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6개
-
고려시대 역사서의 편찬과 발전2025.11.131. 고려 왕조실록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왕조실록을 편찬하기 시작했으나 현존하지 않습니다. 거란의 침입이 끝난 후 복구 사업의 일환으로 황주량 등이 중심이 되어 태조부터 목종에 이르는 7대 실록을 편찬했습니다. 이는 고려 초기 역사 기록의 중요한 시도였습니다. 2. 편년체 역사서 거란 침입 이후 박인량의 고금록을 비롯한 편년체의 역사서들이 많이 저술되었습니다. 편년체는 연대순으로 역사 사건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고려 시대 역사 서술의 중요한 형식이었습니다. 3. 삼국사기 고려 인종 시기에 김부식 등이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기전체...2025.11.13
-
조선시대 편찬 역사서의 종류와 특징2025.11.181. 조선시대 관찬 역사서 조선시대에는 국가 주도로 관찬 역사서 편찬이 활발했습니다. 주요 저작으로는 세조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 때 완성된 동국통감, 정도전이 편찬한 고려국사, 태종 때 시작하여 문종 때 완성된 고려사, 그리고 김종서 등이 문종 2년에 편찬한 고려사절요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한국 고대사부터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조선왕조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역사 기록을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 동국통감의 구성과 특징 동국통감은 56권 28책으로 구성된 편년체 역사서입니다. 세조의 지시로 편찬...2025.11.18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2025.05.121. 조선시대 관찬 역사서 조선시대에 편찬된 관찬 역사서에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가 있습니다. 고려국사는 조선 태조 시기에 정도전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역사서로,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을 합리화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고려사는 세종 시기에 편찬된 기전체 역사서이며,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를 편년체 형식으로 다시 편집한 것입니다. 2. 고려사 고려사는 정인지 등이 조선 문종 원년에 간행한 역사서입니다. 고려사는 기전체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 46권, 지 39권, 표 2권, 열전 50권 등 총 139권으로...2025.05.12
-
기전체 역사서인 고려사2025.01.241. 기전체 역사서 기전체 역사서는 본기와 열전을 중심으로 하여 서술한 역사서를 말합니다. 기전체 역사서의 효시는 한나라 시대에 사마천이 지은 역사서인 사기입니다. 기전체는 인물중심의 역사서라고 할 수가 있는데 인물을 다룬 부분인 열전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고려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전체 역사서로는 고려시대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인 고려사가 있습니다. 고려사는 모두 139권으로 되어 있으며, 세가, 지, 표, 열전,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려사의 지에서는 천문, 역, 오행, 지리, 예, 악, 여복, 선거...2025.01.24
-
조선시대 편찬 역사서 동국통감의 구성과 특징2025.11.181. 동국통감의 편찬 과정 동국통감은 세조의 지시에 따라 편찬이 시작되었으며, 신숙주가 주도했으나 완성 전 사망하여 노사신과 서거정 등이 참여하여 성종 15년에 완성되었습니다. 원래 55권으로 구성되었으나 편찬자들의 사론을 붙여 56권 28책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성종 7년에 고대사 부분이 삼국사절요로 간행되었습니다. 2. 동국통감의 구조와 편성 동국통감은 편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군조선에서 삼한까지를 외기로, 삼국의 건국부터 신라 문무왕 초기까지를 삼국기로, 통일신라시대를 신라기로, 통일신라 이후 고려 말까지를 고려기로 편성했습...2025.11.18
-
조선시대 편찬 역사서 동국통감의 구성과 특징2025.11.181. 동국통감의 편찬 과정 동국통감은 세조의 지시에 따라 편찬이 시작되었으며, 신숙주가 주도했으나 완성 전 사망하여 노사신과 서거정 등이 참여해 성종 15년에 완성되었습니다. 원래 55권으로 구성되었으나 편찬자들의 사론을 붙여 56권 28책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성종 7년에 고대사 부분이 삼국사절요로 간행되었습니다. 2. 동국통감의 구조와 편성 동국통감은 편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군조선에서 삼한까지를 외기로, 삼국의 건국부터 신라 문무왕 초기까지를 삼국기로, 통일신라시대를 신라기로, 통일신라 이후 고려 말까지를 고려기로 편성했습니...2025.11.18
-
동국통감: 조선시대 편찬된 한국 역사서2025.11.131. 동국통감의 편찬과 구성 동국통감은 조선 세조 9년에 서거정 등이 왕의 명을 받아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 16년에 완성한 관찬 역사서입니다. 단군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하였으며, 총 56권 28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거정이 지은 서문에서는 천사백 년 동안 앞 사람의 실패가 뒷사람의 경계가 되도록 하였고, 의(義)에 대해서는 바르게, 이야기는 엄정히 하려고 했다고 밝혔습니다. 2. 동국통감 외기의 내용 동국통감 외기는 역사적 자료가 빈약한 삼국시대 이전의 역사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단군조선(고조선), 기자조...2025.11.13
-
동국사략의 종류2025.05.041. 동국사략의 종류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동국사략에는 조선 태종때 편찬된 동국사략,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이 있습니다. 이외에 조선전기에 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과 민제인이 지은 동국사략도 있습니다.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은 근대에 역사 교과서로 많이 활용되었고, 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은 표제음주동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2.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 조선 태종의 명에 따라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은 우리나라 최초의 통사라고도 할 수 있는데, 단군 때부터 고려 말기까지의 사실을 ...2025.05.04
-
조선시기의 역사서2025.01.121.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조선 전기에 이전 시대의 역사를 정리하고 통치 이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온 관찬 사서입니다. 태종 시기에 하윤을 비롯하여 권근, 이첨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고, 편찬을 시작한 이듬해에 완성하였습니다. 동국사략은 성리학적 기준에 의한 편년체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사건의 경중에 따라 기록 형식을 달리하는 강목체(綱目體)를 첨가하였습니다. 동국사략에서는 단군조선부터 삼한까지는 '외기(外紀)'로 간략히 처리하고, 삼국을 중심으로 서술하였기 때문에 삼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2. 고려사절요와 동국통감 고려사절요...2025.01.12
-
삼한시대 와질토기2025.01.101. 와질토기 편년 연구 와질토기(瓦質土器)는 원삼국시대의 동남부지역 즉, 진·변한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했던 토기로, 고운 점토에 사립이 적은 비교적 정선된 태토로 환원 소성한 것이다. 와질토기의 편년 연구는 1980년대에 이루어진 신경철과 최종규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후 임효택, 이성주, 안재호, 이창희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편년안이 제시되었다. 와질토기의 기형 변화와 출토 유구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기 와질토기와 후기 와질토기로 구분하고 있다. 2. 주머니호 주머니호는 낙동강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하...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