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기의 역사서
문서 내 토픽
-
1. 동국사략동국사략은 조선 전기에 이전 시대의 역사를 정리하고 통치 이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온 관찬 사서입니다. 태종 시기에 하윤을 비롯하여 권근, 이첨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고, 편찬을 시작한 이듬해에 완성하였습니다. 동국사략은 성리학적 기준에 의한 편년체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사건의 경중에 따라 기록 형식을 달리하는 강목체(綱目體)를 첨가하였습니다. 동국사략에서는 단군조선부터 삼한까지는 '외기(外紀)'로 간략히 처리하고, 삼국을 중심으로 서술하였기 때문에 삼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
2. 고려사절요와 동국통감고려사절요는 고려왕조실록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왕조의 역사를 편년체 형식으로 기술하였습니다. 동국통감은 고조선시기부터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를 서술한 통사로, 편년체로 되어 있습니다. 고려사절요를 올리는 글은 김종서가 지었는데, 그는 편년체와 기전체의 장단점을 설명하며 고려의 역사를 정리하였습니다.
-
3. 조선후기의 역사서조선후기의 역사서에는 안정복이 지은 동사강목,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 등이 있습니다. 동사강목은 강목체로 기록되었으며, 안정복은 삼국시대보다 삼한시대를 중시하고 삼국의 정통성을 인정하지 않는 대신 삼한의 정통성을 인정하였습니다. 발해고는 유득공이 발해의 역사를 재조명한 것으로, 서문과 함께 9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1. 동국사략동국사략은 고려 말기에 편찬된 역사서로, 고려 왕조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고려 왕조의 흥망성쇠와 주요 사건들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고려 시대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특히 고려 말기의 정치적 혼란과 몽골의 침략, 그리고 조선 건국 과정 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동국사략은 고려 역사에 대한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며, 당시 지식인들의 역사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문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고려사절요와 동국통감고려사절요와 동국통감은 조선 초기에 편찬된 역사서로, 고려 왕조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고려사절요는 고려 왕조의 주요 사건과 인물들을 간략하게 정리한 책이며, 동국통감은 고려와 조선의 역사를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두 역사서는 고려 시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조선 건국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특히 동국통감은 고려와 조선의 연속성을 강조하며, 조선 건국에 대한 정당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시 지식인들의 역사 인식과 정치적 입장을 엿볼 수 있습니다.
-
3. 조선후기의 역사서조선후기에는 다양한 역사서가 편찬되었는데, 이는 조선 왕조의 역사에 대한 관심과 기록의 필요성이 증대되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역사서로는 승정원일기, 일성록, 비변사등록 등이 있습니다. 이들 역사서는 조선 왕조의 정치, 외교, 군사 등 다양한 분야의 역사적 사실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조선 후기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특히 승정원일기와 일성록은 왕실 기록물로서 당시 정치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의 역사적 변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기의 역사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23
-
역사에 대한 서적1. 삼국시대 역사서 삼국시대에 편찬된 역사서로는 신라시대 거칠부가 편찬한 국사, 고구려 시대의 역사서인 유기와 신집, 백제도 근초고왕시기에 편찬한 서기 등이 있다. 이들 역사서는 각 나라의 전성기에 편찬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2. 고려시대 역사서 고려시대에는 왕조실록을 편찬하였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 후기에 이제현도 많은 역사서를 편찬하였지만 현...2025.01.13 · 인문/어학
-
조선의 제4대 왕인 세종1. 세종의 생애 조선의 제4대 왕인 세종의 본관은 전주이며, 태종의 셋째아들이자 원경왕후 민씨의 아들입니다. 세종의 비는 소헌왕후이며,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되어 태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습니다. 2. 세종시기의 정치 세종 시기는 유교정치와 찬란한 문화가 이루어진 시기였습니다. 정치적으로 안정되었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의 기틀이 마련...2025.01.23 · 인문/어학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1. 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은 고려시대의 역사와 지리를 다룬 역사서로, 성씨홍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왕조의 역대 왕들의 생애와 정치 사건을 기록한 역사서로, 조선 시대에 왕실이 직접 편찬했습니다. 3. 세종실록 세종실록은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의 정부기록을 담은 역사서로, 세종대왕의 업적과 통치기록이 ...2025.01.14 · 인문/어학
-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 역사학1. 사이비역사학 사이비역사학자들은 우리 민족의 우월성, 광대한 고대 영토, 음모론 등을 주장하며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이들은 선별적으로 자료를 가져와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빈약한 근거로 이를 강요한다. 진정한 역사학자는 객관적으로 다양한 사료를 살펴보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2. '임나일본부' '임나일본부'는 일본의 정략적 목적에 의해 왜곡된...2025.01.02 · 인문/어학
-
경운궁의 정문 이름은 무엇인가1. 경운궁과 대한문의 역사적 배경 경운궁은 조선 왕조의 역사를 간직한 중요한 건축물 중 하나로, 1897년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며 황궁으로 승격되었습니다. 대한문은 1906년에 세워진 경운궁의 정문으로, 고종이 대한제국의 자주적 국가를 상징하기 위해 '대한'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당시 조선은 외세의 침입과 내적 혼란에 처해 있었으며, 대한문은 국가의 ...2025.01.26 · 문화/관광
-
직장생활에서의 성장과 도전1. 고조선의 성립 배경과 단군신화의 역사적 의의 『삼국유사』에 따르면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에 단군왕검에 의해 건국된 최초의 국가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고조선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를 살펴보면, 환인의 아들인 환웅이 인간 세상을 다스리기 위해 풍, 운, 우를 장관하는 이들과 함께 태백산 신단수로 내려왔다고 합니다. 여기서 당시 고조선이 농경사회였기에 자...2025.01.04 · 심리/행동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 5페이지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에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해동역사, 동국사략,동사강목, 발해고등이 있습니다조선시대 전기에는 관찬 역사서가 주로 편찬이 되고요 조선후기에는 개인이 편찬한 사찬역사서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조선후기에 개인이 편찬한 사찬역사서에는 한치윤이 지은 해동역사를 비롯하여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 안정복이 지은 동사강목, 유득공이 지은 발해고등이 있습니다.●고려시대 역사에 대한 정리조선은 새로운 왕조를 연후에 고려시대 역사에 대한 정리 사업을 가장 먼저 하게 됩니다.이러한 가운데 ...2024.01.01· 5페이지 -
조선시대의 역사서 5페이지
조선시대의 역사서●동국사략동국사략에는 조선 초?권근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동국사략이 있고요 이외에 유희령이 편찬한 표제음주동국사략과 16세기에 박상이 편찬한 동국사략이 있습니다또 근대에는 현채가 중등교과서인 동국사략을 저술하였습니다동국사략조선 초?권근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동국사략표제음주동국사략박상이 편찬한 동국사략현채가 저술한 동국사략●권근과 동국사략권근은?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면서 학자인데요 권근의 호는 양촌입니다.고려와 조선의 왕조교체기에 권근은 조선의 건국에 협력을 하였고요 새롭게 일어나는 명나라와 친...2023.12.16· 5페이지 -
조선시대 역사 탐구 5페이지
조선시대 역사 탐구고려는 원나라 간섭기가 끝나는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왕조가 종료되었다고도 할 수가 있습니다.공민왕에 이어 왕위에 오른 우왕과 창왕은 혈통이 의심스러운 왕들입니다.공민왕에 이어 왕위에 오른 우왕과 창왕은 왕족이 아닌 신돈의 아들이라는 설도 많습니다.또 우왕과 창왕은 고려사 편찬에서도 정식왕으로 대우를 받지를 못했습니다.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도 엄밀하게 보면 허수아비 왕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고려말의 혼란기에는 왜구까지 극심하게 노략질을 하면서 고려는 걷잡을수 없는 혼란에 빠져들게 됩니다.왜구와 함꼐 북쪽에서는 홍...2024.02.27· 5페이지 -
조선 역사 5페이지
조선 역사 탐구조선은 건국 초기부터 영토를 넓히려는 정책을 펼쳤는데요 조선왕조가 성립된 이후 영토확장을 주장한 대표적인 인물은 신진사대부 세력인 정도전이었습니다.조선의 개국공신인 정도전은 군사 훈련과 군량미 비축을 추진하여 명을 치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정도전의 영토확장 야망은 이방원에게 죽음을 당하면서 중단되게 됩니다.조선은 정도전이 죽은 후에는 명나라와 친선관계를 수립하게 되고요 명나라와 사대외교를 꾸준하게 전개하게 됩니다.명나라는 이후 일본이 조선을 침략 하였을때에는 많은 군사들을 조선에 보내어 조선을 돕게 됩니다.*조선의 영...2024.03.28· 5페이지 -
조선전기에 편찬한 역사서 3페이지
조선?전기에 편찬한 역사서조선?전기에 편찬한 역사서로는 왕조 실록을 비롯하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동국통감등이 있습니다.조선 왕조 실록은 각 왕대의 역사를 후세에 남기기 위해 편찬되었는데요 각 왕이 죽은 후에 사관들이 편찬을 하였습니다.조선건국 직후에는 정도전이 쓴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설명하기 위해 고려국사가 있고요 이외에 고려의 역사를 재정리한 고려사와 고려사절요가 있습니다.고려국사정도전이 조선 건국의 정당성을 설명하기 위해 편찬고려의 역사를 재정리한 고려사는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이고요 고려사절요는 편년체 형식의 역사서입니다.기...2022.09.10·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