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9개
-
Input&Output impedence(voltage) A+ 물리화학실험결과보고서2025.01.281. 전압계의 입력저항 측정 실험에서는 전압계의 입력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건전지와 전압계를 직렬로 연결하고, 추가로 저항을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입력저항을 계산할 수 있었다. 새 건전지와 폐 건전지를 사용하여 DVM과 Oscilloscope의 입력저항을 각각 구했다. 입력저항이 클수록 측정값이 실제 값에 가까워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전원의 출력저항 측정 전원의 출력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전압계의 양단에 저항을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출력저항을 계산할 수 있었다. 새 건전지와 폐 건전지를 ...2025.01.28
-
전원, DMM의 내부저항 측정장치 설계 결과보고서 (보고서 점수 만점/A+)2025.04.25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이번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건전지와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DMM을 저항에 병렬 연결하여 저항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건전지도 내부저항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저항 측정 방식 비교 실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저항값 측정 시 2-wire 방식 보다는 4-wire 방식을 이용하였다. 2-wire 방식에 비해 4-wire 방식이 더 정확한 결과를 보였다. 3. DC Power Supply 사용법 DC Power Supply의 ...2025.04.25
-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22025.05.151.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10Ω 저항과 Pushbutton을 사용하여 회로를 설계하였다. DMM을 병렬로 연결하여 Pushbutton을 누르면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0Ω에 가까운 매우 작은 값이 측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2. DC Power Supply의 출력 특성 DC Power Supply의 출력 전압과 전류를 조절하여 부하 저항에 인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출력 전압을 1V, 최대 출력 전류를 10mA로 조정하고 10Ω 저항을 연결하면 100mA의 전류가 흐르...2025.05.15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결과보고서2025.01.171. 건전지의 출력저항 측정 이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혔다. 실습 결과,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약 1.58Ω으로 매우 작은 값이었다. 이는 실습 전에 예상했던 것과 비슷한 결과였으며, DMM으로 측정한 실제값을 대입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었다고 생각된다. 2. DMM의 입력저항 측정 이 실습에서는 건전지의 출력저항과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회로를 설계, 제작, 측정하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혔다. ...2025.01.17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2025.05.151. 6 V 건전지의 출력저항 측정 6 V 건전지의 출력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6 V 건전지와 10 Ω 저항을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측정한 결과, 건전지의 내부저항은 1.41 Ω으로 나타났다. 작은 저항값을 가진 회로에서는 건전지의 내부저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Pushbutton switch 사용 이유 Pushbutton switch를 사용하는 이유는 작은 저항값을 가진 회로에서 많은 전류가 흘러 열이 발생하여 소자가 탈 수 있기 때문이다. Pushbutton switch를 사용하면 회로를 간헐적으로 연결...2025.05.15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1 결과보고서2025.01.201. DMM을 이용한 저항 및 전압 측정 이 실험에서는 DMM을 이용해 고정저항 및 가변저항의 저항을 측정하였으며, 가변저항에서는 어떤 단자를 연결하는지에 따라 저항 변화 여부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점퍼선의 저항을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으로 측정함으로써 점퍼선 자체에 작은 저항이 존재함을 알고, 두 측정법 간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2. 건전지 전압 측정 건전지의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직렬과 병렬로 회로를 구성하여 직접 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옴의 법칙이 성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DC Po...2025.01.20
-
[A+결과보고서]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2025.05.031. DMM 사용법 DMM은 저항,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장치로써 "HI" 단자와 "LO"단자에 리드선을 연결하여 측정을 진행한다. 저항, 전압, 전류 마다 측정하는 방법과 측정하는 회로가 각각 다르며 일반적으로 전압과 저항을 측정할 때는 병렬, 전류를 측정할 때는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한다. 2. DC Power Supply 사용법 DC power supply는 두 단자 사이에 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직류전원 전압의 크기를 일정범위 내에서 가변 공급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3. 고정저항 측정 DMM을 이용해 고정저항의 실제 값을...2025.05.03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2025.05.13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전압 측정값은 6.479V가 나왔고 10Ω 저항값은 11.086Ω, 저항 10Ω에 걸리는 전압은 6.422V가 나왔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이 1Ω을 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는데 R_a = {RV} over {V_0} -R을 이용하여 건전지의 내부저항이 1.184Ω임을 알 수 있었다. 건전지의 경우 사용할수록 전압은 낮아지고 내부저항은 높아지는 특성을 갖고 있고, 온도에 따라 저항값의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내부저항의 실험값은 실제보다 커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2. DC Powe...2025.05.13
-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예비보고서2025.04.251.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6V)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회로와 절차를 설계하였습니다. 10Ω 저항과 Pushbutton을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하였습니다. 측정 절차는 DMM의 검은 선을 COM단자, 빨간 선을 V단자에 연결하고 측정 단위를 V로 맞춘 후, DMM과 10Ω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전압 V를 측정합니다. 이 값을 식 'Vr * Vb / (Vb - Vr)'에 대입하여 건전지의 내부저항 Rb를 구할 수 있습니다. 10Ω 저항에 소비되는 전력 P는 P = V^2 / R이 될 것입니다. 2. DC 전원 ...2025.04.25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2_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보고서 1등)2025.05.101. 건전지 내부 저항 측정 설계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요약 건전지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회로를 구성하고 직접 측정해 보았다. 실습 계획서에 0~1Ω으로 작은 저항 값이 나올 것이라고 예측했고, 실제 측정값은 약 1.05Ω으로, 실제 결과 값과 유사하게 예상했다고 할 수 있다. 2. DC Power Supply 사용법 익히기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히고 각 단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실험을 진행했다. 첫째는 DC Power Supply의 최대 공급전류를...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