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72개
-
소독 및 멸균의 종류와 부소독물의 관한 내용2025.04.261. 소독 및 멸균 방법 소독이란 물체의 표면 및 그 내부에 있는 병원균을 죽여 전파력과 감염을 없애는 것을 말하며, 미생물의 포자는 제거되지 않습니다. 멸균이란 물리, 화학적 방법을 이용해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여 무균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멸균의 3가지 방법은 고압증기 멸균법, EO 가스 멸균법, 과산화수소 플라즈마 가스 멸균법입니다. 2. 부소독물의 재고 파악 및 운반 부소독물의 재고 파악은 부서별로 1일 2회 실시하며, 물품 체크 리스트로 재고를 확인합니다. 부소독물의 운반 및 교환 방법은 의료 소모 비품 및 세트는 1일 2...2025.04.26
-
의료기구 감염관리(세척, 소독, 멸균)에 관한 레포트2025.01.111. 감염미생물과 간호 현대의 의료 환경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고, 각종 소독제가 사용되며 장갑과 가운 등 보호장구의 착용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암화학요법의 발달, 면역억제제 사용 등으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 환자의 증가, 침습적 시술의 보편화, 항균제 내성 균주의 증가 등으로 인해 의료 관련 감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써 소독과 멸균을 완전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의료 관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적절한 소독과 멸균이라고 할 수 있다. 2. 세척 세척은 대상물로부...2025.01.11
-
감염관리: 소독, 멸균, 무균술2025.11.111. 감염관리의 정의 및 목표 감염관리는 의료 시설 내에서 감염병 유행 예방을 목적으로 한 역학의 한 분야입니다.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기 때문에 철저한 멸균과 소독관리가 기본입니다. NANDA 간호진단에서는 감염 위험성을 적용하며, 간호 목표는 신체 면역 방어 기능 유지, 감염균 전파 방지, 감염 관련 문제 경감입니다. 무균법을 통해 감염의 회로를 차단하고 숙주의 면역 방어 기능을 지지합니다. 2. 소독과 멸균의 개념 및 방법 소독은 병원성 미생물만을 사멸 또는 제거하는 것이고, 멸균은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키는 것입니다. 물...2025.11.11
-
기본간호학 소독법 및 멸균법 핵심요약2025.11.181. 물리적 소독 및 멸균법 물리적 소독법은 열과 여과를 이용합니다. 여과법은 가열살균이 불가능한 의약품, 혈청, 백신에 사용되며, 파스퇴르살균은 70도 30분으로 우유와 식품 소독에 효과적입니다. 자비소독은 100도 10-60분으로 아포와 간염은 사멸하지 않습니다. 자외선 소독은 실내공기와 표면 미생물 파괴에 사용되나 투과력이 낮고 지속효과가 없습니다. 건열멸균은 160도 1-2시간으로 파우더와 기름에 사용되며, 고압증기멸균은 120도 2-3기압 15-20분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입니다. 2. 화학적 소독 및 멸균법 E.O. ...2025.11.18
-
수술실 멸균과 소독의 이론과 임상 실습2025.11.161. 소독과 멸균의 정의 및 분류 소독은 액체 화학제나 저온 살균제로 병원균과 미생물을 파괴하되 세균 아포는 제거하지 못하는 과정이다. 멸균은 물리적·화학적 과정을 통해 병원균, 비병균, 아포 등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으로 고압증기멸균법, EO 가스 멸균법, 플라즈마 멸균법 등을 사용한다. 물품은 고위험(Critical), 준위험(Semicritical), 비위험(Noncritical) 물품으로 분류되며 각각 적절한 멸균 또는 소독 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2. 외과적 무균술과 손위생 외과적 무균술은 세균 아포를 포함한...2025.11.16
-
미용 매장을 위한 효과적인 소독 및 멸균 방법2025.01.041. 소독과 멸균의 정의 소독은 병원성 미생물의 생명력을 빼앗아 사멸시키거나 증식력을 잃게 하는 것이며, 멸균은 병원성, 비병원성을 포함하여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고 박멸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독과 멸균에 쓰이는 약제를 소독약 혹은 살균제라고 말하고 증식을 억제하는 것은 방부제, 발육을 저해하거나 생명력을 잃게 하는 것을 항미생물작용이라고 한다. 2. 소독 방법 소독 방법에는 페놀류, 산화제류,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산 및 알칼리류 등이 있다. 각각의 소독제는 미생물의 세포막, 단백질, 지질, 핵산 등을 공격하여 살균 효과를 나타낸...2025.01.04
-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멸균과 소독2025.01.141. 수술간호 수술 전, 수술 중, 수술 후 간호 활동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수술 전에는 심리, 사회적 반응 사정, 합병증 예후 관련 생리적 사정, 수술 전 정보 제공 및 정서적 지지 등의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수술 중에는 마취와 수술 과정 동안의 간호 활동이 이루어지며, 수술 후에는 신체 기능 회복, 불편감 및 통증 경감, 합병증 예방 등의 간호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2. 소독 간호사(Scrub nurse)의 역할 소독 간호사의 역할은 수술 전, 수술 중, 봉합 직전, 수술 완료 후 등 수술 전반에 걸쳐 이루어집니다. 수술 ...2025.01.14
-
감염관리실_공급실.병동 멸균물품,소독관련 부착물 PPT2025.01.231. 의료기구 물품 소독 · 멸균 절차 의료기구와 물품의 소독 및 멸균 절차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무균조직이나 혈관계에 삽입되는 기구, 점막이나 손상된 피부에 접촉하는 기구 등에 대해 고위험기구, 준위험기구, 비준위험기구로 구분하여 적절한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척, 소독, 멸균 과정에 대한 관리 방법과 멸균 상태 판정 결과에 따른 조치 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멸균물품 관리 지침 병동에서의 멸균물품 관리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멸균물품 취급 전 손 위생 실시, 멸균물품과 비멸균물...2025.01.23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세척, 멸균, 소독2025.05.111. 세척 세척은 적절한 소독이나 멸균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의료기관에서는 세척에 대한 규정을 수립하고 규정에 따라 실시하며 이를 모니터링 한다. 세척 시 일반적 주의사항, 기계세척 시 주의사항 등이 포함된다. 2. 소독 소독 시 제품의 사용설명서 확인, 소독 대상 물품의 접촉, 소독제 관리, 자동세척소독기 관리 등의 주의사항이 포함된다. 3. 멸균 멸균 방법의 선택, 기구 멸균 및 소독방법, 멸균물품의 포장, 적재, 확인, 멸균기 관리, 멸균 실패 시 관리, 멸균물품의 보관 등이 포함된다. 4. 소독과 멸균 시 주의사항 사용한 기구...2025.05.11
-
감염관리실_원내 기구 및 물품 소독 멸균방법_병원2025.01.121. 비위험 기구 및 일반 물품 비위험 기구 및 일반 물품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소독 주기와 방법은 부서와 사용 빈도에 따라 다르며, 락스 100PPM 침적, 수돗물 헹굼, 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2. 호흡기 기구 호흡기 기구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산소발생기, 네뷸라이저, 호흡기 부속기구 등을 높은 수준의 소독 또는 멸균 방법으로 관리합니다. 3. 초음파 및 내시경 초음파 및 내시경 기구의 소독 및 멸균 방법을 설명합니다. 엔자임 와입스로 닦고 Cidex OPA, Perasafe 등의 소독제에 침...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