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15개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전동전과전실환자관리2025.05.081. 전동/전과/전실 환자관리 환자를 다른 병동으로 보내는 경우 이동할 병실 확인 후 환자 보호자에게 이동을 설명하고, 이동 받는 병동에서 필요한 의료장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연락하며, 간호기록을 정리하고 환자를 인계한다. 이동 시 준비물품으로 투여되던 모든 약, 약카드, 이름표, 검체, 의료소모품 등을 확인하며, 중환자실로 이동할 때는 중환자실 입실동의서를 받는다. 다른 병동에서 환자를 받는 경우 병실 준비가 완료되면 보낼 병동에 연락하고, 환자가 도착하면 환자상태를 관찰하고 병실로 안내한다. 병동 내에서 옮기는 경우 OCS 병동...2025.05.08
-
[성인간호학실습] Spinal cord injury(척수 손상)[환자 이동, Pain control, GCS, 호흡 상태 사정] [레포트, 지침서, 보고서, 과제, 응급실, ER, 실습]2025.05.081. 척수 손상 환자 이동 척수 손상이 의심되는 응급상황에서 환자를 함부로 움직이면 척수에 영구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척추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적절한 인력으로 척추를 고정시켜 운반해야 한다. 경추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머리를 몸과 일직선이 되게 하고, 통나무 굴리는 식(log rolling method)으로 옮기며, 경추 칼라와 모래주머니, 억제대 등을 이용해 고정한다. 2. 척수 손상 환자의 통증 관리 척수 손상 환자의 약 60~80%에서 통증을 경험하며, 만성 통증은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비스테...2025.05.08
-
무의식 환자 간호2025.05.031. 이차적 뇌손상 최소화 신경학적 상태의 변화, 의식수준, 뇌신경기능 손상 변화 모니터, 약물 농도,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모니터, 배액관·드레싱의 개방성, 안정성 모니터, 뇌압상승, 뇌척수압 상승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 필요 2. 효율적인 기도유지 기도가 막히지 않고 호흡기 분비물 배출과 적절한 산소 공급이 될 수 있는 자세유지, 혀의 마비와 혀로 인해 기도폐쇄가 우려 된다면 Airway 삽입, 금기가 아니라면 Head up 30도 & Lateral position, 기도, 기관지 점막이 건조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산소 가습 적...2025.05.03
-
OS 골관절염 case study (간호진단 2개)2025.01.171.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는 10/18에 TKR 수술을 받은 환자로, 수술 후 급성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통증 사정을 통해 NRS 8점으로 확인되었으며, 얼굴을 찡그리는 등 통증 행동이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통증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였다.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대상자는 TKR 수술 후 Hemovac 삽입, Foley catheter 유지 등 침습적 처치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감염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체온 모니터링, 배액관 및 도뇨관 관리, 항생제 투여 등의 간호 중재를 제...2025.01.17
-
성인간호학 농흉 케이스스터디2025.04.281. 기도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대상자의 호흡 상태와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고, 기도 분비물 양상을 관찰하였습니다. 대상자의 체위를 반좌위나 좌위로 취하게 하고, 필요시 호흡기 치료와 산소 공급을 하였습니다. 또한 흉부 타진과 적절한 수분 공급으로 객담 배출을 돕고, 대상자에게 deep breathing의 중요성과 방법을 교육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호흡이 편안해지고 정상적인 호흡 양상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2. 질병과 관련된 통증 대상자의 통증 호소와 보호자의 진술을 통해 통증을 사정하였습니다. 통증 관리를...2025.04.28
-
A+ 노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요양문제 10개 리스트2025.05.131. 낙상위험 대상자는 자택에서의 낙상 사고로 인해 고관절골절이 발생하여 수술 후 재활 목적으로 입원하였으며, 과거 낙상으로 어깨와 팔 골절의 경험이 있는 점과 낙상의 후유증이 사망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84세의 고령 환자이기 때문에 낙상에 대한 중재가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낙상위험을 1순위로 설정하였다. 2. 배뇨장애 대상자는 급성 방광염과 요실금의 과거력이 있어 배뇨장애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평균 6~7회 배뇨를 하며, 8회부터는 배뇨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대상자는 84세로 노화와 급성...2025.05.13
-
접촉주의 환자 이송 안내문2025.01.171. 접촉주의 접촉주의는 환자나 환자 주변의 기구 혹은 기구 표면 등에 있는 미생물이 접촉에 의해 다른사람이나 환경으로 퍼지는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응하는 주의 지침입니다. 대상은 다제내성균, 옴,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 등 접촉 격리 환자입니다. 2. 접촉주의 환자 이송 절차 접촉주의 환자 이송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손 위생을 시행하고 비닐 가운과 장갑을 착용한다. 2) 환자를 깨끗한 린넨을 이용하여 덮는다. 3) 침대 프레임 또는 휠체어 손잡이 부분을 소독티슈로 닦는다. 4) 사용한 비닐가운과 장갑을 벗고 손 위생...2025.01.17
-
신규간호사 교육 매뉴얼_표준주의2025.05.111. 표준주의 표준주의는 병원 내에서 감염원으로 확인되거나 확인되지 않은 모든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환자의 진단명과 감염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혈액, 체액, 배설물, 분비물, 점막과 손상된 피부에 적용되며, 손위생, 장갑 착용, 마스크/보호장비 착용, 주사바늘 및 날카로운 기구 사용 시 주의 등의 지침이 포함됩니다. 2. 표준주의 지침 표준주의 지침은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에서 권장하고 있으며, 모든 환자로부터 나온 혈액, 혈액추출물, 체액 등은 HIV, B형 또는 C형 간염바이러스...2025.05.11
-
A+ 성인간호학 위암 Case Study (진단5개, 과정3개)2025.05.081.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대상자가 수술 후 통증을 호소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증 사정, 진통제 투여, 이완요법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단기적으로 통증 감소와 장기적으로 통증 없이 편안한 상태 유지를 목표로 하였다. 2. 수술 후 위 용적감소와 관련된 영양 불균형: 영양부족 위암 수술로 인한 위 용적 감소로 영양 불균형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영양 상태 사정, 식이 진행, 진토제 투여 등의 간호중재를 제공하였다. 단기적으로 진단검사 수치 정상화와 식욕부진 해소, 장기적으로 적절한 영양상태 유지를 목표로...2025.05.08
-
간호사고보고서 (낙상)2025.01.171. 낙상 예방 낙상 고위험군의 낙상 예방 활동을 시행한다. 침상에서 갑자기 일어나면 어지러울 수 있으니 천천히 일어나야 함을 설명한다. 항암 시에는 전신 허약감이 있을 수 있으므로 허약감이 심하면 휠체어 등을 사용하여 이동한다. 보호자의 간이침대와 환자 침상 간의 간격을 충분히 두어 환자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환자가 이동해야 해서 침상을 내려올 때 보호자가 옆에서 면밀하게 관찰하고 돕는다. 보호자가 없는 경우, 절대 혼자 두지 말고 직원의 도움을 받을 것을 설명한다. 낙상주의 표지판을 크게 환자의 침상 위에 부착하여 의...202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