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개
-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 바이오센서 실험 결과2025.11.171.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LSPR) 바이오센서 LSPR 바이오센서는 금속 박막 표면에 물질이 결합할 때 금속 표면의 굴절률 변화를 이용하는 센서이다. 표면에 결합하는 물질의 양이 증가하면 금속 표면의 질량이 증가하고 굴절률이 증가하여 공명각이 증가한다. 이를 통해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굴절률 증가에 따라 피크 파장도 증가한다. UV-visible 분광법으로 피크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표면에 결합한 물질의 농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2. 금 나노입자(AuNPs)와 Thrombin 결합 실험에서 금 나노입자 표면에...2025.11.17
-
신경외과(NS) 수술시 자주 사용하는 약물 (지혈제 등)-NS 수술스크럽이 직접 정리한 자료2025.05.061. Avitene 솜모양의 특수 압축된 모양으로, Microfibrillar collagen이 출혈부위에 접촉되어 혈소판의 점착과 응집을 유도하는 지혈제입니다. 반투명한 엷은 황색의 경고제로, 주로 밀랍으로 만들고 연화제로 파라핀이나 바셀린, Isopropyl Palmitate를 혼합하여 기계적 압력을 제공합니다. 2. Bone wax 산화재생 셀룰로오스로 만든 엷은 황색의 멸균 거즈로, 국소출혈방지용 흡수성 지혈제입니다. 수술 시 모세혈관, 정맥 및 소동맥의 출혈에 대해 결찰 등의 다른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을 때 사용하는 지혈 ...2025.05.06
-
국소표면플라즈몬공명 바이오센서 실험2025.11.171. Turkevich 합성법 금 나노입자 합성의 일반적인 화학 합성 기술로, 종자 매개 성장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한다. 금 전구체의 부분적 환원으로 작은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이들이 반경 5.1958nm 이상의 종자 입자를 형성한다. 나머지 금 이온은 전자 이중층에 공이온으로 끌려 시드 입자 표면에서 성장하며, 정확한 크기와 형태의 금 나노입자를 대규모로 합성할 수 있다. 2. 국소표면플라즈몬공명(LSPR) 금속 나노입자 표면에서 빛과 자유전자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다.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금속 구조에서 발생하며, ...2025.11.17
-
Staphylococcus aureus 정성시험2025.01.241.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는 Gram-positive 구균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균 중 하나이다. 이 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인간의 호흡계통 및 피부 등에서 자주 발견된다. 식품 내에서 증식하면서 생성된 장독소(enterotoxin)를 섭취하면 독소형 식중독이 발생한다. S. aureus는 식중독균 중 잠복기가 가장 짧은 것이 특징이며, 보통 섭취 후 1-5시간 후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은 약 7시간 동안 지속된다. 2. TSB(Tryp...2025.01.24
-
협심증 환자의 간호 사례2025.01.111. 안정형 협심증 안정형 협심증은 관상동맥질환의 비교적 초기 단계에서 볼 수 있으며, 신체적 노력이나 정서변화에 의해서 흉통이 발생되므로 노작형 협심증이라고도 한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의 협착으로 심근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허혈 상태가 오며 이때 심한 흉통이 일어난다. 협심증의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흉통과 가슴이 답답함, 얼굴이 창백해지고 식은땀, 심계 항진, 불안감, 피로 등이 있다. 협심증의 치료로는 관상동맥중재술,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죽종 절제술 등이 있으며 약물 치료로는 항혈소판제, 질산염제제, B-교감신...2025.01.11
-
파종성혈관내응고,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총정리 A+자료2025.05.071. 파종성혈관내응고 파종성혈관내응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는 질병이 아니라 어떤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자극된 정상적인 응고과정이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결과이다. 급성 DIC의 원인으로는 쇼크, 패혈증, 용혈 과정, 산과적 조건, 조직 손상, 열사병, 심한 뇌손상, 이식거부반응, 수술 후 외상 등이 있다. 아급성 DIC는 악성 질환, 급성 백혈병, 전이성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성 DIC는 간질환, 전신 홍반 루푸스, 국소화된 악성 질환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병태생...2025.05.07
-
성인간호학 혈우병 case study (간호진단 3가지-낙상, 출혈, 불안)2025.01.131. 혈우병의 원인과 병태생리 혈우병은 응고인자의 결함이나 결핍으로 발생되는 유전적 출혈 장애로, 혈우병 A, 혈우병 B, 혈우병 C, 본빌레브란드병 질환 등이 포함된다. 혈우병 A와 B는 임상적으로 거의 구분할 수 없으나 검사치로 구별이 가능하다. 혈우병 A는 응고인자 VIII의 결핍, 혈우병 B는 응고인자 IX의 결핍으로 인한 출혈 장애이다. 2. 혈우병의 증상 혈우병의 주요 증상으로는 관절 내 출혈, 연부 조직 출혈, 근육 내 출혈 등 심부 조직의 출혈이 있다. 출혈은 가벼운 상처를 입은 후에 나타날 수 있으며 저절로 발생하기...2025.01.13
-
ABGA, CBC, 전해질, 당뇨, 종양표지자 Lab 정상 수치 및 임상적 의의2025.05.041. 일반 혈액검사 WBC, N-Seq(호중구), Lymphocytes(림프구), Monocytes(단핵구), Eosinophils(호산구), Basophils(호염기구), RBC, 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 MCV, MCH, MCHC, ESR, CRP 등의 정상 수치와 임상적 의의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혈액화학검사 Na, K, Cl, LDH, Ca, Phosphate, BUN, Cr, Uric Acid, Ammonia, Bilirubin, Mg, Serum Osmolality, AST,...2025.05.04
-
레닌저 생화학 정리노트 Ch06. 효소2025.05.101. 효소의 개요 효소는 대부분 단백질이지만 일부 RNA(ribozymes and ribosomal RNA)도 반응을 촉매할 수 있다. 효소의 촉매 활성은 천연 단백질 형태의 무결성에 따라 달라지며, 일부 효소는 추가적인 화학 성분인 cofactor(보조인자)와 coenzyme(보조효소)를 필요로 한다. 효소는 반응 속도를 높이고 반응 조건을 완화시키며 생물학적 경로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효소의 작동 원리 효소는 활성 부위에서 기질과 결합하여 효소-기질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반응 속도를 높인다. 효소는 활...2025.05.10
-
[약리학] 약물 분석과제 - 항응고제2025.05.111.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coumarin 유도체와 heparin의 두 가지 약물군으로 분류된다. 새로운 혈괴가 형성되는 것을 예방하고, 현존하는 응괴가 자라는 것을 멈추기 위해 사용된다. 혈전 생성을 예방하고, 정맥혈전증, 폐색전증, 관상혈관 폐색 등의 질환에서 생성된 혈전이 더 이상 파급되는 것을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헤파린은 정맥주사를 할 경우 즉각적인 효과가 필요할 때 선택되어지는 항응고제로, 위장관에서 흡수되지 않는다. 헤파린은 초기에는 주사로, 그 이후에는 경구용 항응고제(와파린 등)으로 교체하여 투여한다. 2. Co...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