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9개
-
A+ 졸업생의 PS PMMA 공중합 결과 레포트(10페이지)2025.01.161. PS PMMA 공중합 실험 목적은 스타이렌(Styrene)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를 라디칼 중합하여 PS-PMMA 공중합체를 만들고, 이 공중합체 내의 스타이렌과 MMA의 조성을 분석하여 반응성비를 결정하는 것이다. 실험 과정에는 수세, 정제, 중합, 필터링 등의 단계가 포함되며, 최종적으로 IR, DSC, NMR, TGA, GPC 분석을 통해 공중합체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및 고찰에서는 공중합체 특성 분석 데이터를 제시하고, 실험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1. PS PMMA 공중합 PS PM...2025.01.16
-
단국대 A+ 고분자재료설계 고재설 파트2 레포트2025.01.241. 고분자 고차 구조 고분자 고차 구조는 대부분의 고분자 집합체가 다양한 목적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차구조들의 자가조립을 통해 거대한 집합체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고분자 blend와 block copolymer로 구분할 수 있다. 고분자 blend는 서로 다른 고분자들의 화합물로, 고분자들끼리는 적절한 온도에 도달하면 단량체 간의 교환에너지가 친화적이지 않아 서로 잘 섞이지않는다. 따라서 Blend는 섞이지 않은 혼합물이므로 시스템 전체에서 상분리가 일어나 mm 단위의 큰 상분리가 일어난다. block copolymer는 ...2025.01.24
-
A+ 졸업생의 PS PMMA 공중합 예비 레포트 (12페이지)2025.01.161. 중합 방법과 Bulk 중합 라디칼중합을하기위한공정방법은크게벌크중합(bulkpolymerization),용액중합(solutionpolymerization),현탁중합(suspensionpolymerization), 유화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의 4가지로 나눌 수 있 다.그 중에서도 이번 실험에 사용된 방법인 벌크 중합은, 용매 등을 사용하 지 않고 단순하게 단량체와 개시제 또는 촉매 등 중합에 필요한 최소 성분 만 넣고 중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가장 간단하고 빠른 중합 반응으로, 이 물질이 적어 순도가...2025.01.16
-
SEM 보고서2025.01.271. 주사전자현미경(SEM) 주사전자현미경(SEM)은 진공에 놓인 시료의 표면을 1~100 nm의 전자선으로 관측하는 현미경입니다. 분석 특징으로는 표면 형상 및 구조 관찰, SE와 BSE 영상, EDS 원소 분석 등이 있으며, 공간분해능은 약 1 nm, EDS 원소 분석의 검출 범위는 C(Be)-U입니다. SEM의 원리는 집속된 전자빔을 시료표면에 주사하면서 전자빔과 시료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이차전자 또는 후방산란전자를 이용하여 시료의 표면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SEM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전자총, 자기렌즈, 검출기 등이 ...2025.01.27
-
A+ 졸업생의 PS 벌크중합 결과 레포트(14페이지)2025.01.161. PS 벌크중합 실험을 통해 AIBN 개시제의 양에 따라 중합속도와 분자량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직접 볼 수 있었다. AIBN을 상대적으로 적게 넣은 조는 중합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고, 분자량이 더 큰 (좀 더 딱딱한) 물질을 얻는 것을 볼 수 있었고, AIBN을 많이 넣은 조의 경우에는 중합이 빨리되었고, 좀더 말랑 말랑한(분자량이 작은)물질을 얻을 수 있었다. 2. IR 분석 IR Spectroscopy, DSC, TGA를 이용해 합성된 PS를 분석했을 때, 일반적인 PS의 IR Spectrum과 비슷한 Peak를 나타냈...2025.01.16
-
고분자 재료의 1차, 2차 구조 및 고분자구조 설계 (part.2)2025.01.141. Self-assembly Self-assembly는 분자들이 외부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 자발적으로 개개의 구성 요소들이 질서정연한 구조를 이루는 현상이다. 이는 자연계에서도 많이 발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백질 등 생체고분자가 적당한 환경조건에서 그 자신이 집합하여 생리적으로 의미가 있는 고차 구조를 형성하는 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self-assembly 현상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재료들 외에도 self-assembly 현상을 이용한 다양한 시스템이 구현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block copolymer이다. ...2025.01.14
-
Nanofabrication by Polymer Self-Assembly2025.05.101. AuNPs 합성 이 실험에서는 citrate를 환원제 그리고 계면활성제로서 이용해 AuNPs를 합성하였고, UV spectrum을 측정해 AuNPs는 LSPR에 의해 bulk의 금 입자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한 UV spectrum 상에서 합성한 AuNPs는 518nm에서 최대흡광도를 가져, 이론상에서 500-600nm에서 최대흡광도를 가지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2. PS-b-PVP inverse micelle 제작 그 후 polymer self-assembly를 통해 PS-b-PVP inve...2025.05.10
-
[고분자합성실험]계면중합에 의한 나일론 6,10의 합성 예비+결과 보고서 (A+)2025.01.291. 나일론 6,10의 계면중합 합성 실험을 통해 계면중합 방법으로 나일론 6,10을 합성하였다. 계면중합은 두 반응물을 다른 상에 녹여 두 상의 계면에서 중합반응이 일어나게 하는 방식으로, 두 반응물이 계면에 당량으로 공급되어 중합도를 높일 수 있다. 비교반과 교반 방식으로 나일론 6,10을 합성하였으며, 교반 방식에서 더 얇고 긴 형태의 나일론 6,10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 요인들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고찰하였다. 2. 나일론 6,10의 물성 비교 나일론 6,6과 나일론 6,10의 물성 차이를 구조적 ...2025.01.29
-
SDS-PAGE 이론2025.05.071. SDS-PAGE SDS-PAGE는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약자이다. SDS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단백질의 가용화제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단백질의 전기영동에서 SDS-PAGE법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용된다. SDS-PAGE의 원리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의해서 +,- 상관없이 어느쪽이건 전하를 띄지만 SDS가 결합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단백질이(-)하전을 띄어 모든 분자를 양극으로 이동시키고, gel의 pore 사이즈에 의해서...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