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
-
Chest x-ray, CT 판독법2025.04.291. X-ray 판독법 X-ray 판독법에는 ABCDEF가 있습니다. A는 기도(airway), B는 뼈(bones), C는 심장 실루엣(cardiac silhouette), D는 횡격막(diaphragm), E는 삼출액(effusion), F는 폐 영역(lung field)을 의미합니다. 기도에서는 이물질 흡인, 기관 협착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뼈에서는 급성 및 만성 늑골 골절, 척추 압박 골절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장 실루엣에서는 심비대, 좌심방 확장, 우심실 비대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횡격막에서는 기흉, 흉막 삼출액...2025.04.29
-
기초의학영상을 이해하고 각각의 검사법들의 이용방법 및 인체와의 상호작용 등을 설명하고 영상해부학 측면으로 어떤 방식으로 영상을 읽어 들이는 지에 대해 고찰2025.05.071. 기초의학영상의 이해 기초의학영상의 개념과 의의를 이해하고 있다. 영상의학의 명칭과 역사를 살펴보면, 독일의 실험 물리학자인 뢴트겐이 1895년 11월경 X선을 발견하면서 영상의학이 시작되었다. 이후 X선 촬영이 주된 진단기법으로 활용되다가 점차 초음파, CT, MRI 등 다양한 검사법이 발전해왔다. 2. 초음파의 장단점과 인체와의 상호작용 초음파는 실시간으로 필요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기를 투과하지 못하고 지방층 통과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초음파 검사 시 환자와 초음파기기 사이에 공기...2025.05.07
-
성인간호학실습 A+ 임상포트폴리오 ER(응급실) 경추간판장애2025.01.151. 경추간판장애 경추간판장애는 목뼈 사이의 추간판이 손상되어 신경을 압박하여 목, 어깨, 팔 등에 통증과 감각 이상, 마비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목의 통증, 어깨와 팔의 통증, 감각 이상, 근력 저하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방사선 검사, CT, MRI 등이 사용됩니다. 치료는 보존적 요법(침상 안정, 물리치료, 운동 요법 등)과 수술적 치료(신경 감압술, 디스크 제거술, 경추 유합술 등)로 이루어집니다. 2. 응급실 간호 응급실에서는 환자 분류, 신체 사정, 활력징후 모니터링, 투약 간호, 검사 준비 및...2025.01.15
-
자궁근종 (Uterine myoma)2025.01.141. 자궁근종 정의 자궁평활근종 또는 섬유종으로도 불리며, 가장 일반적인 양성 충실성 골반종양이다. 이 종양은 자궁저부에서 주로 발생하나 외음, 질 등 여성생식기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자궁근종은 자궁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여성에서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종양이다. 자궁근종은 35세 이상의 여성 중 약 20%가 갖고 있다. 2. 자궁근종 위험요인 연령(40세 이상), 가족 중에 자궁근종이 있었던 가족력, 임신경험이 없는 여성, 비만한 여성, 흑인 3. 자궁근종 유형 자궁근종은 발생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2025.01.14
-
호흡기계 진단검사2025.05.131. X-ray X-선 검사는 폐결핵 등 폐의 이상을 발견해내는 방법으로 집단 검진시에 사용되거나 병원에 입원하는 사람에게는 정규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다. 또한 그 밖의 심장질환이나 종격동의 이상, 종양 등의 이상을 발견해낼 수 있다. 검사 전 간호로는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옷이나 금속제품은 허리 아래로 내리게 하여 금속의 음영이 찍히지 않도록 하며, 자세를 취해준 후 숨을 깊게 들이마시게 한 다음 사진을 찍을 동안 잠시 숨을 참도록 한다. 2. PFT 폐기능 검사(Pulmonary function test)는 폐기능 장애를...2025.05.13
-
호흡기계 진단검사 목적 및 방법, 검사 전후 간호2025.05.111. Chest X-ray 흉부 X-선 검사는 폐결핵 등 폐의 이상을 발견해내는 방법으로 집단 검진시에 사용되거나 병원에 입원하는 사람에게는 정규적으로 시행되는 검사이다. 또한 그밖의 심장질환이나 종격동의 이상, 종양 등의 이상을 발견해낼 수 있다. 검사 방법은 후전면(PA) 촬영법, 측면 촬영법, 사선(oblique) 촬영법 등이 있다. 검사 전에는 대상자에게 절차를 설명하고 옷이나 금속제품을 제거하며, 숨을 깊게 들이마시게 한 다음 사진을 찍도록 한다. 2. PFT 폐기능 검사는 폐기능 장애를 발견하여 분류하고, 손상 정도를 평...2025.05.11
-
진단검사 목적 & 정상치 (표로 정리)2025.05.161. HEMATOLOGY WBC는 감염과 관련된 문제나 혈액 질환이 있을 경우, 혹은 면역력과 관련되어 있다. RBC의 수는 빈혈 혹은 적혈구 증가 유무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Hgb은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운반과 조직에서 폐포로의 탄산가스 운반기능을 한다. Hct는 Whole Blood중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MCV는 적혈구 하나하나의 평균용적을, MCH는 한 개의 적혈구 안에 들어있는 평균 Hgb수치를, MCHC는 적혈구 100cc에 들어있는 평균 Hb 농도를 나타낸다. RDW는 RBC의 분포폭을 나타낸다. Platel...2025.05.16
-
A+ COPD(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스터디2025.01.291.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은 만성 호흡 장애와 공기 흡입 장애 증세를 나타내는 폐쇄성 폐질환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폐 기능을 50% 이상 잃기 전까지는 자각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진단이 어렵다. 2003년 대한 결핵 및 호흡기 학회에서 주관한 조사 '만성폐쇄성폐질환 전국 실태조사-전국 성인 남·여 9,243명 대상' 결과는 국내 45세 이상 성인의 17.1%(남성 25.8%, 여성 9.6%)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는 40세 이상의 성인 중 13.4%(남성 19.4%, 여...2025.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