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마취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마취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2
문서 내 토픽
  • 1. 전신마취 관련 사용 약물
    전신마취 유도 및 유지를 위해 byfavo (Remimamazolam), Remiva inj (Remifentanyl), alfentanyl, Esmeron 등의 약물이 사용되었다. 마취 유지를 위해 sevoflurane 흡입마취제와 Remifentanil이 사용되었다.
  • 2. 마취 중 monitoring
    마취 중 EKG, NBP, sPO2, 뇌파감시장치 등을 통해 환자의 생체징후를 모니터링하였다. 마취 유지 시 뇌파감시장치를 통해 마취 깊이를 40-60 사이로 유지하였다.
  • 3. 마취 전 preparation
    마취 전 환자 확인, 동의서 확인, NPO 여부, 혈액형 확인, 치아 상태 확인, 예방적 항생제 투여, 장신구 제거 등의 준비 과정을 거쳤다.
  • 4. 마취 유도 및 유지
    마취 유도 시 byfavo, Remiva inj, alfentanyl, Esmeron 등의 약물을 투여하였고, 마취 유지 시 FiO2 0.5%, sevoflurane 2%, Remifentanil 등을 사용하였다.
  • 5. 마취에서 회복
    수술 종료 후 근이완제 길항제인 bresis를 투여하여 신경근 회복을 도왔다. 구토물 제거를 위해 suction을 시행한 후 extubation을 실시하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신마취 관련 사용 약물
    전신마취 시 사용되는 약물은 마취 유도, 유지, 회복 등 마취 과정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취 유도 시에는 프로포폴, 바르비투레이트, 벤조디아제핀 등의 정맥마취제가 사용되며, 마취 유지를 위해서는 흡입마취제와 근이완제가 사용됩니다. 또한 마취에서의 회복을 돕기 위해 역전제와 진통제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마취 관련 약물들은 환자의 상태와 수술 내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투여량이 조절되어야 합니다. 마취과 의사는 이러한 약물들의 작용 기전, 부작용, 상호작용 등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약물을 투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마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2. 마취 중 monitoring
    마취 중 환자의 생체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마취 중 모니터링에는 심전도, 혈압, 맥박, 체온, 호흡 등 다양한 생체징후가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마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압 저하나 서맥이 발생하면 이를 신속히 파악하고 수액 공급, 승압제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흡 저하나 저산소증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기계 환기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마취 중 모니터링은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며, 마취과 의사는 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 3. 마취 전 preparation
    마취 전 환자에 대한 철저한 준비는 마취 과정에서의 안전과 효과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마취 전 준비에는 환자의 병력 청취, 신체 검진, 필요한 검사 시행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기저 질환, 약물 복용력, 과거 마취 경험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식 여부, 기도 평가, 수술 부위 확인 등도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준비 과정을 통해 마취과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마취 방법과 약물 투여량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취 과정에서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마취 전 준비는 마취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마취 유도 및 유지
    마취 유도와 유지는 마취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마취 유도 시에는 정맥마취제나 흡입마취제를 사용하여 의식 소실과 근이완을 유발합니다. 이때 환자의 상태와 수술 내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투여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마취 유지 단계에서는 흡입마취제와 근이완제를 사용하여 마취 상태를 지속시킵니다. 이때에도 환자의 생체징후를 면밀히 관찰하며 약물 투여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마취 유도와 유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 서맥, 호흡 저하 등의 부작용을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취과 의사는 이러한 마취 유도와 유지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숙련된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 5. 마취에서 회복
    마취에서의 회복 과정은 마취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마취에서 깨어나는 회복 단계에서는 환자의 의식 수준, 호흡, 혈역학적 상태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마취로 인한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진통제, 역전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환자의 통증을 관리하고 마취에서의 회복을 돕습니다. 마취에서의 회복 과정은 환자의 안전과 쾌적한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마취과 의사는 이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숙련된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