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71개
-
Carbocataion rearrangement: benzopinacolone2025.01.211. Carbocation 탄소 양이온은 탄소 원자가 양전하로 하전된 물질로, 대표적으로 methenium cation과 vinyl cation이 이에 해당한다. 탄소 양이온은 탄소가 n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을 때 n차 carbocation, 즉 1차(primary), 2차(secondary), 3차(tertiary) carboca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탄소 양이온은 sp2 Hybridized orbital과 비어있는 P orbital을 갖고 있다. 따라서 결합 각이 120도인 trigonal planar구조로 3개의 sp...2025.01.21
-
유기화학실험 TLC2025.05.111.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TLC는 비휘발성 반응물의 정성 분석에 이용되며, 빠르게 결과를 도출할 수 있고 극소량의 시료로도 detection이 가능한 액체 Chromatography로서 주로 glass에 고정상을 coating하여 사용한다. TLC plate에는 이 외에도 aluminum이 있지만 heating 시 수축할 수 있고, 적은 확률로 plastic plate를 사용하기도 하며 최근에는 상업적으로 이미 제조된 것을 구입해 실험에 사용한다. TLC를 사용하는 경우 어떠한 시료가 순수한지의 ...2025.05.11
-
Gram staining and microscopic observation2025.05.041. Gram staining Gram staining is a method used to classify bacteria into two main groups: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ies in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ir cell walls. Gram-positive bacteria have a thick peptidoglycan layer, while Gram-negative ba...2025.05.04
-
H&E staining 방법과 사용된 시약의 역할2025.05.101. H&E staining H&E staining은 hematoxylin과 eosin을 염색 시약으로 하는 조직 염색 기법이다. H&E staining을 통해 세포 또는 조직의 종류와 구조를 관찰하여 질병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 Haematoxylin은 양이온성 염기성 시료로 세포내 호염기성 구조인 세포핵과 결합하며 푸른색 또는 보라색으로 염색한다. Eosin은 음이온성 산성염료로 호산성 구조인 세포외기질과 세포질과 결합하며 붉은색 또는 분홍색으로 염색한다. 핵이나 세포질에 해당하지 않는 그 외 세포소기관은 두 가지 색이 혼합되...2025.05.10
-
Giemsa staining report, A+ 생명과학실험 레포트2025.05.131. Methylene blue Methylene blue (Methylthioninium chloride)는 hydrogen sulfide가 있을 때에 dimethyl-phenylene diamine을 ferric chloride와 함께 oxidization해서 만들어지는 thiazine dye이다. Thiazine은 organic compound로 4개의 탄소, 하나의 nitrogen, 하나의 sulfur atom을 포함하는 링 구조를 가진다. Sulphur와 nitrogen이 central ring에 붙어있으며, chlorin...2025.05.13
-
[A+ 리포트] Crystal violet staining (세포생물학실험)2025.04.251. Crystal violet staining Crystal violet staining은 세포생물학 실험에서 사용되는 기법으로, 세포의 핵 내 DNA에 결합하여 세포를 보라색으로 염색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세포의 밀도와 분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험 과정에서는 HeLa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배양하고, PBS 세척, 메탄올 고정, Crystal violet 염색 등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실험 결과 분석에서는 세포 밀도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으며, 세포 탈락의 원인에 대해서도 고찰해볼 수 있습니다. 1. Crystal...2025.04.25
-
유기화학실험 A+ Report 1 TLC2025.05.151. Thin Layer Chromatography (TLC) TLC는 비휘발성 반응 혼합물의 정성 분석에 사용되는 일종의 Liquid Chromatography로,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의 mobile phase와 stationary phase에 대한 adsorption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분리가 가능합니다. TLC는 시료 정제 모니터링, 합성 조건 설정, 반응 혼합물 검사, 시료 동질성 확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실험에서는 다양한 용매 조건을 변화시켜 TLC를 수행하고, 각 시료의 Rf 값을 계산하여 적절한 용매 조건을...2025.05.15
-
나노바이오실험(1) A 자료) 2. Gram staining, Streaking2025.01.041. Gram staining Gram staining은 세균을 염색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으로 구분할 수 있는 분열염색법이다. 그람양성균은 세포벽에 펩티도글리칸이 두껍고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어 에탄올 처리 시 탈색되지 않고 보라색으로 관찰된다. 반면 그람음성균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펩티도글리칸을 가지며 지질 다당질, 지질 단백질 등으로 구성된 외막을 가지고 있어 에탄올 처리 시 탈색되어 붉은색으로 관찰된다. 이번 실험에서는 Gram staining을 통해 채취한 균주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2. Streak plate meth...2025.01.04
-
[식품미생물학실험 레포트] S. aureus의 gram staining과 coagulase, catalase test2025.05.131. Gram staining Gram staining은 세균을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그람 양성균은 두꺼운 peptidoglycan 층으로 인해 crystal violet-iodine 복합체가 빠져나가지 못해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그람 음성균은 얇은 peptidoglycan 층으로 인해 복합체가 빠져나가 대조 염색약인 safranin에 의해 붉은색으로 염색된다. 실험 결과 S. aureus는 그람 양성균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일부 균체가 붉은색을 띠는 이유는 오랜 에탄올 처리로 인해 복합체가 빠져나갔기 ...2025.05.13
-
대장균 계대배양-선상 도말 평판 배양법과 gram staining2025.01.031. 대장균 계대배양 대장균의 세포증식을 위해 계대배양을 수행하였습니다. 배양된 대장균 S. aureus와 E. coli 중에서 colony 하나를 백금이의 loop 부분으로 떠서 LB agar plate에 4차 tracking 방법으로 도말하였습니다. 이후 37°C에서 over night 배양하여 균을 증식시켰습니다. 2. Gram staining 슬라이드 글라스에 멸균 증류수 한 방울을 떨어뜨리고, 배양된 E. coli와 S. aureus를 백금이의 loop 부분으로 떠서 슬라이드 위의 물방울과 잘 섞어 얇게 도말하였습니다. 이...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