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8개
-
그레고리빌 - 신약성경신학 서평2025.05.021. 구약 이 책에서 저자 빌은 신약성서의 유리한 입장에서 성경 전체의 전개되는 신학적 통일성을 탐구합니다. 그는 신약성서의 모든 주요 개념은 구약성서의 개념의 발전이며, 후기 새로운 창조와 왕국의 시작의 한 측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2. 신약 저자 빌은 신약성서 줄거리가 구약성서 줄거리와 어떻게 관련되고 발전하는지 조사합니다. 그는 신약성서의 내용이 구약성서의 '구원-역사적 줄거리'에 기반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3. 종말론적 관점 빌은 성경을 종말론적 관점에서 바라봅니다. 그는 구약성서의 특정한 예언을 고려하고, ...2025.05.02
-
시편 해석 학습 계획서2025.01.031. 시편 해석 시편은 성경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개인적 명상과 공적 예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편은 구약성경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계시를 가장 충만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신약성경에서도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다. 따라서 시편을 깊이 있게 공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인용구절을 공부하면서 시편의 형식과 내용을 파헤쳐 나가고자 한다. 또한 시편을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시편에 함축된 깊은 뜻과 저자의 의도를 연구하고 공감하며 체험하고자 한다. 1. 시편 해석 시편...2025.01.03
-
소제(素祭) - 레위기 2장2025.01.201. 소제 소제는 곡식물로 드리는 제사이다. 고운 밀가루, 기름, 유향 등을 섞어 만든 무교전병이나 웨하스 같은 마른 과자, 혹은 맏물, 그리고 기념물이 될 만한 가장 먼저 익은 과수나 곡식 등을 바치는 농산물 제사이다. 소제물로는 기본적으로 고운 밀가루에 기름과 향료를 가미한 것을 바쳤다. 이때 올리브유와 특수한 나무에서 추출한 유향을 썼다. 제사자가 밀가루 위에 기름과 향료를 부으면 제사장이 향료를 놓아둔 자리의 밀가루를 한 움큼 떠서 제단의 불 위에 '기념물'로 불사른다. 기름을 붓고 남은 밀가루는 가장 거룩한 성물로 취급되어...2025.01.20
-
성경의 구조와 신학의 연관성2025.11.141. 성경의 구조 기독교 전통에서는 구약성경을 모세오경, 역사서, 시가서, 예언서의 4구분법으로 분류하며, 히브리 전통에서는 타나크(토라, 느비임, 케투빔)의 3구분법을 따른다. 타나크 구조는 권위와 종교적 중요성에 따라 배열되었으며, 토라는 신학적 원리를, 느비임과 케투빔은 그에 대한 적용을 다룬다. 예수님도 누가복음 24장 44절에서 이 타나크 구조를 존중하셨으며, 이는 구약성경을 하나의 통일된 문학 단위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2. 이야기-율법 구조 구약성경의 60%가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세오경은 이야기를 통해 율...2025.11.14
-
마태복음 1장: 예수는 누구이신가2025.11.151. 예수의 계보와 메시아성 마태복음 1장 1-17절은 단순한 족보가 아닌 예수께서 이스라엘에게 약속된 메시아임을 입증하는 신학적 선언서입니다. 마태는 예수님을 이스라엘 역사 전체와 긴밀하게 연관시키며, 아브라함에서 시작하여 다윗과 바벨론 포로라는 이스라엘 역사의 중대한 전환점을 거쳐 예수님에 이르는 계보를 제시합니다. 계보는 완성의 수 7의 곱을 세 번 반복한 3×14대로 구성되어 준비의 시대가 끝나고 완성의 때가 도래했음을 암시합니다. 2. 예수의 왕적 계보와 다윗의 자손 마태복음의 계보는 누가복음과 달리 왕적 계보로서 다윗의 ...2025.11.15
-
구속사와 설교: 하나님의 구원 역사와 설교의 관계2025.11.141. 구속사(Redemptive History) 구속사는 하나님이 역사의 과정에서 이 땅에 자신의 구원을 실현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하나님은 자기 백성과 함께 행하시며, 아브라함 소명, 출애굽, 시내산 언약, 다윗의 등장, 포로 귀환 등 역사의 중요한 순간들을 통해 구원 계획을 펼쳐나간다. 구속사는 단순한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구체적인 인간 역사 속에서 실현되는 하나님의 위대한 사역이며, 궁극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로 중심을 이룬다. 2. 구속사적 설교(Redemptive-Historical Preaching) 구속사적...2025.11.14
-
시편 서론2025.04.271. 시편의 특성 시편은 영감 받은 저자의 깊이 있는 신앙 체험을 보여주는 성경 문학의 진수이다. 총 150편의 시편은 단순한 이스라엘의 기도와 찬양 그 이상의 의미를 드러내고 있으며,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계시와 여호와께 대한 이스라엘의 신앙적 응답을 보여준다. 시편은 남녀 노소, 괴로운 자나 즐거운 자 모두에게 신앙의 실체를 전해주는 동시에 문학적 감흥과 영적 감화력을 느끼게 한다. 2. 시편의 저자와 기록 연대 시편은 다윗을 위시한 여러 명의 저자에 의해 쓰여졌으며, 모세 시대부터 포로 귀환 후 에스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오...2025.04.27
-
오경의 최종적인 신학2025.01.201. 오경의 구조와 특징 오경의 구조가 가지는 특징은 출애굽의 해방사건, 모세와 율법 이야기, 선택백성의 이야기, 세계의 창조와 죄의 기원 등 4가지 형성 단계를 거쳐 발전해왔다. 이를 통해 오경의 구조는 출애굽기 1-15장, 16-18장, 민수기 10-34장의 하나님의 구원을 핵심으로 하고, 창세기 12-50장의 선조들 이야기와 창세기 1-11장의 인류와 세계에 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2. 오경의 최종적인 신학 오경의 최종적인 신학은 이스라엘의 멸망 상황에서 하나님의 죽음에 대한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통해 이스라엘만의 하나...2025.01.20
-
마태복음 5장 17-20절: 예수님과 율법2025.11.151. 예수님과 구약성경의 관계 마태복음 5장 17절에서 예수님은 율법과 선지자를 폐하러 온 것이 아니라 완전하게 하려 왔다고 선언합니다. 여기서 '율법과 선지자'는 구약성경 전체를 의미하며, 예수님이 구약에 예언된 메시아임을 나타냅니다. 예수님의 성취는 구약과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구약의 궁극적 목표를 성취하신 분입니다. 2. 율법의 지속적 유효성 마태복음 5장 18절은 천지가 없어지기 전에 율법의 일점일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는 율법이 예수님의 지상 사역 시작과 함께 역할을 다했지만...2025.11.15
-
시편정독노트: 구약성경 시편의 주석 및 해석2025.11.141. 시편의 신학적 주제 시편은 하나님의 의로우신 통치, 신실한 자의 형통함, 그리고 악인에 대한 심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신실한 자는 하나님의 보호 아래 안전하며, 하나님의 공의로운 통치는 약한 자들을 보호하고 야만적인 세계를 빛으로 이끈다. 시편은 현세와 내세의 심판을 모두 다루며, 하나님의 노염은 잠깐이지만 은총은 평생임을 강조한다. 2. 시편의 문학적 표현과 비유 시편은 고대 팔레스타인의 농업, 목축, 전쟁 등의 배경을 바탕으로 풍부한 비유를 사용한다. 나무, 물, 황소, 승냥이, 폭풍 등의 자연 이미지와 목걸이, 병거, ...2025.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