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홍익대_디지털논리회로실험_5주차 예비보고서_A+2025.01.151. 전가산기 전가산기는 입력 3개를 받아 2개의 결과를 출력한다. 이때 입력에는 자리올림수가 포함되어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전가산기는 3개의 입력을 이진수로 더해 이진수 결과로 나타내준다. 은 이진수로 합한 결과의 2^1의 자리를 표현한다. 그러므로 입력값 3개 중 2개 이상이 1일 경우에만 = 1이여야한다. 이를 = AB+ (A⊕B으로 구현했다.∑는 이진수로 합한 결과의 2^0의 자리를 표현하므로 입력값 3개 중 1개 또는 3개가 1일 때, 즉 1이 홀수개일 때만 ∑ = 1이여한다. 이를 ∑ = (A⊕B으로 구현했다. 2....2025.01.15
-
서강대학교 고급전자회로실험 9주차 예비/결과레포트 (A+자료)2025.01.211. Matlab functions periodogram 함수는 사각 윈도우를 이용하여 x에 대한 power spectral density 추정값을 반환합니다. 윈도우 함수를 지정할 수 있고, DFT 길이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실수 신호의 경우 단측 PSD를, 복소수 신호의 경우 양측 PSD를 반환합니다. hilbert 함수는 실수 데이터 시퀀스에 대한 힐베르트 변환을 계산합니다. 실수부는 원 신호이고, 허수부는 힐베르트 변환입니다. ylim 함수는 y축 제한을 설정하는데, 'tickaligned', 'tight', 'padded...2025.01.21
-
디지털 논리실험 5주차 예비보고서2025.05.061. 전가산기 전가산기는 뒷자리에서 올라온 자리 올림수 을 포함하여 1 Bit 이진수 3개의 덧셈을 연산하여 합인 ∑ 과 자리 올림인 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입력 값 중 1이 홀수 개이면 ∑ 는 1, 짝수 개이면 0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이 두 개 이상일 때 C 는 1, 나머지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2. 반가산기 반가산기는 1비트 이진수 2개의 덧셈을 연산하여 합(Sum)과 자리올림 캐리(Carry)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 ′ ′ ⊕ 이고 ∙ 이므로 A와 B가 모두 0일 때는 합과 캐리가 모두 0, ...2025.05.06
-
홍익대학교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5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041. 전가산기 전가산기는 2개의 입력 비트와 입력 캐리를 받아 합의 출력과 출력 캐리를 발생합니다. 즉, 기본적으로 전가산기는 1비트 크기의 2진수 3개를 입력으로 받아서 그것들의 이진 덧셈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전가산기의 진리표로부터 합의 출력 (Σ) = (A XOR B) XOR C(in)이고 출력 캐리 (C(out)) = (A AND B) OR {(A XOR B) AND C(in)}이 됩니다. 따라서 [그림 2]의 회로는 전가산기로 동작하게 됩니다. 2. 반가산기 반가산기는 1비트 크기의 2진수 2개...2025.05.04
-
홍익대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5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161. 전가산기 가산기는 이진수의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회로이다. 이진수를 덧셈을 수행할 때, 1과 1을 더하면 이진수로 10이 출력되어 한가지 비트를 더 필요로 하게 된다. 이것은 올림으로, 결국 덧셈 연산을 하기 위해 세 가지 비트를 입력받아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반가산기는 두 가지의 입력밖에 받지 못하므로 두 자리수 이상의 덧셈을 수행하지 못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가산기는 반가산기를 이어 붙여 만들어진 것이다. 2. LSB와 MSB LSB는 Least Significant Beat의 줄임말로 가장 낮은 위치의 비트를 ...2025.05.16
-
[전자공학응용실험]14주차_10차실험_실험28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_결과레포트_A+2025.01.291.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할 때 이상적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달리 양자화 오차가 발생하여 DNL(Differential Non-Linearity)과 INL(Integral Non-Linearity)이 발생하게 된다. DNL은 1-(V(x)-V(x-1))/LSB로 표현될 수 있는데 LSB를 줄이기 위해서는 비트 수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결과가 달라지므로 LSB는 줄일 수 없으며 V(x)는 출력 코드가 x에 해당되는 아날로그 전압의 양 끝 전압으로 이 차이를 줄여서 DNL을 줄일 수 있다. INL은...2025.01.29
-
디지털논리회로 나눗셈기 설계 보고서2025.05.081. 나눗셈기 알고리즘 나눗셈기 알고리즘은 피제수와 제수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뺄셈과 시프트 연산을 통해 구현됩니다. 피제수를 왼쪽으로 이동하고 제수를 빼는 과정을 반복하여 몫과 나머지를 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오버플로우 방지를 위해 피제수의 LSB가 제수의 LSB보다 커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레지스터 구성, 시스템 블록 설계, ASMD 차트, 제어기 설계, 데이터패스 설계 등의 과정을 거쳐 나눗셈기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2. 시스템 블록 설계 시스템 블록도에는 클락 신호, 시작 신호, 레지스터 로...2025.05.08
-
홍익대학교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10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041. 비동기식 카운터와 동기식 카운터의 작동 원리와 차이점 비동기식 카운터와 동기식 카운터는 특정한 상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순서가 2진수의 순서를 따르는데, 상태 변화는 LSB 부분을 클록 펄스의 트리거 에지가 발생할 때마다 계속해서 변하게 만들고 다음 단계의 상태는 이전 단계의 상태들이 모두 1일 때만 변하게 만듦으로써 구현할 수 있습니다. 비동기식 카운터는 카운터 내의 Flip-flop들이 공통의 클록 펄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태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지 않고 시간 지연이 누적되지만, 동기식 카운터는 모든 Flip-flo...2025.05.04
-
홍익대학교 디지털논리실험및설계 3주차 예비보고서 A+2025.05.041. 2-bit 복호기 2-bit 복호기의 경우 2-bit input의 가능한 모든 조합 4가지 (00, 01, 10, 11) 각각에 대한 디코딩 게이트의 출력을 통해서 어떤 input이 들어왔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 실험 (1) 회로의 경우 (00, 01, 10, 11)에 대한 디코딩 게이트는 각각 (Y0, Y1, Y2, Y3)이고, 어떤 input 이냐에 따라서 특정 디코딩 게이트의 출력만 1이 되고 나머지는 0인 Active HIGH로 회로가 설계되었기 때문에 디코딩 게이트의 출력을 LED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어떤 in...2025.05.04
-
서강대학교 23년도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3주차 Lab03 결과레포트 (A+자료)2025.01.211. 메모리 소자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메모리 소자를 내장하고 있다. 메모리 소자는 크게 ROM과 RAM으로 구분되며, 이 둘의 차이는 volatile 여부로 나뉜다. RAM에서는 CPU가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 SRAM 구조 및 동작 SRAM의 경우 메모리 소자의 한 종류이다. 메모리의 동작을 위해서는 핀들을 통한 신호전달이 필요하다. /CS는 특정 메모리 소자를 선택하는 신호로, LOW일 때 메모리가 선택되어 read/write가 가능해진다. /WE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쓰고자 할 때 LOW가 되어야 ...2025.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