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실습 마취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마취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2
문서 내 토픽
-
1. 전신마취 관련 사용 약물전신마취 유도 및 유지를 위해 byfavo (Remimamazolam), Remiva inj (Remifentanyl), alfentanyl, Esmeron 등의 약물이 사용되었다. 마취 유지를 위해 sevoflurane 흡입마취제와 Remifentanil이 사용되었다.
-
2. 마취 중 monitoring마취 중 EKG, NBP, sPO2, 뇌파감시장치 등을 통해 환자의 생체징후를 모니터링하였다. 마취 유지 시 뇌파감시장치를 통해 마취 깊이를 40-60 사이로 유지하였다.
-
3. 마취 전 preparation마취 전 환자 확인, 동의서 확인, NPO 여부, 혈액형 확인, 치아 상태 확인, 예방적 항생제 투여, 장신구 제거 등의 준비 과정을 거쳤다.
-
4. 마취 유도 및 유지마취 유도 시 byfavo, Remiva inj, alfentanyl, Esmeron 등의 약물을 투여하였고, 마취 유지 시 FiO2 0.5%, sevoflurane 2%, Remifentanil 등을 사용하였다.
-
5. 마취에서 회복수술 종료 후 근이완제 길항제인 bresis를 투여하여 신경근 회복을 도왔다. 구토물 제거를 위해 suction을 시행한 후 extubation을 실시하였다.
-
1. 전신마취 관련 사용 약물전신마취 시 사용되는 약물은 마취 유도, 유지, 회복 등 마취 과정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취 유도 시에는 프로포폴, 바르비투레이트, 벤조디아제핀 등의 정맥마취제가 사용되며, 마취 유지를 위해서는 흡입마취제와 근이완제가 사용됩니다. 또한 마취에서의 회복을 돕기 위해 역전제와 진통제 등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마취 관련 약물들은 환자의 상태와 수술 내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고 투여량이 조절되어야 합니다. 마취과 의사는 이러한 약물들의 작용 기전, 부작용, 상호작용 등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약물을 투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마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2. 마취 중 monitoring마취 중 환자의 생체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마취 중 모니터링에는 심전도, 혈압, 맥박, 체온, 호흡 등 다양한 생체징후가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마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압 저하나 서맥이 발생하면 이를 신속히 파악하고 수액 공급, 승압제 투여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흡 저하나 저산소증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기계 환기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마취 중 모니터링은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며, 마취과 의사는 이를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
3. 마취 전 preparation마취 전 환자에 대한 철저한 준비는 마취 과정에서의 안전과 효과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마취 전 준비에는 환자의 병력 청취, 신체 검진, 필요한 검사 시행 등이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기저 질환, 약물 복용력, 과거 마취 경험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식 여부, 기도 평가, 수술 부위 확인 등도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준비 과정을 통해 마취과 의사는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마취 방법과 약물 투여량을 적절히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마취 과정에서의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마취 전 준비는 마취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마취 유도 및 유지마취 유도와 유지는 마취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마취 유도 시에는 정맥마취제나 흡입마취제를 사용하여 의식 소실과 근이완을 유발합니다. 이때 환자의 상태와 수술 내용을 고려하여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투여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마취 유지 단계에서는 흡입마취제와 근이완제를 사용하여 마취 상태를 지속시킵니다. 이때에도 환자의 생체징후를 면밀히 관찰하며 약물 투여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마취 유도와 유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 서맥, 호흡 저하 등의 부작용을 신속히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취과 의사는 이러한 마취 유도와 유지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숙련된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
5. 마취에서 회복마취에서의 회복 과정은 마취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마취에서 깨어나는 회복 단계에서는 환자의 의식 수준, 호흡, 혈역학적 상태 등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마취로 인한 부작용이나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진통제, 역전제 등의 약물을 투여하여 환자의 통증을 관리하고 마취에서의 회복을 돕습니다. 마취에서의 회복 과정은 환자의 안전과 쾌적한 회복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마취과 의사는 이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숙련된 기술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
담관염 cholangitis case study (A+) 24페이지
성 인 간 호 학 실습 4case study: cholangitis학과---대학교 간호학과실습지--대학교병원 56W(소화기내과)실습담당교수님--- 교수님이름000실습일23.3.30~23.4.10목차-서론연구의 필요성-본론1)문헌고찰2)간호사정3)간호진단-결론-참고문헌1.서론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담도계는 담잡이 간에서 장으로 배설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담즙의 흐름을 조절한다.담낭에서 농축된 담즙은 담관을 통하여 방출되어 총담관으로 흐르는데 담관에 결석이 막혀 방출되지 못할 경우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담관염은 담즙관의 염증 상태를...2024.04.17· 24페이지 -
[성인간호학] 소화기내과 case study - 간농양 (Abscess of liver) - 간호진단 2개(영양불균형, 급성통증), 중재 각 진단 당 9개 이상, 이론적 근거 포함 22페이지
2021-1 성인간호학Ⅱ 소화기내과 실습case study : Abscess of liver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Ⅱ실습장소OO병원 소화기내과 병동담당 교수님OOO 교수님학번이름제출일2000. 00. 00.목차Ⅰ. 서론1. 사례 선정의 의의2. 대상자의 기본 정보3. 입원과 관련된 자료Ⅱ. 본론1. 문헌고찰2.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목표, 중재 및 평가Ⅲ. 결론1. 환자상태 및 추후 계획2. 느낀 점Ⅳ. 참고문헌Ⅰ. 서론1. 사례 선정의 의의소화기 내과 병동이었던 OOOO병원 OO병동에서 실습하면서 다양한 질환을 가진 환자분...2023.12.27· 22페이지 -
A+ 수술실 케이스 31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Ⅳ 케이스 스터디 과목명 성인간호학실습Ⅳ 담당교수 제출일 학번 이름 Case study 양식 실습지 ㅇㅇ병원 OR 실습기간 10/4~10/7 학번 이름 A. 수술환자 기본사항 이름: 오OO 성별: 여 연령: 51 진료과: GS Diagnosis: GB stone with unspecified or without cholecystitis, without mention of obstruction History 입원동기: 건강검진 시 UA상 hematuria 지속적으로 있어 L/C에서 CT F/U 후 R/O cholecyst...2024.09.23· 31페이지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방광암(Bladder Tumor) Case Study (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 19페이지
성인간호학Ⅲ Case study방광암Bladder Tumor과목명교수님성함실습장소실습기간제출인제출날짜목 차Ⅰ. 서 론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B. 연구대상 및 방법Ⅱ. 본 론A. 문헌고찰1. 방광의 정의2. 방광의 구조3. 방광의 기능4. 방광암 (bladder tumor)5. 경요도 방광암 절제술 (TURBT)B. 간호과정1. 간호사정1) 일반정보2) PACU 기록지3) V/S4) PAR score5) 투약6) 약물7) 간호기록2. 간호진단3. 간호계획4. 간호수행5. 간호평가Ⅲ. 결론[참고문헌]Ⅰ. 서론A. 연구의 필요성20*...2024.01.18· 19페이지 -
[A+자료] 외과 수술환자Case Study. 대장암케이스. 통증간호. 비효율적호흡양상. 폐울혈. 감염위험성. 성인간호학실습.성인간호케이스.수술환자케이스 12페이지
1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외과 Case study수술 후 간호. 수술환자 케이스스터디 Report목차Ⅰ.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1. 건강력 (Health history)2. 신체검진3. 진단적 검사(diagnostic tests)4. 약물치료Ⅱ. 간호문제Ⅲ. 간호진단Ⅳ. 간호과정Ⅴ. 퇴원 후 간호계획Ⅵ. 참고문헌Ⅰ.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1. 건강력 (Health history)(1) 일반정보 (General Information)대상자: OOO. 70세. F.결혼상태(기혼)....2021.02.12·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