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결과보고서]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본 내용은
"
[A+결과보고서]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17
문서 내 토픽
-
1. DMM 사용법DMM은 저항,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장치로써 "HI" 단자와 "LO"단자에 리드선을 연결하여 측정을 진행한다. 저항, 전압, 전류 마다 측정하는 방법과 측정하는 회로가 각각 다르며 일반적으로 전압과 저항을 측정할 때는 병렬, 전류를 측정할 때는 직렬로 연결하여 측정한다.
-
2. DC Power Supply 사용법DC power supply는 두 단자 사이에 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직류전원 전압의 크기를 일정범위 내에서 가변 공급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
3. 고정저항 측정DMM을 이용해 고정저항의 실제 값을 측정하여 오차율을 구해보았다. 30개의 저항 중 오차를 벗어난 저항은 단 1개도 없었고, 측정결과의 표준편차는 0.024로 나타났다.
-
4. 가변저항 측정가변저항을 측정하였고 2-wire 측정법과 4-wire 측정법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4-wire 측정법으로 측정한 저항 값이 2-wire 보다 더 작게 측정되었고 직렬로 연결하였을 때 이론 값과 더욱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5. 건전지 전압 측정건전지의 실제 전압을 측정해보았고 건전지의 내부저항으로 인해 6V보다 낮은 전압이 측정되었다.
-
6. 직렬/병렬 저항 전압 측정직렬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들의 실제 전압 값들을 측정하여 전류를 구함으로써 옴의 법칙을 통해 구해진 이론 값과 비교하였다.
-
7. DMM 내부저항 측정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여 내부저항이 매우 큼을 알게 되었다.
-
1. DMM 사용법DMM(Digital Multimeter)은 전압, 전류, 저항 등 다양한 전기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필수적인 전자 계측기입니다. DMM 사용법을 숙지하면 전자 회로 분석, 고장 진단, 유지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DMM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측정 범위 설정, 안전한 연결, 측정 방법 등입니다. 이를 숙지하면 정확하고 안전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DMM 사용법을 익히면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2. DC Power Supply 사용법DC Power Supply는 전자 회로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DC Power Supply 사용법을 숙지하면 전자 회로 설계, 테스트, 유지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DC Power Supply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출력 전압 및 전류 설정, 과전압/과전류 보호 기능 활용, 안전한 연결 등입니다. 이를 숙지하면 전자 회로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DC Power Supply 사용법을 익히면 전자 회로 설계 및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3. 고정저항 측정고정저항 측정은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고정저항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저항 값 범위 설정, 측정 단자 연결, 측정 방법 등입니다. 이를 숙지하면 정확한 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고정저항 측정 기술을 익히면 전자 회로의 동작 원리 이해, 고장 진단, 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4. 가변저항 측정가변저항 측정은 전자 회로 설계 및 문제 해결에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가변저항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저항 값 범위 설정, 측정 단자 연결, 측정 방법 등입니다. 이를 숙지하면 정확한 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가변저항 측정 기술을 익히면 전자 회로의 동작 원리 이해, 회로 조정, 고장 진단, 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5. 건전지 전압 측정건전지 전압 측정은 전자 회로 및 장치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건전지 전압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측정 범위 설정, 측정 단자 연결, 측정 방법 등입니다. 이를 숙지하면 정확한 전압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건전지 전압 측정 기술을 익히면 전자 회로 및 장치의 전원 상태 확인, 고장 진단, 배터리 수명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6. 직렬/병렬 저항 전압 측정직렬 및 병렬 저항 전압 측정은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에 필수적입니다. 직렬/병렬 저항 전압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측정 범위 설정, 측정 단자 연결, 측정 방법 등입니다. 이를 숙지하면 정확한 전압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직렬/병렬 저항 전압 측정 기술을 익히면 전자 회로의 동작 원리 이해, 고장 진단, 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7. DMM 내부저항 측정DMM(Digital Multimeter) 내부저항 측정은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에 필수적입니다. DMM 내부저항 측정 시 주의해야 할 점은 측정 범위 설정, 측정 단자 연결, 측정 방법 등입니다. 이를 숙지하면 정확한 내부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DMM 내부저항 측정 기술을 익히면 전자 회로의 동작 원리 이해, 고장 진단, 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전자 회로 분석 및 문제 해결 능력이 향상되어 전자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중앙대 전자회로 설계 실습 결과보고서4_MOSFET 소자 특성 측정1. MOSFET 회로 제작 및 측정 설계실습 4 결과보고서. MOSFET 소자 특성 측정4. 설계실습 내용 및 분석 (결과 report 작성 내용)$ 4.1 MOSFET 회로의 제작 및 측정(A) 그림 1의 회로를 제작하여라. 이때, =1MΩ으로 설정한다. 또한, DC Power Supply를 회로에 연결 전에 =0V, =5V로 조정 후 Outp 후에 u...2025.01.11 · 공학/기술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1. 저항 측정 실험을 통해 단일 고정 저항과 병렬 연결된 합성 저항의 측정값을 확인하였다. 단일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0.7% ~ 2.1% 이내로 나타났고, 병렬 연결 저항의 경우 오차율이 더 작아졌다. 이를 통해 저항 측정 시 허용오차 범위 내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가변 저항 측정 가변 저항의 경우 가운데 단자와 양쪽 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2025.04.29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 보고서1. 저항 값 분포 실험 결과, 대부분의 저항값이 9.8kΩ에 있으며 정확히 10kΩ이거나 10kΩ를 초과하는 저항은 없었다. 최대 오차율은 2.3%로 허용 오차범위인 5%내에 모두 측정되었다. 저항 값의 분포는 9.7kΩ에 26.6%인 8개, 9.8kΩ에 70%인 21개, 9.9kΩ에 3.33%인 1개로 나타났다. 2. 전압 및 전류 측정 이 부분에 대한...2025.05.03 · 공학/기술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1.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1. 저항 측정 30개의 저항을 측정한 결과 모든 저항이 5%의 오차 범위를 만족하였고 평균값은 9.82kΩ, 표준편차는 0.0308kΩ이었다.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면 표준편차가 32.4%로 작아짐을 확인하였다. 2. 전압 측정 6V 건전지의 출력전압은 2.83V로 내부 저항이 매우 컸으며, DMM으로 측정한 전압에 대한 DC power supply에 표시...2025.05.15 · 공학/기술
-
[A+결과보고서]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6페이지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요약DMM을 이용해 10kΩ, 6v 건전지 등 실제 저항,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을 익히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회로를 설계하였다. 측정값과 이론에 맞게 예상한 값을 비교 분석하여 리드선의 저항, 온도의 변화 등 두 값의 차이(오차)의 원인을 분석하고 오차 값이 매우 작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사용계측기DMM(Digital Multimeter)DC Power Supply1. 서론DMM을 이용하여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을 익히고 실험결과 분석을 통하여 Ohm의 법칙과 KVL, K...2022.03.08· 6페이지 -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 - [전기회로설계실습 A+ 자료] 9페이지
1주차 결과보고서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조 2******* ***4. 설계실습내용 및 분석※ 다른 지시가 없다면 측정값은 유효숫자 세 자리까지 기록한다.※ 실험시작 전에 조교의 지시에 따라 DMM과 DC Power Supply의 전원선을 220 V poweroutlet(소켓)에 연결한 후 전원버튼을 누른다. 모든 전기전자 장비는 온도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는 전원을 켠 후 10분 정도 기다렸다가 측정해야 한다. 전원선은 반드시 접지단자가 있는 220 V pow...2021.09.06· 9페이지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12페이지
3. 결론본 실험을 통해 Digital Multimeter와 DC power supply의 사용방법과 저항, 전압, 전류 측정을 위한 회로 설계 방법 및 측정 방법을 익힐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단일 저항보다 병렬연결을 통한 합성 저항의 측정값이 더 작아 표준편차가 더 작아졌으며, 두 경우 모두 오차율이 0.7% ~ 2.1% 이내로 저항의 허용오차인 ±5%보다 낮은 오차율을보여 저항의 허용오차는 신뢰할 수 있는 수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가변 저항은 가운데 단자와 양쪽 두 단자사이의 저항값을...2023.02.06· 12페이지 -
[A+]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7페이지
설계실습 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제출날짜 : 2021.09.26*코로나로 인한 대면수업 불가로 실험조교의 강의영상을 참조함요약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하여 저항(2-wire 측정법, 4-wire 측정법),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혔다. 회로를 직접 설계하여 이를 확인하였고, 이론값과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오차율이 매우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사용계측기DMM(Digital Multimeter)(KEYSIGHTE 34450A), DC Power S...2022.01.10· 7페이지 -
[A+]설계실습1 저항,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 8페이지
1.서론 이 실험에서 측정회로를 설계하고 실습을 통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서 Digital Multimeter를 이용한 저항(2-wire 측정법, 4-wire 측정법), 전압, 전류의 측정방법을 익히고 DC Power Supply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다. 2.실험결과 4.1 고정저항 측정 4.1-① (2-wire 측정법): 반드시 빨간 연결선이 “HI”, 검은색 선이 “LO”에 연결되도록 DMM의 오른쪽 맨 위에 있는 Input(V Ω) 아래의 “HI, LO"에 색깔에 맞추어 연결하라. 저항을 연결하기 전에 Ω(2w, 4w)를...2021.08.09·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