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4개
-
부정맥(Arrhythmia)의 정의,원인,종류,진단,치료 및 체외심박동조율기 사용법2025.04.291. 심장의 전기전달체계 심장의 전기적 리듬이 처음 시작되는 동방결절, 심방과 심실의 접합부에 위치한 방실결절, 전기신호를 심장의 근육으로 전달하는 좌우 속가지 등 심장의 정상적인 수축에 필요한 전기적 자극 전달 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부정맥의 정의 심장의 전기신호 전달체계의 변화나 기능부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부정맥이라고 정의하고, 정상 심박동 횟수와 서맥, 빈맥의 기준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3. 부정맥의 원인 부정맥은 자극형성장애, 자극전도장애, 혼합장애로 구분되며, 각각의 원인과 종류에 대해...2025.04.29
-
제세동기 defibrillator 사용법, 제세동, 심율동전환, defibrillation, cardioversion2025.01.131. 제세동기 사용법 제세동기는 전류의 전달시간이 짧은 직류를 심장에 전달시켜 일시적으로 심근을 탈분극시켜 심실세동이나 다른 종류의 부정맥을 멈추게 하고 정상적인 심박수와 리듬을 되찾게 하기 위한 기계입니다. 제세동기의 주요 구성 요소와 사용 방법,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defibrillation과 cardioversion의 차이 defibrillation은 동기직류 방전장치의 작동없이 심실잔떨림(심실세동)을 전기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며, cardioversion은 심실잔떨림 이외의 부정맥을 동기직류 방전장치...2025.01.13
-
AV block 문헌고찰, 간호진단 6개, 주객관자료2025.01.241. 방실결절 전도장애(Conducting disorder): 방실 차단 Atrioventricular block(AV block) 심장 수축 자극은 동방결절에서 시작해 방실결절에 도달한 후, His 다발로 전도되는 과정에서 지연되거나 차단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심장의 전기 신호가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아 심박수와 리듬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장애는 정도에 따라 1도, 2도, 3도 방실블록 또는 완전 심장블록으로 구분된다. 각 블록은 전도 지연이나 차단의 심각도에 따라 다르며, 이에 따라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2025.01.24
-
성인간호 분담주제 pacemaker간호(인공심박동기)2025.05.141. 정상적인 심장과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 정상적인 심장은 4개의 방(좌·우 심방, 좌·우 심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우심방에 있는 동방결절(Sinus Node)에서 전기 자극이 발생하여 심장 전기 자극 전도계를 따라 심장 전체로 퍼져 심장이 뛴다. 반면 병적으로 느리게 뛰는 심장은 SA Node에서 전기 자극을 잘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전도계를 통하여 전기가 잘 흐르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2. Pacemaker 정의와 구조 인공 심장 박동기는 심박동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심장근육에 반복적인 전기적 자극을 제공하는 기구이...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