 약물을 투입하여 중추신경을 억제하여 일시적으로 온몸의 감각과 의식을 저하 또는 소실시키는 것으로, 수술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 근이완제를 함께 사용한다. 환자의 연령과 체격, 수술 내용 등에 따라 마취과 전문의가 적절한 종류와 양의 마취약을 선택해 투여 및 조절한다. 자발적인 호흡이 억제되는 수술동안 기도삽관을 통해 안전하게 기도를 확보해 보조 호흡과 인공 호흡을 시행하며, 수술 및 검사 시간 동안 환자의 의식을 완전히 없애 통증과 기억을 제거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전신마취에는 흡입마취와 정맥마취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전신마취 후 간호에는 저체온 예방, 배액장치 확인, 통증 조절, 호흡 증진, 금식 시간 유지, 자가 배뇨 확인 등이 포함된다.
-
2. 척추마취척추마취는 거미막하강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척추에서 나오는 전근 및 후근을 마비시키는 국소마취 방법이다. 요추 3-4번 사이 혹은 4-5번 사이로 바늘을 주입하여 척수강 내로 국소마취제를 투여한다. 전신마취보다 심장과 폐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하복부, 회음부, 항문, 하지 수술에 많이 이용된다. 척추마취는 의식이 있고 호흡계에 자극이 없이 유지되며, 적절히 시행된다면 이완과 마취가 잘 된다. 그러나 하지에 운동마비와 순환 억압 효과, 체위 변경 시 혈압 하강, 약물 민감성, 외상 및 감염 위험 등의 단점이 있다. 척추마취 후 간호에는 배액장치 확인, 통증 조절, 두통 관리, 감각 마비 관리, 자가 배뇨 확인 등이 포함된다.
-
3. 수술 전 마취 간호수술 전 마취 간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1) 입원 시 수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가약 복용 여부 확인, 2) Pre medication 확인, 3) 처방에 따른 Bowel prep 시간과 방법 확인, 4) 수술 부위에 맞는 피부 준비 시행, 5) 정맥주사 확인 및 준비, 6) 수술 동의서 확인, 7) 금식 시간 확인, 8) 수술 부위 표식 확인, 9) 전신마취 수술 환자에게 Inspirometer 사용법 교육, 10) 처방에 따른 약물 투여, 11) 수술 전 속옷탈의, 금속, 매니큐어 등 제거 확인.
-
4. 수술 중 마취 과정수술 중 마취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1) 의료진 time out 시행: 마취의사 주도 하에 집도의, 보조의, 순환 및 마취간호사가 함께 수술부위, 수술명, 환자 확인 후 동의 확인. 2) Anesth start: 마취유도 시 100% 전 산소화 실시, 마취약물 및 보조약물 투여. 3) 환자 깨우기: 집도의의 요청에 따라 마취간호사가 근이완제 역전제 투여, 마취의가 환자 깨우기 유도.
-
5. 회복실 간호회복실 간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1) 수술팀으로부터 환자 상태 인계 받기, 2) 모니터링(O2, pulse oxymeter, EKG, NIBP 등) 시행, 3) 수술 부위 출혈 및 각종 catheter, tube, drain 상태 확인, 4) 의식 상태, 활력징후 10분 간격 지속 관찰, 5) 심호흡 및 기침 격려, 6) 마취 회복 점수표에 의한 평가 후 병동 이송, 7) 병실 간호사에게 환자 상태 인계.
-
6. 수술 후 간호수술 후 간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1) 처방에 따른 활력징후 측정, 2) 마취 방법에 따른 자세 유지 교육(전신마취 시 상체 세우기, 척추마취 시 머리 들지 않기), 3) PCA 사용법 및 부작용 교육, 4) 기침, 심호흡 방법 교육, 5) 수술 부위 및 배액관 관찰, 6) 처방에 따른 식이 진행, 수액/약물 투여, 7) 유치도뇨관 관리 및 자가 배뇨 교육.
-
7. GCS (Glasgow Coma Scale)GCS(Glasgow Coma Scale)는 환자의 의식손상 정도를 사정하는 표준화된 도구로, 눈뜨기 반응(E), 언어 반응(V), 운동 반응(M)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각 항목별로 1-5점 또는 1-6점으로 점수를 매기며, 총점 3-15점으로 평가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의식 수준이 양호하며, 3점은 혼수 상태를 의미한다.
-
1. 전신마취전신마취는 수술 및 시술 시 환자의 의식을 완전히 억제하여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마취 방법입니다. 전신마취는 수술 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하고, 마취 약물의 투여량과 투여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마취 의사는 수술 중 환자의 생체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안전한 마취 관리를 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전신마취는 수술 및 시술 시 필수적인 마취 방법이지만,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2. 척추마취척추마취는 척추 주변에 국소 마취제를 주입하여 하복부, 하지 등의 특정 부위의 감각과 운동 기능을 차단하는 마취 방법입니다. 척추마취는 전신마취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시술 과정에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척추마취 시 숙련된 마취 의사가 시술을 해야 하며, 시술 전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척추마취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척추마취는 적절한 적응증과 숙련된 시술자가 있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마취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3. 수술 전 마취 간호수술 전 마취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취 간호사는 수술 전 환자의 병력, 검사 결과, 투약 내역 등을 확인하고 마취 의사와 협력하여 마취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환자 교육과 상담을 실시해야 합니다. 수술 전 환자의 생체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처치를 제공하는 것도 마취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이를 통해 마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전 마취 간호는 환자 안전과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간호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수술 중 마취 과정수술 중 마취 과정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마취 의사는 수술 중 환자의 생체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마취 깊이를 적절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마취 간호사는 마취 의사와 협력하여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처치를 신속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수술 중 마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마취 의사와 간호사의 전문성, 팀워크,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5. 회복실 간호수술 후 회복실 간호는 마취에서 깨어나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회복실 간호사는 환자의 생체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증 관리, 출혈 관리, 호흡 관리 등 필요한 처치를 신속하게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의식 수준을 면밀히 관찰하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회복실 간호사는 마취 의사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환자의 상태를 공유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해야 합니다. 회복실 간호는 수술 후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간호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수술 후 간호수술 후 간호는 수술 후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술 후 간호사는 환자의 생체 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통증 관리, 출혈 관리, 감염 예방 등 필요한 처치를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의 회복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수술 후 간호사는 의사, 물리치료사 등 다른 의료진과 협력하여 환자의 회복을 돕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필요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해야 합니다. 수술 후 간호는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간호 활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7. GCS (Glasgow Coma Scale)GCS(Glasgow Coma Scale)는 의식 수준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도구로, 환자의 의식 상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GCS는 눈 개안, 언어, 운동 반응의 3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환자의 의식 수준을 평가합니다. GCS 점수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GCS 점수 변화를 통해 환자의 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CS는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의식 수준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 실습 수술실!! 소감문1. 수술실 실습 실습생으로서 수술실 실습을 하면서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수술실은 멸균 유지가 가장 중요하며, 수술 준비와 진행 과정에서 간호사의 꼼꼼함과 정확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배웠다. 또한 마취과 의사와 협력하여 환자 관리를 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번 실습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앞으로 더 열심히 ...2025.01.27 · 의학/약학
-
성인간호 실습 소감문1. 수술실 실습 실습생으로서 수술실 실습을 하면서 수술 장면을 잘 견딜 수 있을지 걱정했지만, 수술실이라는 특수 파트를 경험해볼 수 있어 기대되기도 했다. 병원에서 제공한 OT 교육과 수술실 교육으로 첫날부터 큰 어려움 없이 수술실에 적응할 수 있었다. 또한 매일 실습 전 수술 스케줄과 간략한 수술 정보를 제공받아 수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숙지할 수 ...2025.04.25 · 의학/약학
-
수술실 병동 현황 보고서1. 수술실(OR) 실습 수술실(OR)은 실습 단위로 소개되었습니다. 실습 학생들은 간호사(소독 간호사, 마취 간호사, 순환 간호사 등), 의사, 보조원 등의 인력 배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주요 업무는 수술 전 준비, 수술 중 보조, 수술 후 뒷정리 등입니다. 2. 주요 질환 보고서에는 급성 담낭염, 전립선 비대증, 안와골절, 급성 충수염, 비...2025.05.03 · 의학/약학
-
폐암으로 인한 폐엽절제술(Wedge Resection of lung) 성인간호학 실습 수술실 케이스 a+ 100점 자료1. 폐암 폐암은 일반적으로 원발성 폐암을 의미하며, 조직형에 따라 크게 소세포 폐암(small cell lung cancer)과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로 구분된다. 폐암의 발병에는 여러 요인이 관여하지만 그중 흡연이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소세포암의 경우 발견 당시 전이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더 나쁘다....2025.01.29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수술실 실습 케이스(THRA) 19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 ⅢCase studyTHRA-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과 목 명실습기관실습병동실습일자담당교수님제 출 일제출자C. 수술실 사례연구환자성명김00연령/성별F/74진료과/병동OS수술날짜23/02/06의학적진단명Fracture of neck of femur. RT수술명THRA. RT1. 수술 전 준비사항확인*의식수준 Alert: √ Drowsy: Stupor: Semicoma: Coma:확인 check listYesNo기타1) 수술 서약서√수술동의서(인공고관절전치환술 동의서) (+)PCA ...2024.01.26· 19페이지 -
성인간호학 사례보고서 CASESTUDY (수술실 실습) 대장암 Right hemicolectomy (수술부위 감염의 위험, 수술 중 저체온의 위험, 비효과적 호흡 양상, 상해의 위험, 낙상의 위험, 불안) 19페이지
성인건강간호학실습1간호과정 사례보고서-Right hemicolectomy-(Malignant neoplasm of ascending colon)이름학번담당교수실습지000병원 수술실(OR)실습날짜제출일■ 목차 및 내용1. Assessment ---------------------------------------------------------------- 2pg2. 수술실 사례보고서 ------------------------------------------------- 2pg① 수술 전 간호 ----------------------...2024.02.03· 19페이지 -
A+ 성인간호학 담낭절제술 CASE STUDY 사례보고서 Cholecystectomy 수술실 실습보고서 23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3 case study담낭절제술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담당교수님이름학번제출일목차Ⅰ 서론Ⅱ 문헌고찰Ⅲ 간호과정1) 간호사정2) 간호과정 적용Ⅳ 참고문헌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담석증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흔한 임상질환의 하나이며 국내에서도 지방 섭취가 많은 식생활의 변화와 더불어 증가 추세에 있다. 담낭염은 담석이 담즙관에 완전히 걸려 담낭에 염증이 생기거나 두껍게 되는 것이다. 담낭염에 기인한 통증은 대개 사라지지 않으며 종종 열을 동반한다. 담낭염은 심각한 질환 중 하나이며 병원의 응급 치료가 필요하다.담낭은 담석의 생성 ...2023.01.25· 23페이지 -
마취후 회복실 PACU 간호 사정, 수술실 기록지 및 간호 진단 3페이지
실습부서실습기간학번 · 이름간호 정보 조사지입원일시:입원경로: ? 외래 ○ 응급실 ○ 기타입원방법: ? 도보 ○ 휠체어 ○ 이동 침대 ○ 기타성명: 이○○ 나이: 69.07 성별: M진단명: R/0 GB Cancer, Type 2 DM입원동기: 최근 시행한 초음파상 r/o GB polyp & mass(3.8X2.3cm) 소견 보여 수술 위해 입원함.과거병력: ○ 없음 ? 있음 (□ 고혈압(3년전) ▣ 당뇨 □ 간염 ▣ 기타: 2009년 허리디스크 수술)입원 유무: ? 유 ○ 무 수술 유무: ? 유 ○ 무환자 혈액형: ? A+ ○ B...2020.09.20· 3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수술전, 후간호) -담낭절제술(불안, 급성통증), 갑상선절제술(불안, 감염위험성) 25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성인간호학실습Ⅰ-■ 실습기관 : ○○병원 수술실■ 실습기간 : -■ 제출일자 : -■ 지도 교원 : ○ ○ ○ 교수님■ ○○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A 반 13번■ 성 명 : ○ ○ ○목 차Ⅰ. 관찰한 수술실 및 마취회복실 환경3Ⅱ. 수술 대상자 현황표 및 마취회복실 입실환자 현황표4Ⅲ. 수술환자 사례 연구①5~15(1) 일반적 배경5~6(2) 진단을 위한 계획 및 결과6~9(3) 치료를 위한 계획 및 결과10~15Ⅲ. 수술환자 사례 연구②15~26(1) 일반적 배경15~16(2) 진단을 위한 계획 및 결과16~19(...2020.11.19· 2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