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5개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2025.05.121. 조선시대 관찬 역사서 조선시대에 편찬된 관찬 역사서에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가 있습니다. 고려국사는 조선 태조 시기에 정도전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역사서로,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을 합리화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고려사는 세종 시기에 편찬된 기전체 역사서이며,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를 편년체 형식으로 다시 편집한 것입니다. 2. 고려사 고려사는 정인지 등이 조선 문종 원년에 간행한 역사서입니다. 고려사는 기전체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 46권, 지 39권, 표 2권, 열전 50권 등 총 139권으로...2025.05.12
-
기전체 역사서인 고려사2025.01.241. 기전체 역사서 기전체 역사서는 본기와 열전을 중심으로 하여 서술한 역사서를 말합니다. 기전체 역사서의 효시는 한나라 시대에 사마천이 지은 역사서인 사기입니다. 기전체는 인물중심의 역사서라고 할 수가 있는데 인물을 다룬 부분인 열전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고려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전체 역사서로는 고려시대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인 고려사가 있습니다. 고려사는 모두 139권으로 되어 있으며, 세가, 지, 표, 열전,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려사의 지에서는 천문, 역, 오행, 지리, 예, 악, 여복, 선거...2025.01.24
-
동국사략의 종류2025.05.041. 동국사략의 종류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동국사략에는 조선 태종때 편찬된 동국사략,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이 있습니다. 이외에 조선전기에 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과 민제인이 지은 동국사략도 있습니다.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은 근대에 역사 교과서로 많이 활용되었고, 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은 표제음주동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2.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 조선 태종의 명에 따라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은 우리나라 최초의 통사라고도 할 수 있는데, 단군 때부터 고려 말기까지의 사실을 ...2025.05.04
-
조선시기의 역사서2025.01.121.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조선 전기에 이전 시대의 역사를 정리하고 통치 이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온 관찬 사서입니다. 태종 시기에 하윤을 비롯하여 권근, 이첨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고, 편찬을 시작한 이듬해에 완성하였습니다. 동국사략은 성리학적 기준에 의한 편년체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사건의 경중에 따라 기록 형식을 달리하는 강목체(綱目體)를 첨가하였습니다. 동국사략에서는 단군조선부터 삼한까지는 '외기(外紀)'로 간략히 처리하고, 삼국을 중심으로 서술하였기 때문에 삼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2. 고려사절요와 동국통감 고려사절요...2025.01.12
-
삼한시대 와질토기2025.01.101. 와질토기 편년 연구 와질토기(瓦質土器)는 원삼국시대의 동남부지역 즉, 진·변한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했던 토기로, 고운 점토에 사립이 적은 비교적 정선된 태토로 환원 소성한 것이다. 와질토기의 편년 연구는 1980년대에 이루어진 신경철과 최종규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후 임효택, 이성주, 안재호, 이창희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편년안이 제시되었다. 와질토기의 기형 변화와 출토 유구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기 와질토기와 후기 와질토기로 구분하고 있다. 2. 주머니호 주머니호는 낙동강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하...2025.01.10
-
동양사학 논고를 리뷰형식으로 작성(위대한 정사(正史)의 효시, 사마천의 『사기)2025.05.141. 사마천의 『사기』 집필 목적 사마천이 『사기』를 집필한 목적에 대해 학자들은 그의 불굴의 의지 혹은 지극한 효심이라고 보거나, 호사가들은 사마천이 겪은 비극적 사건인'이릉의 화'에서 그 목적을 찾았다. 하지만 논고의 저자는 사마천이 『사기』를 집필할 수 있었던 현실적이고, 사회적인 이유를 1980년대 발견된 한 죽간에서 찾았다. 2. 『사기』의 구성과 특징 사마천은 편년체 방식으로 집필된 『춘추』를 계승하면서, 편년체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전체라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역사서술체계를 구성하였다. 『사기』는 「본기」, 「세가」,...2025.05.14
-
조선시대에 편찬된 관찬 역사서2025.05.031. 동국통감 동국통감은 성종때에 서거정 등이 왕명을 받고 편찬한 역사서로, 고대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하였습니다. 동국통감은 단군조선과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사군 등의 외기(外紀)와 삼국의 건국부터 통일까지의 삼국기, 통일신라의 신라기, 고려 태조부터 고려 말까지의 고려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조선 태종때에 권근, 이첨, 하륜 등이 편찬한 역사서로, 단군조선의 역사를 시작으로 하여 고려 후기까지의 역사를 요약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 3.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고려사는 세종때에 완성되어 문종때...2025.05.03
-
조선시대 역사서2025.01.271. 조선시대 역사서의 유형 조선시대 역사서는 크게 기전체, 편년체, 기사본말체의 세 가지로 나뉩니다. 기전체는 임금의 행적을 주로 기록한 본기, 인물들의 행적을 정리한 열전, 본기나 열전에 담을 수 없는 항목을 분류하여 정리한 지로 구성됩니다. 편년체는 시간적인 순서를 중요시하는 가운데 연대순으로 역사를 기록하는 방식이고, 기사본말체는 역사를 시대순으로 구성하되, 시대별 주요 사건에 대해 원인과 결과를 밝혀 적는 방식입니다. 2. 안정복과 동사강목 안정복은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역사학자로, 동사강목을 저술했습니다. 동사강목은 우리나...2025.01.27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2025.01.061. 조선시대 역사서 편찬 조선시대에는 관찬 역사서와 사찬 역사서가 편찬되었습니다. 관찬 역사서로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등이 있으며, 사찬 역사서로는 해동역사, 동국사략, 동사강목, 발해고 등이 있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주로 관찬 역사서가 편찬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개인이 편찬한 사찬 역사서가 많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2. 고려시대 역사 정리 조선은 새로운 왕조를 연 후 고려시대 역사에 대한 정리 사업을 가장 먼저 하게 됩니다. 정도전이 고려국사를 편찬하여 고려시대 역사를 정리하고 조선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2025.01.06
-
고전수필2025.05.051. 고전수필의 유형 고전수필의 유형에는 설과 논외에 잡기(雜記)를 비롯하여 야화(野話), 쇄담(鎖談), 야담(野談), 만필(漫筆)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 야록(野錄)이나 전문(傳聞)도 고전수필에 해당이 됩니다. 2. 매천야록 조선 말기 황현이 지은 매천야록은 편년체로 기록이 되어 있는데요 1864년부터 1910년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하였습니다. 1894년에 일어난 동학혁명에 대한 내용들도 많이 수록이 되어 있습니다. 일본의 침략상황과 정부의 무능과 부패, 민중의 끈질긴 저항에 대한 내용들도 많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3. 황현...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