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7개
-
인체구조와기능 심장(심장의 전기적 활동)2025.05.071. 심장의 전기적 활동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심장 근육은 스스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없으며, 전기적 신호를 받아야 합니다. 심장의 전기적 활동은 크게 안정막 전위와 탈분극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안정막 전위는 자극이 오기 전 편안한 상태로, 세포막이 칼륨(K)만 투과하여 세포 내부가 음전하를 띄게 됩니다. 탈분극은 전기적 신호가 오면 세포막의 나트륨(Na) 투과성이 증가하여 세포가 흥분하는 현상입니다. 1. 심장의 전기적 활동 심장의 전기적 활동은 매우 중요한 생리학적 ...2025.05.07
-
실험보고서: 혈류량의 변화2025.05.101. 혈류량 변화 실험을 통해 온도와 팔 위치 변화에 따른 혈류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온도 변화 시 혈관 저항 감소로 인해 혈액 공급이 원활해지고, 팔을 들어올릴 때 중력의 영향으로 혈액 공급이 어려워져 혈류량 변화가 나타났다. QRS 파형과 맥박 진폭의 변화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2. 심전도와 맥박 심전도의 P파, QRS파, T파는 각각 심방 탈분극, 심실 탈분극, 심실 재분극을 나타낸다. 맥박은 심장 수축에 따른 동맥 팽창과 이완의 변화를 반영한다. 심전도와 맥박 신호의 시간적 차이는 혈액 전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2025.05.10
-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실습 심전도, EKG, ECG 분석 부정맥 보고서2025.05.071. RBBB (우각차단) 우각차단의 심전도상 특징으로는 심박동 수 107회/분, P파- PR간격 0.24초, P파 0.12초, PR간격 (정상: 0.12-0.20초), QRS파 0.14초 (현재 크게 wide된 상태는 아닌 것으로 보임), QRS가 연장된다. V1 lead에서는 R파가 우각차단으로 전도가 차단되어 뒤늦게 R'파로 나타나며, V6 lead에서는 좌심실 탈분극 후 지연된 우심실 탈분극이 반영되면서 후기 깊고 넓은 S파가 관찰된다. 2. PEA (무맥성 전기활동) PEA의 심전도상 특징으로는 심박동 수 29 또는 35 ...2025.05.07
-
Rat 적출 회장에서 Atropine 투여 전후 Acetylcholine 농도에 따른 장력 변화 관찰 및 Rat에서 Acetylcholine 투여에 따른 혈압 변화 관찰2025.01.161. Acetylcholine의 작용 기전 Acetylcholine은 소화관 평활근과 혈관에서 모두 동일한 Muscarinic Receptor에 작용한다. 그러나 소화관 평활근과 혈관에서 동일한 방향의 수축 또는 이완을 일으키지 않는다. 혈관에서의 작용은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는게 아니라 우선적으로 혈관내피세포에 있는 Receptor에 작용하여 NO를 방출시키게 되고 NO가 혈관 평활근으로 가서 신호전달을 야기하여 혈관 평활근 이완을 유발하게 된다. 장관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기전은 Muscarinic Receptor에 작용하여 세포내...2025.01.16
-
EKG & CPR2025.01.241. EKG 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심근세포의 탈분극과 재분극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신체 표면에서 측정하여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심전도에서 관찰되는 주요 파형과 간격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CPR 심정지(cardiac arrest)는 심장의 펌프 기능이 중단된 상태를 말합니다. 심정지가 발생하면 전신 혈액순환이 중단되어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차단되므로 신속한 응급처치가 필요합니다. 심폐소생술(CPR)은 인공적으로 혈...2025.01.24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2025.05.081. 심전도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나타낸 것으로, 심장근육의 전도를 평가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심장 내의 전기적 흐름이 체표면으로 전달되는데 이를 팔, 다리나 가슴의 신체 표면에 전극을 부착시켜 결과를 확인, 기록하는 것이다. 심전도의 목적은 관상동맥 폐쇄부전으로 오는 허혈성 심질환, 심방 및 심실세동 등의 부정맥이나 전도장애, 심실비대 및 선천성 심장질환 등을 진단하기 위함이다. 심전도는 심박동수, 리듬, 심장의 전도를 설명해주고, 정상적인 신체검사의 기초정보를 알기위해, 그리고 심장약물의 효과를 알기 ...2025.05.08
-
약리학 문제만들기2025.04.271. 인슐린 인슐린 lispro는 투여부위에서 쉽게 용해되며, regular insulin보다 2배정도 신속하게 순환계로 들어간다. Regular insulin은 Insulin lispro 개발 이전 가장 속효성 제제였으며 응급 시 정맥주사, 일반적으로 피내주사로 투여된다. 인슐린의 과량 투여 시 저혈당이 초래된다. Semilente insulun은 피하주사로 투여하며 정맥주사는 부적절하다. 제 2형 당뇨병의 경우 식이요법 및 경구용 혈당강하제 투여 등으로 조절한다. 2.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Tolbutamide는 장기 투여 시 ...2025.04.27
-
EKG(심전도) 발표 PPT2025.01.241. 심전도란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심장의 전면부에서 기록한 그래프를 심전도라 한다. 안정시 심장근육 세포의 안쪽은 음전극, 바깥쪽은 양전극의 분극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분극상태는 Sodium(Na+)이 세포막으로 이동하면서 깨지게 되어 탈분극이 시작되고 이때 심근의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2. 심장의 자극전도계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심장의 전면부에서 보는 것을 사지유도(limb lead)라 하며,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횡단면으로 보는 것을 흉부유도(precordial lead)라 한다. 12 lead EKG는 사지유도와 흉부유도...2025.01.24
-
분담주제 Cardioversion & Defibrillation2025.01.281. Cardioversion (심장율동전환) 심방세동, 심방조동, 심방빈맥 등의 부정맥을 정상 율동으로 전환하고, 정상적인 전도체계를 회복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술입니다. 부정맥이 발생하면 심박동의 전기적 자극이 불규칙하게 발생하는데, 이러한 심장에 직류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의 리듬을 재시작하도록 하는 원리입니다. 전기량은 부정맥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2. Defibrillation (제세동) 제세동은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부정맥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전기적인 치료 방법을 말합니다. 심장마비가 일어나면 전기적 자...2025.01.28
-
[건국대학교] 분자세포생물학 A+ Essential Cell Biology 5판 단원정리 Essential_concepts_chapter122025.01.151.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은 산소나 이산화탄소 같은 작고 비극성 분자에 대한 투과성이 있고, 물과 같이 매우 작은 극성분자에 대해서도 투과성이 있다. 하지만 모든 이온들이나 물에 잘 녹는 큰 분자들은 강한 비투과성을 가진다. 2. 막 수송 단백질 세포막을 가로지르는 영양분, 대사산물, 무기질 이온의 이동은 막 수송 단백질(membrane transport protein)에 의해 이루어진다. 세포막은 다양한 종류의 수송 단백질을 포함하고, 이건 수송체(transporters)나 통로(channel)로 기능한다.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