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 쇠퇴의 일파만파, 단순부사
본 내용은
"
-e 쇠퇴의 일파만파, 단순부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15
문서 내 토픽
  • 1. -e 의 쇠퇴와 -ly 의 역할 변화
    -e가 음성적으로 약화되면서 부사를 표시하기 역부족이 됨. 형태적, 음성적으로 명확한 -ly가 부사접사로서 기능하게 되었고, -e와 무어미의 대립이 없어지자 본래 -e가 가진 부사표시 역할을 -ly가 대신하게 되었다. -e 소실의 원인은 영어가 주로 첫 음절에 강세를 가지기 때문이며, 그 결과 형용사와 부사가 동일한 형태로 쓰이게 되기도 하고 형용사에 -ly를 첨가한 부사형도 쓰이게 되었다. -ly가 부사표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본래 가진 형용사접사로서의 역할이 방해가 되어 형용사표시로서의 역할을 버리게 되었다고 추측된다.
  • 2. -ly 의 발달
    중세영어기 -ly의 생산성이 높아졌으며, -e 소실과 중세영어기 갑자기 많아진 로맨스어계 형용사 차용어의 부사화를 위하여 -ly가 활약하였다. -ly에 의한 부사 형성이 규칙화된 것은 초기 근대영어기로, 근대영어기에 인쇄업자 및 교육자에 의한 영어 표준화 움직임에 따라 규칙화하였고, 18세기 규범문법에 의해 확고해졌다.
  • 3. 중세영어에서의 단순부사
    현대영어에 비해 단순부사가 많았으며, 단순부사는 형용사 어간에 부사접사 -e를 붙여서 생성되었다. 중세영어에서는 -e의 소실로 형용사와 구분이 어려워졌지만, 곧바로 -ly 형태로 대체되지 않고 loude, cleere, faste, faire 등 많은 어휘가 부사 역할을 하였다. 그 결과 중세영어에서는 -ly와 단순형, -lich(e) 고어형이 모두 병용되어 최대 세 종류의 부사형이 공존하였다.
  • 4. 현대영어에서의 단순부사
    현대영어에서는 단순부사와 -ly가 공존하는 경우 서로 의미가 다른 경우가 많다. -ly 부사는 파생적, 비유적 의미를 발전시키는 경우가 많아 형용사의 의미에 플러스 알파를 더하는 반면, 단순부사는 의미가 동일한 경우도 있지만 의미가 다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hard(열심히, 힘들게)와 hardly(거의 ~가 아니다), right(정확한, 완전히)와 rightly(당연히, 올바르게), just(정확히)와 justly(당연히, 당연하게도), late(늦게)와 lately(최근에) 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e 의 쇠퇴와 -ly 의 역할 변화
    중세영어에서 -e 는 부사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지였지만, 점차 그 역할이 줄어들었습니다. 대신 -ly 가 부사를 나타내는 주요한 표지로 발달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영어의 문법 체계가 변화하면서 부사 형성에 있어서 보다 명시적이고 일관된 방식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ly 는 부사를 명확히 구분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를 통해 영어의 부사 체계가 보다 체계화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영어의 문법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현대 영어의 부사 체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ly 의 발달
    -ly 는 중세영어 시기부터 부사를 형성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발달해왔습니다. 초기에는 형용사에 -ly 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부사가 형성되었지만, 점차 이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ly 가 부사 형성의 대표적인 표지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이는 영어의 문법 체계가 보다 명시적이고 규칙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ly 는 부사를 형용사와 구분 지을 수 있게 해주었고, 이를 통해 영어의 품사 체계가 보다 명확해질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ly 의 발달은 현대 영어의 부사 형성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3. 중세영어에서의 단순부사
    중세영어 시기에는 부사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형용사에 -e 를 첨가하는 방식, 전치사구를 사용하는 방식, 그리고 단순 어근 형태 등 다양한 부사 형성 방식이 공존했습니다. 이 중에서도 단순 어근 형태의 부사가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이는 어휘적 의미를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단순 부사는 중세영어 시기 부사 체계의 핵심을 이루었으며, 이후 -ly 부사가 발달하면서 점차 그 비중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현대 영어에서도 여전히 단순 부사가 사용되고 있어, 중세영어 부사 체계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4. 현대영어에서의 단순부사
    현대 영어에서 단순 부사는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ly 부사가 보편화되었지만, 단순 부사는 보다 직접적이고 함축적인 의미를 전달할 수 있어 여전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상적인 대화나 구어체 영어에서 단순 부사가 자주 사용됩니다. 이는 단순 부사가 보다 자연스럽고 경제적인 표현 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단순 부사는 문체적 효과를 위해 문학 작품이나 공식적인 글에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현대 영어에서 단순 부사는 -ly 부사와 더불어 부사 체계의 중요한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