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78개
-
교육목표 진술방법2025.11.131. 교육목표의 중요성 교육목표는 교육활동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달성해야 할 구체적인 사항입니다. 목표 설정을 통해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교육목표 수립 시 개인중심적 입장(학생의 능력, 필요, 흥미 고려), 사회중심적 입장(사회 적응 및 인재양성), 통합적 입장(사회와 개인의 상호작용 중시)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합니다. 2. Tyler의 진술방식 Tyler의 진술방식은 학생의 학습 내용과 도착점 행동을 구체적인 행위 동사를 사용하여 진술합니다. 교육목표는 학습내용과 도착점 행동으로 구성되며, ...2025.11.13
-
한국어문법총론1 예문 타이핑2025.04.261. 행위주역(Agent) 동사가 행위를 표현할 경우, 그 행위를 지배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아버지가 신문을 읽으신다. 2. 경험주역(Experiencer) 인지(cognition), 지각(perception), 감정(emotion)을 나타내는 용언의 경우, 그 현상의 경험 주체가 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나는 이곳이 춥다. 3. 동반주역(Companion) 독립적으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다른 의미역, 즉 대개 행위주나 대상을 보조하여 그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주체를 나타내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나는 애...2025.04.26
-
단형피동과 장형피동의 의미차이2025.01.031. 피동(문)의 개념과 특징 피동문은 통상적으로 능동문의 서술어가 타동사일 경우에만 가능하며 피동사는 몇몇 동사에만 제한적으로 붙일 수 있다. 피동문은 총 여섯 가지로 구분되는데, 어휘적 피동, 형태적 피동, 통사적 피동, 의미적 피동, 문법적 피동, 의사피동이 있다. 2. 단형피동 단형피동은 타동사 어근에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가 붙어서 형성된 짧은 피동 표현법이다. 단형피동에는 제약이 있어 타동사에만 결합되며 자동사와 형용사 등과 같은 1항 동사에는 결합이 불가하다. 3. 장형피동 장형피동은 타동사 어근에 ...2025.01.03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 형태 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2025.01.231. '-지 말다' '-지 말다'는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하는 표현입니다. 의미 정보로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며, 행위의 금지를 나타냅니다. 형태 정보로는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와 상관없이 '-지 말다'로 사용되며, 주로 '-지 마세요' 또는 '-지 마십시오'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제약 정보로는 형용사와 결합하지 않으며, 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만 사용됩니다. 유사 문법 표현으로는 '-지 못하다', '-지 않다'가 있습니다. 교수 방법으로는 학습자와 함께 예문을 만들어 말하기와 쓰기 연습을 하고, 듣기 ...2025.01.23
-
한국어와 다른 계열의 외국어 하나를 골라서 풍부한 예문과 함께 두 언어를 비교2025.05.021. 영어와 한국어 수동문 비교 영어와 한국어는 문법적 구조와 언어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영어에서는 수동태가 자주 사용되는 반면, 한국어에서는 상대적으로 수동태 사용이 적다. 이는 한국어의 접미사 수동표현과 동작성 요건 등으로 인해 수동태 사용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 모두 자동사와 타동사로 교체되는 특별한 동사들이 있는데, 영어에서는 이를 중간동사와 능격동사로 구분하지만 한국어에서는 아직 의견이 분분하다. 2. 영어와 한국어의 능격동사 비교 한국어와 영어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를 ...2025.05.02
-
단형피동과 장형피동의 의미차이에 대해서 기술하시오2025.01.151. 피동형 피동이란 주어가 타의로 인해 움직이는 동사의 성질을 의미한다. 능동문의 목적어가 피동문의 주어가 되며, 부사어 명사구를 포함하게 된다. 2. 단형피동 단형피동은 피동사에 의한 피동 표현으로, 타동사의 어간에 접미사 '-이/히/리/기-'가 결합하는 형태이다. 능동문의 주어와 목적어가 위치가 바뀌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모든 능동형 동사가 피동형 동사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3. 장형피동 장형피동은 본동사와 보조동사가 결합된 '보조적 연결어미+보조용언'의 형태로, 능동문의 타동사 어간에 '-아/어지다'가 결합된다. 피동 표...2025.01.15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 단형피동과 장형피동2025.11.131. 피동문의 형성과 기능 한국어의 피동문은 능동문의 목적어가 주어가 되고 주어가 부사어로 변환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피동 접사 '-이-, -히-, -리-, -기-'를 붙이거나 '-어지다, -되다, -게 되다'로 변환하여 만들어진다. 피동문의 기능은 행위자의 행동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고, 피행위자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며, 주제의 연속성을 보장한다. 2. 단형피동(파생적 피동) 능동사의 어간에 피동 접사를 붙여 만드는 피동문으로, 필수 논항이 하나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예: '엄마가 동생을 잡다' → '동생이 엄마에게 잡히다'...2025.11.13
-
문장의 5형식2025.05.081. 1형식 문장 1형식 문장은 주어, 동사만으로 의미가 완전하다. 그 뒤에는 부사(구) 등이 부가적인 뜻을 더하기 위해 자주 온다. 수식어가 길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주요 성분인 주어, 동사와 수식어를 잘 구분해야 한다. 1형식 문장은 목적어가 없으므로 동사는 자동사이며, 주어와 동사만으로 완벽하게 한 문장이 완성되므로 1형식 문장의 동사를 완전자동사라고 한다. 2. 2형식 문장 2형식 문장도 목적어가 없으므로 동사는 자동사이다. 그런데 2형식 문장은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완벽한 문장이 되지 않고 보어가 동사 다음에 와서 ...2025.05.08
-
스페인어 문법2025.05.061. 직설법 현재에서 어간 모음이 변하는 불규칙 동사 스페인어 동사 중 어간모음 '-e'가 '-ie'로 변하는 동사, 어간 모음 '-o'가 '-ue'로 변하는 동사, 어간 모음 '-e'가 '-i'로 변하는 동사, 어간 모음 '-u'가 '-ue'로 변하는 동사, 어간 모음 '-i'가 '-ie'로 변하는 동사 등 다양한 불규칙 동사가 존재한다. 이러한 불규칙 동사의 변화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2. gustar 동사 gustar 동사는 '~을 좋아하다'라는 뜻을 갖는 동사이지만, 목적어가 문법적 주어가 되므로 동사의 성과 수는 문법...2025.05.06
-
스페인어 문법 정리2025.05.061. 직설법 현재에서 어간 모음이 변하는 불규칙 동사 스페인어 문법에서 어간 모음이 불규칙하게 변하는 동사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사들은 어간 모음이 '-e'가 '-ie'로, '-o'가 '-ue'로, '-i'가 '-ie'로 변하는 등의 불규칙 변화를 겪습니다. 예를 들어 pensar(생각하다), dormir(자다), pedir(요청하다)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불규칙 동사의 활용 형태와 예문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gustar 동사 스페인어의 gustar 동사는 '~을 좋아하다'라는 의미를 갖는 특별...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