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S-PAGE 이론
본 내용은
"
SDS-PAGE 이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08
문서 내 토픽
-
1. SDS-PAGESDS-PAGE는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약자이다. SDS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단백질의 가용화제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단백질의 전기영동에서 SDS-PAGE법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용된다. SDS-PAGE의 원리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의해서 +,- 상관없이 어느쪽이건 전하를 띄지만 SDS가 결합함으로써 일시적으로 단백질이(-)하전을 띄어 모든 분자를 양극으로 이동시키고, gel의 pore 사이즈에 의해서 분자량의 크기에 따라 각각의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다.
-
2. SDS 처리SDS-PAGE를 하기전 시료를 먼저 용해해둔다. 단백질에서는 SDS가 가용화제로 작용하기 때문에 우선 SDS를 처리해 침전물이 있으면 원심분리로 이를 제거한다. SDS는 SDS용액과 혼합시킨후 열처리 또는 실온에서 방치한다.
-
3. Polyacrylamide gelPolyacrylamide gel은 %T와 %C로 표현되는데 %T는 acrylamide와 bisacrylamide의 %중량이며 %C는 가교제인 bisacrylamide의 %중량이다. 따라서 %T와 %C가 커지면 그만큼 미세통로의 크기는 작아지게 되어 작은 물질의 분리에 이용할 수 있게 된. Acrylamide의 중합은 ammonium persulfate (APS) 또는 riboflavin의 첨가에 의해 개시된다. APS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촉매제로 N,N,N',N'-tetramethylethylenediamine (TEMED)를 사용하며 TEMED는 persulfate로부터 자유라디칼의 생성을 촉매함으로써 중합을 개시한다.
-
4. Buffer 준비단백질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에서는 Tris buffer로 알칼리성 조건을 맞춰서 많이 사용한다. gel에는 Tris-HCL, buffer에는 Tris-Glycine을 사용하여 Cl-과 glycinate 이온의 이동도 차이를 이용한다.
-
5. 전기영동 원리전기영동을 시작하면 leading 이온인 Cl-이온과 단백질, glycine이온이 모두 양극을 향해 출발하게 된다. Glycine은 stacking gel의 낮은 pH 조건에서는 거의 중성을 띠므로 국부적인 전류의 감소현상이 유발된다. 따라서 낮은 pH 조건에서도 이동도가 빠른 Cl-이온과 이동도가 느린 glycine 이온 사이에 매우 높은 전위차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전위차에 위해 glycine이온이 Cl-이온을 빠르게 뒤따르게 된다. 이때 상대적인 이동속도는 glycine < 단백질 < Cl-이 되며 따라서 단백질은 Cl-와 glycine 이온사이에 축적되어 이동하게 된다.
-
1. SDS-PAGE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는 단백질 분자량 분석을 위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기영동 기술 중 하나입니다. SDS는 단백질의 3차 구조를 변성시켜 모든 단백질 분자가 음전하를 띠게 하고, 이를 통해 단백질의 크기에 비례하여 이동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분자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SDS-PAGE는 단백질 정제, 단백질 발현 분석, 단백질 구조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단백질 연구에 필수적인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SDS 처리SDS (Sodium Dodecyl Sulfate)는 단백질의 3차 구조를 변성시키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입니다. SDS 처리를 통해 단백질 분자의 고유한 3차 구조가 풀리고, 모든 단백질 분자가 음전하를 띠게 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의 크기에 비례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단백질의 분자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SDS 처리는 SDS-PAGE 실험에서 필수적이며, 단백질 구조 분석, 단백질 정제, 단백질 발현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따라서 SDS 처리 과정에 대한 이해와 숙련도가 중요합니다.
-
3. Polyacrylamide gelPolyacrylamide gel은 SDS-PAGE에서 단백질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주요 매질입니다. 이 gel은 acrylamide와 bisacrylamide의 공중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농도로 제조할 수 있습니다. 농도가 높을수록 gel의 망목 크기가 작아져 작은 분자량의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반면 농도가 낮을수록 큰 분자량의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농도의 polyacrylamide gel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gel 제조 시 주의해야 할 사항들, 예를 들어 중합 반응 시간, 온도 등을 잘 숙지하여야 합니다.
-
4. Buffer 준비SDS-PAGE 실험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버퍼 용액의 준비는 매우 중요합니다. 시료 로딩 버퍼, 전기영동 버퍼, 염색 및 탈색 버퍼 등 각 단계에 맞는 적절한 버퍼 조성과 pH가 필요합니다. 이들 버퍼는 단백질의 변성, 전하, 이동 속도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농도와 pH로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버퍼 제조 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초순수 사용, 멸균 등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버퍼 준비의 정확성과 재현성은 SDS-PAGE 실험의 신뢰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전기영동 원리SDS-PAGE의 핵심 원리는 전기영동입니다. 음전하를 띠는 SDS-단백질 복합체는 전기장 내에서 분자량에 비례하여 이동하게 됩니다. 작은 분자량의 단백질은 빠르게 이동하고, 큰 분자량의 단백질은 느리게 이동합니다. 이를 통해 단백질 혼합물이 분자량별로 분리됩니다. 전기영동 시 전압, 전류, 시간 등의 조건이 중요하며, 적절한 조건 설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전기영동 장치의 온도 관리, 완충 용액의 교체 등 실험 과정에서의 세부적인 주의사항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전기영동 원리에 대한 이해와 숙련도는 SDS-PAGE 실험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SDS-PAGE and Protein Analysis1. SDS의 역할 및 SDS-PAGE 원리 SDS(Sodium Dodecyl Sulfate)는 계면활성제로서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을 모두 지니고 있으며, 단백질을 변성할 수 있는 물질이다. SDS-PAGE는 이러한 SDS의 특성을 토대로 하여 단백질을 분자량에 따라 band 형태로 분리하는 실험이다. 단백질은 그 구조와 전하, 분자량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2025.01.21 · 의학/약학
-
이화여대 생명과학실험 A+ 리포트(SDS-PAGE, Coomassie Blue Staining)1. SDS의 역할 및 원리 SDS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단백질이나 핵산의 구조를 깨뜨려 선형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아미노산 두 개에 SDS 한 개가 결합하고 SDS분자의 긴 소수성 꼬리가 단백질의 골격을 감싸면서 음전하를 띈 꼬리의 끝부분이 밖으로 향하게 되므로 단백질은 자신이 본래 가지고 있던 전하와 관계없이 -전하를 띄게 된다. 2. PAGE...2025.01.23 · 자연과학
-
[생화학실험] A+, SDS-PAGE를 통한 단백질 분리 실험 13페이지
실험목적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 및 검출을 진행하고 이해한다.SDS-PAGE에 사용되는 시약의 특성을 알압보고 SDS-PAGE의 원리를 이해한다.이론SDS-PAGE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의 약호이다.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으로서 단백질이 전기장이 가해진겔(gel)에서 그 크기에 따라 이동속도가 다름을 이용해 이들을 분리 및 분석하는 기법이다.전기장에서 단백...2024.01.16· 13페이지 -
'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 분석' 실험레포트 5페이지
-SDS-PAGE를 이용한 단백질 분석-[1] Introduction{1} SDS-역할 : 다양한 전하의 단백질들을 음전하로 균일하게 코팅시키고 선형의 polypeptide chain형태로 변성시켜 전기영동시 모양이나 전하의 영향없이 크기(분자량)로만 분리될 수 있도록 만든다. (전기영동시 분자의 속도 ‘ v=Eqf ’에서 마찰계수 f중 분자량만 변수가 됨)-원리 : SDS는 음전하를 갖는 강한 계면활성제로서 단백질의 소수성 부분에 달라붙는다.2개의 아미노산 당 하나의 SDS분자가 비특이적으로 결합해 아미노산 R기들의 전하를 모두 ...2021.08.19· 5페이지 -
SDS-PAGE 예비레포트 4페이지
1. 제목(Title)SDS-PAGE2. 실험목적(Objective)단백질을 SDS-PAGE를 이용하여 전기적 인력을 통하여 크기 별로 분류해 봄으로써 SDS-PAGE를 이해한다. 이 실험을 통해 SDS의 역할과, SDS-PAGE를 진행하며 각 단계의 원리 등을 익힌다. 3. 이론(Theory)1) 정의 및 개요SDS-PAGE란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로, SDS-폴리아크릴아미드겔전기영동의 약호이다. 울리치 램밀리에 의해 개발된 단백질 분리 방법이다. Sodium Dodecyl Sulfa...2021.01.01· 4페이지 -
PAGE를 이용한 단백질 검정 실험 4페이지
일반생물학실험1. 실험제목 PAGE를 이용한 단백질 검정2. 실험날짜 2024/05/283. 실험목적 SDS-PAGE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검정할 수 있다.4. 실험이론1)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미노산 사이의 펩티드 결합하여 사슬을 형성한다.-단백질 1차구조: 아미노산의 배열로 단백질의 형태와 기능을 결정한다.-단백질 2차구조: 어마노산 사슬의 질소와 산소의 음전하와 수소의 양전하에 의한 수소결합으로 생성되는 구조-단백질 3차구조: 폴리펩티드가 접혀서 만들어지는 전체적인 삼차원...2025.02.14· 4페이지 -
[보건환경미생물학실험]Observation of the expressed protein via SDS-PAGE 5페이지
Observation of the expressed protein via SDS-PAGE1. 실험 목적가. SDS-PAGE를 통해서 미생물이 발현한 단백질을 크기로서 구분해내고자 한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SDS-PAGE invented by LaemmliSodium Dodecyl Sulfate-Poly 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약칭으로 2차원적 방법으로 단백질을 나누어 분석한다.1) Acrylamid(Neutrotoxin) : agarose보다 작은 구멍을 형성하여 단백질 분리에 쓰인다. D...2022.10.10· 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