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본 내용은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2. 전원의 출력저항, DMM의 입력저항 측정회로 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1
문서 내 토픽
  • 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전압 측정값은 6.479V가 나왔고 10Ω 저항값은 11.086Ω, 저항 10Ω에 걸리는 전압은 6.422V가 나왔다. 건전지의 내부저항이 1Ω을 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는데 R_a = {RV} over {V_0} -R을 이용하여 건전지의 내부저항이 1.184Ω임을 알 수 있었다. 건전지의 경우 사용할수록 전압은 낮아지고 내부저항은 높아지는 특성을 갖고 있고, 온도에 따라 저항값의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에 이번 내부저항의 실험값은 실제보다 커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 2. DC Power Supply 사용법
    output1의 출력단자에 10Ω을 연결하고 측정한 결과 전압은 1V 전류는 0.1A가 나왔다. 최대전류를 50㎃로 변경하고 저항 10Ω을 연결한 결과 전압은 0.5V 전류는 50㎃가 나왔다. DC Power Supply의 다이얼을 돌려 전류를 증가시킬 때 0.1A를 기준으로 'CC'에서 'CV'로 변경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0~0.1A 까지는 정격전압 1V를 넘지않기 때문에 CC로 유지되지만 0.1A를 넘어선 순간부터는 정격전압을 넘게 되고 따라서 이를 유지하기 위해 CV로 변경되어 전류가 증가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 3. DC Power Supply 단자간 전압 측정
    DC Power Supply와 DMM을 이용하여 두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하지만 output1과 output2의 단자는 독립적이기 때문에 그 두 단자사이의 전압 측정값은 의미없는 값이였다. 따라서 두 단자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할 때는 기준설정이 중요함을 깨달을 수 있었다.
  • 4. DMM 입력저항 측정
    저항에 걸리는 전압 측정값을 바탕으로 DMM의 입력저항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DMM의 입력저항은 10.165㏁ 이고 오차는 1.65%로 매우 성공적인 실험이었다. 앞선 실험은 한 개의 저항으로 이용한 실험이었다면 이번 실험은 같은 크기의 저항 2개를 직렬연결하여 각 저항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DMM의 입력임피던스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DMM의 입력임피던스는 10.205㏁ 이 나왔는데 이론값이 10㏁과 비교했을 때 오차는 2.05%이었다. 저항 성분이 DMM의 입력임피던스 보다 크다면 부하효과가 발생하여 측정전압이 실제 전압보다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 5. 220V 교류전압 측정
    DMM으로 건물에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1-2, 1-3, 2-3 포트를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한 결과 적은 오차율을 보이므로 비교적 정확한 실험이라고 판단된다. 1-2, 2-3 포트의 합인 219.957V로 1-3포트와의 오차율이 -0.174%이고, 1-2, 2-3 포트의 합은 220.348V로 1-3포트와의 오차율은 -0.028%이다. 1-2, 2-3포트를 합하는데에 있어 전압 위상이 다르기 때문에 이러한 작은 오차율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
    건전지의 내부저항 측정은 배터리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내부저항이 높다는 것은 배터리의 수명이 다했거나 배터리가 손상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내부저항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배터리 교체 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내부저항 측정은 배터리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전지 내부저항 측정은 배터리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DC Power Supply 사용법
    DC 전원 공급 장치(DC Power Supply)는 전자 회로 및 장치 구동에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이 장치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회로 및 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DC 전원 공급 장치의 주요 사용법으로는 출력 전압 및 전류 조절, 과전류 및 과전압 보호 기능 활용, 출력 단자 연결 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용법을 숙지하고 실제로 적용하는 것은 전자 회로 및 장치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구동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DC 전원 공급 장치의 올바른 사용은 회로 및 장치의 수명 연장과 안정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 3. DC Power Supply 단자간 전압 측정
    DC 전원 공급 장치(DC Power Supply)의 단자 간 전압 측정은 회로 및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전원 공급 장치의 출력 전압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그리고 회로 내부의 전압 강하나 전압 변동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자 간 전압 측정은 회로 문제 진단, 전원 공급 장치 고장 여부 확인, 회로 설계 검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C 전원 공급 장치의 단자 간 전압 측정 기술은 전자 회로 및 장치 개발, 유지보수, 문제 해결 등에 있어 필수적인 역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4. DMM 입력저항 측정
    디지털 멀티미터(DMM)의 입력 저항 측정은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에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입력 저항이 너무 낮으면 회로에 부하가 걸려 측정 결과가 왜곡될 수 있으며, 입력 저항이 너무 높으면 측정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DMM의 입력 저항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DMM의 입력 저항은 10MΩ 이상으로 설계되지만, 특수한 용도의 경우 입력 저항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저항 측정을 통해 회로의 부하 특성을 파악하고,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5. 220V 교류전압 측정
    220V 교류 전압 측정은 전기 및 전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는 전기 기기와 회로의 안전한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220V 교류 전압 측정 시에는 안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감전 사고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절연된 측정 프로브와 안전한 측정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멀티미터(DMM)와 같은 정밀한 측정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20V 교류 전압 측정은 전기 시스템의 상태 점검, 고장 진단, 안전성 확인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기술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은 전기 및 전자 분야 종사자에게 필수적인 역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