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2개
-
DNA sensitivity test2025.01.181. DNA 구조와 기능 DNA는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분자로서 2개의 polymer strand가 double helix 구조를 이루며 4가지 염기가 상보적으로 결합한다. 다양한 요인에 의해 double strand 구조가 깨질 수 있으며, DNA repair system에 의해 복구되지만 심각할 경우 세포가 죽기도 한다. 2. DNA 손상 유발 물질 MMS(Methyl methanesulfonate)는 DNA adduct를 형성하여 DNA polymerase의 복제를 어렵게 하고 double strand break를 유발한다. ...2025.01.18
-
조직개발의 정의와 필요성2025.04.271. 조직개발 조직개발(Organization Development, OD)은 조직의 구조, 프로세스 및 문화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조직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계획된 변화의 프로세스입니다. OD의 목표는 조직을 환경에 맞게 조정하고, 성과를 개선하며, 구성원의 만족도와 웰빙을 높이는 것입니다. 2. OD의 필요성 OD의 필요성은 조직이 기술 발전, 글로벌 경쟁, 사회적 가치의 변화와 같은 새로운 도전과 기회에 끊임없이 직면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비롯됩니다. 따라서, 관련성과 성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025.04.27
-
미생물 탁도측정법(Turbidimetry Determination)2025.11.141. 탁도측정법(Turbidimetry) 액체 배양 시 미생물의 성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미생물이 액체배지에서 자라면서 세포 수 증가와 세포군 형성으로 인해 배양액이 탁해진다. UV-Vis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배양액의 탁도에 의해 산란되거나 흡수되는 빛의 양을 측정한다. 산란되거나 흡수된 빛의 양은 배양액 내 미생물의 농도에 정비례하므로 배양액의 미생물 수를 가늠할 수 있다. 2. OD(Optical Density) 측정 미생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배양액의 흡광도가 증가하므로 600nm에서 흡광계를 사용하여 OD를 ...2025.11.14
-
A+ 생화학실험 <12주차. Protein expression> 레포트2025.01.201. 발현 벡터 (pET vector) 발현 벡터(expression vector)는 분자 클로닝 결과로 얻은 재조합 DNA를 competent cell을 비롯한 다른 세포에 전달하는 데 사용한다. pET 벡터는 E. coli에서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대표적인 발현 벡터이다. pET 벡터는 플라스미드에 해당하나, 이 외에도 viral vector나 artificial chromosome 등이 발현 벡터로 사용될 수 있다. 발현 벡터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에서 자가 복제가 가능해야 하며, 제한 효소에 의한 ...2025.01.20
-
효소반응속도론: KM, Vmax값 측정 실험2025.11.141. 효소의 기본 개념 및 작용 메커니즘 효소는 생물학적 반응의 촉매로서 기질과 결합하여 효소-기질 복합체를 형성하고 활성화 에너지를 낮춤으로써 물질대사 속도를 증가시키는 생체 촉매이다. 효소는 활성부위에서 기질과 상보적 결합을 하며, 전이 상태 안정화, 대체 반응 경로 제공, 기질의 바닥 상태 불안정화 등의 방법으로 반응 속도를 높인다. 효소의 활성은 온도, pH, 저해제, 활성제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과도한 열에 노출되면 영구적으로 변성된다. 2. Michaelis-Menten 반응속도론 효소는 기질과 결합할 수 있는 활성...2025.11.14
-
DPPH assay를 이용한 항산화 능력 측정 실험2025.11.181. DPPH assay 및 항산화 능력 측정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용액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을 띠는 자유 라디칼을 가진 용액으로 517nm에서 파장의 peak를 가진다.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과 만나면 항산화제의 수소원자와 자유 라디칼이 소거되며 용액의 색이 노란색으로 변한다. 포도, 사과, 오렌지, 양파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한 결과 양파가 83.3%로 가장 높고 사과가 35.6%로 가장 낮은 항산화 능력을 보였다. 2.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의 원리 및 작동 분광광...2025.11.18
-
미생물 비성장속도 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2025.11.161. Lambert-Beer의 법칙 용액 내 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법칙으로,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물질이 특정 파장에서 빛을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물질의 농도를 결정한다. A = ε × c × l 식으로 표현되며, 액체 배지 내 균체 농도와 흡광도 간의 비례 관계를 이용해 균체 배양 및 양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광도가 0.2~0.8일 때 균체의 양과 선형 관계를 보인다. 2. Monod 식 미생물의 성장을 설명하는 모델로, 액체 배지에서 미생물이 사용하는 기질 농도와 미생물의 성장속도 간의 관계를 표현한다....2025.11.16
-
대장균 형질전환을 위한 Competent Cell 제조2025.11.141. Competent Cell 제조 낮은 온도에서 세포막 인지질의 유동성을 감소시키고, 염화칼슘으로 세포막의 음전하를 감소시켜 competent cell을 제조한다. 제조된 competent cell은 글리세롤에 현탁시켜 cell stock으로 보관된다. Competent cell은 외부 DNA 삽입이 용이하도록 화학적으로 처리된 대장균 세포로, 형질전환에 필요한 수용성 세포이다. 2. 형질전환 및 대장균 사용 이유 형질전환은 외부 DNA를 세포 내에 삽입하여 세포의 형질을 변환시키는 유전자 재조합 방법이다. 대장균을 사용하는 이...2025.11.14
-
대장균의 개체군 성장 분석 실험2025.11.131. 개체군 성장곡선의 4단계 개체군의 성장은 4가지 단계로 구분된다. Lag phase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로 세포가 효소와 단백질을 합성한다. Exponential phase는 세포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활성이 가장 높은 시기이다. Stationary phase는 개체 증가 수와 감소 수가 균형을 이루어 개체 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이다. Dead phase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개체 수가 줄어드는 단계이다. 2. 대장균의 배가시간(Doubling time) 측정 Exponential growth peri...2025.11.13
-
[실험설계] UV VIS 흡수도, 투과도, Haze 측정 용어 정리, 원리, 이론 총정리2025.01.241. 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분자의 오비탈 다이어그램을 그리면, 전자는 낮은 에너지 준위부터 채우게 된다. 이때 전자가 찬 오비탈 중에서 에너지 준위가 가장 높은 오비탈을 말하며, 분자 내부에 속박되지만 가장 에너지가 작고 전자가 가장 움직이기 쉬운 곳을 HOMO라고 부른다. 이것은 최고 점유분자 궤도라는 의미를 나타내며, 반도체의 가전자대 (Valence band)에 해당한다. 2. LUMO (Lowest Unopccupied Molecular Orbital) 전자가 채워지지 않...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