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43개
-
언어와 매체 수업지도안-국어 자료의 탐구 3차시2025.05.091. 고대 국어의 특징 <처용가>를 통해 고대 국어의 특징을 살펴본다. 한자의 음과 뜻을 활용한 향찰 표기 방식의 특징을 파악하고, 향찰 표기의 의의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2. 중세 국어의 특징 <세종어제훈민정음>을 통해 중세 국어의 특징을 살펴본다. 어휘, 음운, 문법 등의 변화를 탐구하고, <소학언해>의 구절을 통해 중세 국어의 특징을 파악한다. 3. 근대 국어의 특징 <의유당관북유람일기>, <동국신속삼강행실도> 등의 자료를 통해 근대 국어의 특징(표기, 음운, 문법, 어휘)을 파악한다. 자료를 활용하여 국어의 변천 과정을 적...2025.05.09
-
한국어 불규칙 활용 (기타의 음운 현상)2025.01.111. 불규칙 활용의 개념 용언에서 어간과 어미가 결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바뀌는 것을 일컫는다. 일정한 환경에서 규칙적으로 변화가 생기는 것은 '규칙 활용'으로 처리한다. 2. 불규칙 활용의 원리 불규칙 활용은 결합하는 어미에 따라 달라지는데, 한국어의 어미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으' 계열 어미로 나눌 수 있다. 불규칙 활용이 일어나는 환경은 어미의 첫소리가 자음이 아닌 모음의 경우에 한한다. 3. 불규칙 활용의 유형 불규칙 활용의 유형에는 어간의 불규칙('ㅅ', 'ㄷ', 'ㅂ', 'ㄹ')...2025.01.11
-
한국어교육실습_DV 아 어 여졌어요 표현을 통해서 이전에서 상태가 바뀌었을 때를 나타낼 수 있다. 모음의 종류에 따라 아 어 여졌어요를 알맞게 표기할 수 있다.2025.04.291. DV+ 아/어/여졌어요 표현 DV+ 아/어/여졌어요 표현을 통해서 이전에서 상태가 바뀌었을 때를 나타낼 수 있다. 모음의 종류에 따라 '아/어/여졌어요'를 알맞게 표기할 수 있다. 2. 모음에 따른 표현 변화 DV 앞에 모음이 ㅏ,ㅗ인 경우 '-아졌어요'를 사용하고, 그 외의 모음인 경우 '-어졌어요'를 사용한다. '하다'가 포함된 경우에는 '-여졌어요'를 사용한다. 3. 문장 연습 다양한 단어를 사용하여 '-아졌어요', '-어졌어요', '-여졌어요' 표현을 연습한다. 학생들이 돌아가며 연습하고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한다. 4....2025.04.29
-
-e 쇠퇴의 일파만파, 단순부사2025.04.301. -e 의 쇠퇴와 -ly 의 역할 변화 -e가 음성적으로 약화되면서 부사를 표시하기 역부족이 됨. 형태적, 음성적으로 명확한 -ly가 부사접사로서 기능하게 되었고, -e와 무어미의 대립이 없어지자 본래 -e가 가진 부사표시 역할을 -ly가 대신하게 되었다. -e 소실의 원인은 영어가 주로 첫 음절에 강세를 가지기 때문이며, 그 결과 형용사와 부사가 동일한 형태로 쓰이게 되기도 하고 형용사에 -ly를 첨가한 부사형도 쓰이게 되었다. -ly가 부사표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본래 가진 형용사접사로서의 역할이 방해가 되어 형...2025.04.30
-
한국인의 가치관 중 정신적 가치관과 현대한국사회의 사건 및 사고 비교2025.05.011. 문화적 문법 문화적 문법은 사회구성원들의 사고방식이나 행위 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기저문화의 법칙과 규칙이다. 같은 공동체에서 나고 자란 사람들은 문화적 문법에 따라 살아가는 것을 당연한 것처럼 받아들인다.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통해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을 살펴볼 수 있다. 2. 연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고주의로 인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판검사들의 비리 사건, 변호사들의 재배당 정책 악용 등 연고주의로 인해 공정성이 훼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블라인드 채용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3. ...2025.05.01
-
우리말의역사4공통 국어사의연구방법을 문헌자료연구 비교방법 내적재구방언의연구 음운변화문법변화 어휘변화 알타이제어 국어사의시대구분이두구결향찰서술하시오002025.01.251. 국어사의 연구 방법 국어사의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의 연구', '비교방법', '내적 재구', '방언의 연구'의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문헌 연구, 구전 자료 수집 및 분석, 언어학적 연구, 사회언어학적 연구, 비교언어학적 연구, 실험적 연구 등의 방법을 통해 국어사를 연구할 수 있다. 비교방법은 시대별, 지역별, 사회 계층별, 문체별, 비교 언어학적 연구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내적 재구는 문법, 어휘, 발음, 문화, 역사 등의 측면에서 국어의 내적 특성과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방언 연구는 지역 조사, 인터뷰 및 설문...2025.01.25
-
교양 라틴어 문법 정리본(중간)2025.01.241. 1,2활용 동사의 어미 변화 라틴어 기초 문법 정리본에서는 1,2활용 동사의 어미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칭 1, 2, 3 단수의 어미는 각각 -o (혹은 -m), -s, -t이며, 복수의 어미는 -mus, -tis, -nt입니다. 2. 1변화 명사의 어미 변화 1변화 명사는 대개 -a로 끝나며, 여성 명사가 대부분입니다. 격 변화는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탈격, 호격으로 이루어지며, 단수와 복수의 어미 변화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3. 2변화 명사의 어미 변화 2변화 명사에는 -us로 끝나는 남성 명사와 -um...2025.01.24
-
한국어 교수법의 흐름과 한국어 교재 개발의 역사를 바탕으로 차후에 어떤 교수법을 반영한 교재가 개발될 것인지 예측2025.04.301. 한국어 교수법의 흐름 한국어 교수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었는데 문법번역식 교수법, 청각구두식 교수법, 의사소통적 접근법, 과제 기반 언어교수법 등이 있었다. 문법번역식 교수법은 목표어와 모국어간의 번역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하게 하는 방법이었고, 청각구두식 교수법은 반복적이고 기계적인 모방과 연습을 통한 습관 형성을 강조했다. 의사소통적 접근법은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의미를 전달, 해석, 협상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과제 기반 언어교수법은 과제 활동을 통해 목표어를 가르치는 교수법이다. 2. 한...2025.04.30
-
잘못 사용하고 있었던 단어 바로잡기2025.05.111. 단어 사용의 변화 언어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고 발전하기 때문에 단어의 사용이 변경되거나 오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이 사용하던 단어 중 잘못 쓰고 있었던 것을 인지하고 바로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단어 사용의 차이 단어들 간에는 미묘한 의미 차이가 있어 혼동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안돼'와 '안되다', '분명하다'와 '명백하다', '중요하다'와 '중대하다' 등의 단어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지만 정도나 강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인지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잘못 ...2025.05.11
-
한국어와 영어 결합어의 오용 사례 분석2025.01.121. 한국어와 영어 결합어의 특징 현대 한국어에서 영어 차용어와 한국어 요소가 결합된 단어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단어들은 대부분 인터넷이나 SNS 등 새로운 문화 속에서 생겨났으며, 사람들은 이러한 표현에 거부감이 적은 편이다. 또한 이러한 단어들은 언어의 경제성을 추구하거나 공감과 유대를 높이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2. 한국어와 영어 결합어의 유형 한국어와 영어 결합어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다: 1) 한자어와 외래어 어근이 결합한 단어(예: 해독주스, 공부모드), 2) 고유어 어근과 외래어 어근이 결합한...202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