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aphylococcus aureus 정성시험
본 내용은
"
Staphylococcus aureus 정성시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6
문서 내 토픽
-
1. Staphylococcus aureus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는 Gram-positive 구균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균 중 하나이다. 이 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인간의 호흡계통 및 피부 등에서 자주 발견된다. 식품 내에서 증식하면서 생성된 장독소(enterotoxin)를 섭취하면 독소형 식중독이 발생한다. S. aureus는 식중독균 중 잠복기가 가장 짧은 것이 특징이며, 보통 섭취 후 1-5시간 후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은 약 7시간 동안 지속된다.
-
2. TSB(Tryptic Soy Broth) 배지TSB(Tryptic Soy Broth) 배지는 일반적인 호기성, 통성호기성 그리고 혐기성 세균과 곰팡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세균의 성장을 도와주는 영양배지이다. 이 배지에 NaCl을 첨가하여 고염도 조건을 유도하면 S. aureus와 같은 내염성 미생물의 선택적 증식을 유도할 수 있다.
-
3. Baird-Parker Agar(BPA) 배지Baird-Parker Agar(BPA) 배지는 S. aureus의 분리 및 분화를 위한 감별 배지이다. 이 배지에는 sodium pyruvate, glycine, lithium, tellurite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S. aureus의 성장을 촉진하고 대부분의 다른 미생물 생장을 억제한다. 또한 egg yolk-tellurite emulsion이 첨가되어 S. aureus가 tellurite를 환원하여 흑색 집락을 형성하고 lecithinase 반응으로 불투명한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
4. Tellurite 환원BPA 배지에 첨가된 tellurite는 S. aureus와 같은 bacteria에 의해 환원되어 telluride(Te2-)로 전환되면서 배지 내에서 검은색 집락을 형성한다. Tellurite는 전자전달계에서 NADH 및 FADH2를 산화시켜 양성자 receptor로 작용하는 Q/QH2 pool level에서 전자를 추출하여 환원되는 기전을 갖는다.
-
5. Lecithinase 반응S. aureus는 BPA 배지에서 lecithinase를 분비하여 egg yolk에 포함된 lecithin을 분해한다. 이 과정에서 소수성의 diglycerol과 친수성의 phosphate group으로 분해되어 집락 주변으로 불투명한 영역이 생성된다.
-
6. 혈액 응고 기전S. aureus가 생성하는 coagulase 효소는 prothrombin을 thrombin으로 전환시켜 fibrinogen을 fibrin으로 분해함으로써 혈액 응고를 촉진한다. 이를 통해 S. aureus는 식균작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
7. Gram 염색법Gram 염색법은 세균의 세포벽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Gram-positive와 Gram-negative 세균을 구분하는 방법이다. Gram-positive 세균은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인해 보라색으로 염색되고, Gram-negative 세균은 얇은 펩티도글리칸 층으로 인해 분홍색으로 염색된다.
-
8. Coagulase 시험Coagulase 시험은 S. aureus를 다른 Gram-positive, catalase-positive 구균과 구별하는데 유용하다. S. aureus는 coagulase 효소를 생성하여 prothrombin을 thrombin으로 전환시켜 fibrinogen을 fibrin으로 분해하여 혈액 응고를 촉진한다.
-
9. Oxidase 시험Oxidase 시험은 세균이 cytochrome oxidase 효소를 보유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시험이다. 이 효소는 전자전달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oxidase-positive 세균은 시약과 반응하여 푸른색으로 변한다.
-
10. 황태포 내 S. aureus 오염 여부실험 결과, 황태포에서는 S. aureus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신 S. epidermidis와 같은 다른 Gram-positive 구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황태포의 경우 S. aureus에 비해 lecithinase 활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1. Staphylococcus aureusStaphylococcus aureus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사람과 동물의 피부와 점막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입니다. 하지만 이 균은 여러 가지 독소와 효소를 생산하여 다양한 감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식중독, 피부 및 연조직 감염, 폐렴, 균혈증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메티실린 내성 S. aureus(MRSA)는 병원 내 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S. aureus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
2. TSB(Tryptic Soy Broth) 배지TSB(Tryptic Soy Broth) 배지는 일반적인 세균 배양에 널리 사용되는 배지입니다. 이 배지는 다양한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어 대부분의 세균이 잘 자랄 수 있습니다. S. aureus를 비롯한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 세균의 증식을 지원하며, 배양 후 균의 생화학적 특성 분석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TSB 배지는 세균 분리 및 동정 실험에서 필수적인 배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3. Baird-Parker Agar(BPA) 배지Baird-Parker Agar(BPA) 배지는 S. aureus를 선택적으로 분리 및 동정하는 데 사용되는 배지입니다. BPA 배지에서 S. aureus는 검은색 집락을 형성하며, 주변에 투명한 환이 관찰됩니다. 이는 S. aureus가 lecithinase와 같은 효소를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BPA 배지는 S. aureus의 분리와 동정에 매우 유용하며, 식품 및 임상 검체에서 S. aureus를 검출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따라서 BPA 배지는 S. aureus 감염 진단 및 식품 위생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Tellurite 환원Tellurite 환원 능력은 S. aureus를 동정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생화학적 특성 중 하나입니다. S. aureus는 tellurite를 환원하여 검은색 집락을 형성하는 반면, 다른 Staphylococcus 속 세균은 이 능력이 없습니다. 따라서 tellurite 환원 시험은 S. aureus를 다른 Staphylococcus 속 세균으로부터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시험은 BPA 배지에서 관찰되는 검은색 집락 형성과 함께 S. aureus 동정의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
5. Lecithinase 반응Lecithinase 반응은 S. aureus를 동정하는 데 사용되는 또 다른 생화학적 특성입니다. S. aureus는 lecithinase라는 효소를 생산하여 난황 배지에서 불투명한 환을 형성합니다. 이 반응은 BPA 배지에서 관찰되는 투명한 환 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Lecithinase 반응은 S. aureus를 다른 Staphylococcus 속 세균으로부터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lecithinase 반응 시험은 S. aureus 동정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6. 혈액 응고 기전S. aureus는 coagulase라는 효소를 생산하여 혈액을 응고시킬 수 있습니다. Coagulase는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전환시켜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혈액 응고를 유발합니다. 이러한 혈액 응고 능력은 S. aureus를 다른 Staphylococcus 속 세균으로부터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Coagulase 시험은 S. aureus 동정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임상 검체에서 S. aureus 감염을 진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
7. Gram 염색법Gram 염색법은 세균을 그람 양성 세균과 그람 음성 세균으로 구분하는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S. aureus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Gram 염색 시 보라색으로 염색됩니다. Gram 염색은 세균의 세포벽 구조 차이에 기반하며, 이를 통해 S. aureus를 다른 그람 양성 세균과 구분할 수 있습니다. Gram 염색은 세균 동정의 첫 단계로, S. aureus 감염 진단에 필수적인 기법입니다.
-
8. Coagulase 시험Coagulase 시험은 S. aureus를 다른 Staphylococcus 속 세균으로부터 구분하는 데 가장 중요한 생화학적 특성 중 하나입니다. S. aureus는 coagulase라는 효소를 생산하여 혈액을 응고시킬 수 있습니다. Coagulase 양성 반응은 S. aureus 동정의 확실한 지표가 됩니다. 이 시험은 임상 검체에서 S. aureus 감염을 진단하는 데 널리 사용되며, 식품 및 환경 검체에서 S. aureus 오염을 확인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
9. Oxidase 시험Oxidase 시험은 세균의 호흡 특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S. aureus는 oxidase 음성 반응을 보이는데, 이는 호기성 세균이지만 호흡 과정에서 cytochrome c oxidase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Oxidase 시험은 S. aureus를 다른 그람 양성 세균, 특히 Micrococcus 속 세균으로부터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Oxidase 시험은 S. aureus 동정을 위한 보조적인 생화학적 특성 분석에 활용됩니다.
-
10. 황태포 내 S. aureus 오염 여부황태포는 전통적인 한국 식품으로, 건조 및 발효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중 S. aureus는 황태포 오염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S. aureus 오염은 식중독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황태포 내 S. aureus 오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BPA 배지, Coagulase 시험, Gram 염색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S. aureus를 정확히 검출하고 관리해야 할 것입니다.
-
병원성 미생물 실험 보고서(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리스테리아, 살모넬라) 3페이지
[실험 보고서]실험일시0000년 00년 00일실험자000실험 제목병원성 미생물 실험실험 목적김밥과 샌드위치에 병원성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하고자 한다.재료(기구 및 시약)실험재료70% 에탄올, 라텍스 장갑, 킴테크 와이퍼, 네임펜, 라벨 tape, 미생물별 가루배지, 증류수, 500ml bottle, 메스실린더, 시약스푼, 웨잉디쉬, 마그네틱바, 알루미늄호일, 멸균테이프, 편의점 김밥, 샌드위치, 멸균생리식염수, 멸균백, 가위, 핀셋, 웨잉디쉬, 알코올램프, 실험용 점화기, 마이크로피펫, 1ml팁, 시험관, 시험관랙...2024.09.15· 3페이지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실험 방법(단계별 사진 첨부) 15페이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분석 매뉴얼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는 운동성이 있는 그람양성 간균이다 . 열에 비교적 저항성이 강하며 , 저온에서도 천천히 발육⋅증식한다 . 냉동상태에서 생존 가능하며 , 70℃ 이상에서는 빠르게 불활성화된다 . 리스테리아 감염증은 미국의 경우 매년 십만 명 당 0.7 명 정도이며 치사율은 20∼40% 정도이다 . 조리하지 않는 채소는 섭취 전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해야 한다 . 일반적인 식중독 예방법에 따르며 , 리스테리아증에 취약한 임산부 , 노약자 ,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 등은 남은 음식 및 즉석...2022.05.31· 15페이지 -
황색포도상구균 시험 방법(단계별 사진 첨부) 14페이지
황색포도상구균 분석 매뉴얼황색포도상구균은 인간이나 동물의 피부 , 소화관에 상재하는 포도상 구균의 하나로 인간에게 농양 등 다양한 표피 감염 , 식중독 , 폐렴 , 수막염 ,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 군집을 이루는 균의 모양이 포도 송이를 닮아 붙여 졌으며 통형혐기성의 그람양성 구균이다 . 황색포도상구균 시험법으로는 황색포도상구균의 유무를 검사하는 정성시험과 황색포도상구균의 수를 산출하는 정량시험이 있다 . 1. 분석항목에 대한 소개 1. 실험실과 실험대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고 실험장비와 기구는 항상 일정한 장소에 보관한...2022.05.31· 14페이지 -
미생물 교육 및 실습자료, 식중독균 교육자료 77페이지
미생물 교육 및 실습목 차 1. 미생물의 특징 1. 미생물 특징 2. 미생물의 종류 3. 미생물의 성장 조건 4. 미생물 성장곡선 5. 식중독 분류 6. 위생 지표 세균2. 미생물 검사 방법 1. 미생물 실험실의 주의사항 2. 미생물 배양에 필요한 장비 3. 미생물 검사방법 원부재료 표면오염도 공중낙하균 4. 분리 배양 방법 Pour-Plate Method Spread-Plate Method Streak-plate method5. 일반 미생물 검사 방법 일반세균 대장균 대장균군 6. 병원성 미생물 검사방법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2022.05.31· 77페이지 -
비뇨기계 병원감염 15페이지
REPORT목 차1.서론…………………………32.재사용 기구…………………………33.주사기와 주삿바늘 관리…………………………44.피부소독…………………………45.불활성화된 소독제…………………………56.오염된 주사액과 혈액…………………………67.산후 자궁내막염과 산욕열…………………………88.비뇨기계 감염…………………………109.결론…………………………1410.참고문헌…………………………151. 서론병원감염(nosocomial infection)이란 ‘입원 당시에 없었던 혹은 잠복하고 있지 않던 감염이 입원기간 중, 혹은 외과수술환자의 경우 퇴...2021.01.24· 1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