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문법총론1 예문 타이핑
본 내용은
"
한국어문법총론1 예문 타이핑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13
문서 내 토픽
-
1. 행위주역(Agent)동사가 행위를 표현할 경우, 그 행위를 지배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아버지가 신문을 읽으신다.
-
2. 경험주역(Experiencer)인지(cognition), 지각(perception), 감정(emotion)을 나타내는 용언의 경우, 그 현상의 경험 주체가 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나는 이곳이 춥다.
-
3. 동반주역(Companion)독립적으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다른 의미역, 즉 대개 행위주나 대상을 보조하여 그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주체를 나타내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나는 애인과 시내에서 만났다.
-
4. 대상역(Theme)행위나 과정의 영향을 받지만 그 과정을 지배하지는 못하는 논항, 즉 위치, 조건, 상태가 바뀌거나 주어진 상태나 위치에 있는 참여자들을 나타내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동생이 음악을 듣는다.
-
5. 장소역(Location)행위주나 대상이 위치하는 물리적 혹은 추상적 시공간을 나타내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김 씨는 이 공장에서 일한다.
-
6. 도착점역(Goal)동사가 표현하는 사건이 물리적 이동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그 끝점, 추상적인 행위나 태도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그 지향점을 표현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우리는 오늘 아침에 부산에 도착했다.
-
7. 결과상태역(Resultant State)동사가 인물의 자격 또는 물질의 성질이나 용도의 변화를 기본 의미로 가질 때, 그러한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물이 얼음으로 변했다.
-
8. 출발점역(Source)동사가 이동이나 변화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물리적, 추상적 시작 지점을 표현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그 사람은 러시아에서 왔습니다.
-
9. 도구역(Instrument)행위, 이동의 의미를 표현하는 동사의 경우, 그 방편이나 경로, 재료를 나타내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그녀는 늘 손으로 입을 가리고 웃습니다.
-
10. 영향주역(Effector)동사가 나타내는 사건(행위, 상태)을 비의도적으로 (주로 '이동'이나 '위치'에 의해) 유발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전봇대가 태풍에 쓰러졌다.
-
1. 행위주역(Agent)행위주역(Agent)은 어떤 행동을 수행하는 주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로, 행동의 원인이 되는 존재입니다. 행위주역은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행동을 수행하며, 다른 참여자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행위주역의 특성은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행위주역은 문장 분석과 이해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경험주역(Experiencer)경험주역(Experiencer)은 어떤 상태나 사건을 경험하는 주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감각, 지각, 인지, 정서 등의 내적 경험을 하는 참여자를 나타냅니다. 경험주역은 행위주역과는 달리 능동적으로 행동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상황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경험주역은 문장에서 중요한 의미 역할을 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심리 동사나 감각 동사가 포함된 문장에서 경험주역의 역할이 두드러집니다.
-
3. 동반주역(Companion)동반주역(Companion)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에 함께 참여하는 주체를 의미합니다. 이는 행위주역과 함께 행동을 수행하거나, 경험주역과 함께 어떤 상황을 경험하는 참여자를 나타냅니다. 동반주역은 행위주역이나 경험주역과 대등한 관계를 가지며, 둘 이상의 참여자가 함께 관여하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동반주역은 문장에서 행위나 경험의 공동 주체로 기능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대상역(Theme)대상역(Theme)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대상이 되는 참여자를 의미합니다. 이는 행위주역이나 경험주역의 행동이나 경험의 대상이 되는 참여자를 나타냅니다. 대상역은 수동적으로 행동이나 경험의 영향을 받는 참여자이며, 문장에서 중요한 의미 역할을 합니다. 대상역은 행위주역이나 경험주역과 달리 능동적으로 행동하지 않지만,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5. 장소역(Location)장소역(Location)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이 일어나는 공간적 배경을 의미합니다. 이는 행위주역이나 대상역의 행동이나 경험이 일어나는 장소를 나타냅니다. 장소역은 문장에서 행동이나 사건의 공간적 맥락을 제공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이동 동사나 위치 동사가 포함된 문장에서 장소역의 역할이 두드러집니다.
-
6. 도착점역(Goal)도착점역(Goal)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최종적인 목적지나 대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행위주역의 행동이 향하는 최종적인 지점을 나타냅니다. 도착점역은 행동의 방향성과 목적성을 나타내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이동 동사나 전달 동사가 포함된 문장에서 도착점역의 역할이 두드러집니다.
-
7. 결과상태역(Resultant State)결과상태역(Resultant State)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결과로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행위주역의 행동이나 대상역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최종적인 상태를 나타냅니다. 결과상태역은 문장에서 행동이나 사건의 결과를 표현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변화 동사나 결과 동사가 포함된 문장에서 결과상태역의 역할이 두드러집니다.
-
8. 출발점역(Source)출발점역(Source)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시작점이나 근원을 의미합니다. 이는 행위주역의 행동이나 대상역의 변화가 시작되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출발점역은 문장에서 행동이나 사건의 기원을 표현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이동 동사나 변화 동사가 포함된 문장에서 출발점역의 역할이 두드러집니다.
-
9. 도구역(Instrument)도구역(Instrument)은 어떤 행동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이나 도구를 의미합니다. 이는 행위주역이 행동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물리적 도구나 수단을 나타냅니다. 도구역은 문장에서 행동의 수행 방식을 표현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사용 동사나 도구 동사가 포함된 문장에서 도구역의 역할이 두드러집니다.
-
10. 영향주역(Effector)영향주역(Effector)은 어떤 행동이나 사건의 원인이 되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이는 행위주역의 행동이나 대상역의 변화를 야기하는 외부적 요인을 나타냅니다. 영향주역은 문장에서 행동이나 사건의 원인을 표현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자연 현상이나 자연력이 포함된 문장에서 영향주역의 역할이 두드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