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258개
-
VRE 간호2025.01.151.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감염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 VRE)에 의한 감염을 의미합니다. 장알균(Enterococcus)은 주로 위장관과 비뇨생식기계에 존재하는 균으로, 노인이나 면역 저하 환자, 만성 기저질환자 또는 병원 입원 환자에게 감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1980년대 이후 항생제 사용 증가로 인해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이 병원 내 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감염 증상은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며, 진단을 위해 균 배양...2025.01.15
-
병원미생물학 시험대비 요약정리2025.01.161. Vibrio cholerae (콜레라균) 콜레라균은 전염속도가 빠르고 분변으로 수원을 오염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콜레라균은 제1군 법정감염병으로 식중독, 다량의 쌀뜨물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치료는 수분과 전해질 보충이 필요합니다. 2. V. parahaemolyticus (장염비브리오균) 장염비브리오균은 어패류를 덜 익혀 먹었을 때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V. vulnificus (폐혈증비브리오균) 폐혈증비브리오균은 가장 심각한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균이 혈액 안에 있으면 패혈증...2025.01.16
-
[미생물] 세균감염과 병원의료체계(요로감염을 중심으로)2025.05.111. 병원감염관리체계 병원감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4가지 구성요소로는 감염발생감시, 감염관리를 위한 정책과 규정, 감염관리를 위한 조직과 인적자원이 중요하다. 효과적인 감염관리체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 3가지 요소가 모두 구비되어야 하며, 하나라도 미비되면 감염 감소를 기대할 수 없다. 2. 세균 세균은 생명 생물체 중 가장 미세하고 가장 하등에 속하는 단세포 생활체로, 다른 생물체에 기생하여 병을 일으킨다. 구조는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없이 세포막과 원형질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 모양, 막대 모양, 나선 모양 등의 다양한 ...2025.05.11
-
생리학 서머리 (그람음성,양성균)2025.01.141. 그람음성균 그람음성균에는 그람음성알균(구균)과 그람음성 막대균(간균)이 있습니다. 그람음성알균에는 Neisseria 속의 Neisseria gonorrhoeae(임균)와 Neisseria meningitidis(수막염균)가 포함됩니다. 이들은 각각 임질과 수막염을 일으킵니다. 그람음성 막대균에는 장내세균과, 비브리오과, Pseudomonas 속, Haemophilus 속, Legionella 속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장티푸스, 이질, 페스트, 콜레라, 폐렴 등 다양한 감염병을 일으킵니다. 2. Neisseria gonorr...2025.01.14
-
병원감염의 원인과 예방, 미생물학2025.05.031. 병원감염의 원인 병원감염은 매우 다양하고, 낙상, 투약 오류 등 다른 환자안전사고와는 달리 감염경로나 원인을 명확하게 감별하기 어려워 병원 내 감염관리는 다각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병원감염은 내인성 감염과 외인성 감염으로 나뉠 수 있다. 내인성 감염은 환자 자신의 구강, 장 등에 정착하고 있는 세균에 의해서 유발되는 감염이며, 외인성 감염은 외부에 있는 균이 들어와서 발생되는 감염으로 의료진의 손에 묻은 미생물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침입해서 발생할 수 있다. 2. 병원감염의 사례 항생제 사용량이 많고 감염에 취약한 기저질환이...2025.05.03
-
미생물학 입문2025.01.171. 미생물의 종류와 크기 미생물은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리케차, 클라미디아, 진균, 곰팡이, 원충, 바이러스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육안으로는 볼 수 없을 정도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 않고 핵산(DNA 또는 RNA)만을 가지고 있어 생물 분류체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2. 미생물학의 범위 미생물학은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으로, 세균학, 진균학, 원충학, 바이러스학 등으로 구분된다. 병원미생물학은 병원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며, 각 병원미생물의 성질, 병원성, 전염성, 감염경로, 증상,...2025.01.17
-
폐렴 문헌고찰 + 간호과정2025.04.301. 폐렴 폐렴은 폐포에서 병원체의 증식과 이에 대한 인체반응으로 발생하며, 지역사회 폐렴과 병원성 폐렴으로 구분된다. 지역사회 폐렴의 주요 원인균은 폐렴구균, 병원성 폐렴의 주요 원인균은 그람음성균,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등이다. 폐렴의 위험요인으로는 고령, 면역억제 상태, 기저 폐질환, 만성질환, 흡연, 알코올 중독, 공기오염, 장기부동 등이 있다. 폐렴의 증상으로는 발열, 호흡곤란, 객담 변화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흉부 X선, 객담 검사, 혈액 검사 등이 필요하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 호흡 관리, 물리치료 등...2025.04.30
-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와 감염관리 방법2025.05.16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aureus)는 메티실린(Oxacilline)이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 포도알균으로,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MRSA는 mecA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PBP2a 단백을 만들어 베타락타메제에 안정한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1976년 5% 정도였던 MRSA 비율이 1990년대 초부터 60~70%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환자실에서는 95.7%가 MRSA로 나타났다. 2. V...2025.05.16
-
감염관리실_손위생 교육 ppt_병원(전직원 감염관리 교육)2025.01.111. 손위생의 필요성 의료종사자의 손은 교차감염의 매개체이므로 손위생의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손위생은 의료종사자의 양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주요 병원균의 환경 및 생존력 환자 병실의 환경표면이 오염되어 있어 이를 만진 후 손위생이 필요합니다. 주요 병원균들은 환경에서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습니다. 3. 손위생이 필요한 순간 환자 접촉 전후, 청결/무균 처치 전, 체액 노출 위험 후, 환자 접촉 후, 주변 환경 접촉 후 등 다양한 상황에서 손위생이 필요합니다. 4. 손위생의 방법 손위생이 잘 되지 않는 부위에 주의를 기울여...2025.01.11
-
폐렴 문헌고찰2025.01.071. 폐렴의 정의 폐렴은 가스교환에 중요한 폐포 공간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폐렴은 크게 기관지폐렴, 엽폐렴, 사이질폐렴으로 나뉘며, 폐조직의 부종과 폐포의 수분 이동을 야기하여 저산소증을 유발한다. 폐렴은 감염성 또는 비감염성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2. 폐렴의 원인 및 병태생리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감염성 병원균이며, 화학물질 흡입, 음식물 흡인 등의 비감염성 요인도 폐렴을 유발할 수 있다. 폐렴은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되며, 염증으로 인한 폐포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