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개
-
(식품위생학)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IARC)에서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025.01.261. 국제암연구기관에 의한 발암물질 분류 기준 국제암연구기관(IARC)에 의한 발암물질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Group 1은 '인체에 암을 유발하는 충분한 증거를 가지고 있는 것'이며, Group 2A는 '인체에 암을 유발한다는 제한적 증거를 나타내거나, 동물실험에 있어 발암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있는 것'이다. Group 2B는 '인체에 암을 유발한다는 제한적 증거가 있거나, 동물실험에 있어 발암에 대한 불충분한 근거'를 가진 물질이다. 1일 섭취허용량은 '사람이 한 평생 매일 먹어도 영향이 없다고 생각되는 화학물질의 1일 ...2025.01.26
-
휴대전화와 전자기파2025.04.261. 전자기파와 암 전자기파는 DNA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할 수 있다. 전자기파는 공유결합을 손상시키고, 이로 인해 DNA가 손상되어 세포가 죽게 된다. 2. 휴대전화 전자기파 휴대전화에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는 광자 에너지가 C-C 공유결합 에너지보다 낮아 직접적인 DNA 손상은 어렵지만, 장기간 사용 시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휴대전화 전자기파의 발암 가능성 국립암센터 연구팀의 메타분석 결과, 휴대전화를 1,000시간 이상 장기간 사용할 경우 종양 발생 위험이 1.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25.04.26
-
(식품위생학)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IARC)에서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2025.01.221. 국제암연구기관에 의한 발암물질 분류 기준 국제암연구소(IARC)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기구이다. 해당 연구소는 '발암요인 확인평가 그룹(The Carcinogen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Group, CIE)'을 주축으로 하여 1971년 이후부터 IARC 모노그래프 프로그램(Monograph Program)을 운영하고 있다. 국제암연구소는 2023년 현재 1,108종의 위험요인의 발암성을 검토했다. 그리고 그에 대한 결과를 담아서 '인체 발암요인에 관한 평가보고서(Monographs on t...2025.01.22
-
벤젠과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상관관계 및 산업재해 승인과 관련한 탐구2025.01.281. 벤젠의 특성과 발암성 벤젠은 IARC(국제암연구소) 발암 물질 분류에서 사람에게 발암성이 확인된 발암물질이다. 무색의 투명한 액체로 휘발성이 강해 휘발유와 비슷한 냄새가 나며, 휘발성으로 인해 주로 공기 중으로 배출된다. 벤젠은 호흡을 통해서 흡입되면 체내에 약 50%가 흡수되고, 흡연을 할 경우에는 체내 흡수율이 65% 더 높다. 벤젠은 플라스틱, 합성 섬유 제로, 고무, 세제, 농약 등의 생활에 필요한 생활용품을 만드는 기초 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실내에서 배출될 수 있고, 자동차 배기가스, 휘발유, 담배에도 벤젠이 미량 ...2025.01.28
-
식품위생학 - 아스파탐과 식품첨가물 사용기준2025.01.241. 국제암연구기관의 발암물질 분류 기준 국제암연구소(IARC)는 발암물질을 5개 군으로 분류한다. Group 1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이 확실한 군이고, Group 2A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은 군, Group 2B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군이다. Group 3는 인간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는 군이며, Group 4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지 않을 개연성이 높은 군이다. 평가 기준으로는 역학 조사, 동물 실험, 발암 메커니즘 연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2. 1일 섭취 허용량(ADI) 정의...2025.01.24
-
발암물질의 분류(IARC, ACGIH, EPA, 산업안전보건법)2025.04.261. 발암물질 분류(IARC, ACGIH, EPA, 산업안전보건법) IARC에 따르면 발암물질은 Group 1(사람에 대한 발암성 확인), Group 2A(사람에 대한 발암성 추정), Group 2B(사람에 대한 발암성 가능), Group 3(사람에 대한 발암성 분류 불가), Group 4(사람에 대한 발암성 가능성 낮음)로 분류됩니다. ACGIH는 A1(사람에 대한 발암성 확인), A2(사람에 대한 발암성 의심), A3(동물에 대한 발암성 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EPA는 Group A(사람에 대한 발암성 확인), Group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