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35개
-
혈액, 체액검사 항목 정상범위, 비정상 의미 / 각 검사별 채취방법2025.01.191. 일반혈액검사(CBC) 일반혈액검사(CBC)의 항목별 정상범위와 비정상 의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WBC, RBC, Hb, Hct, MCV, MCH, MCHC, RDW, PLT, PCT, MPV, PDW,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 Eosinophil, Basophil, Neutropil Count 등의 항목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2. 일반화학검사(Chemistry) 일반화학검사(Chemistry)의 항목별 정상범위와 비정상 의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Na, K, Cl, Mg, T. Pro...2025.01.19
-
체액 및 요검사학(정리자료)2025.04.261. 소변(Urine) 소변은 토리(사구체)에서 여과된 혈장이 세뇨관과 집합관을 통과하면서 일부 성분이 재흡수되고 일부 성분이 분비되어 배설되는 체액이다. 소변의 96%는 물이고 4%는 용해 물질이며, 주요 유기 성분은 요소와 크레아티닌, 무기 성분은 염화나트륨이다. 2. 소변 형성 소변 형성은 토리에서의 여과와 세뇨관에서의 재흡수 및 분비에 의해 이루어진다. 토리여과율(GFR)은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로 측정할 수 있으며, 시스타틴 C와 β2-마이크로글로불린도 GFR 측정에 사용된다. 3. 소변 검사 소변 검사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2025.04.26
-
만성 신부전 환자의 체액과다와 피부 손상 관리2025.05.081. 만성 신부전의 병태생리 당뇨병으로 인한 혈액 점도 상승으로 신장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신장 기능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체액과다와 부종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신기능 저하로 인해 적혈구 생성 감소, 단백질 배출 증가, BUN 및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 만성 신부전의 진단검사 신장 스캔 검사를 통해 양쪽 신장의 관류와 배출 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구체 여과율이 15ml/min 이하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장의 99mTc-DMSA 흡수가 저하되어 있음을 확인할 ...2025.05.08
-
성인간호학 비뇨기계2025.04.271. 소변 형성 과정 소변 형성 과정은 여과, 세뇨관 재흡수, 세뇨관 분비의 3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여과는 혈압과 혈류에 의한 압력차로 인해 생기는 수동적 과정으로, 얇은 반투과성 막을 통해 전해질, 당, 크레아티닌, 요소, 질소, 수분 등이 통과되지만 혈구, 알부민, 혈장 단백질은 통과되지 않습니다. 세뇨관 재흡수 과정에서 여과액의 99%가 재흡수되어 소변량이 유지됩니다. 세뇨관 분비 과정에서는 암모니아, 칼륨, 수소이온 등이 배출되어 pH와 전해질 항상성이 유지됩니다. 2. 체액 및 전해질 조절 체액 및 전해질 조절은 뇌하수체 ...2025.04.27
-
신생아 황달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2025.01.041. 체액부족의 위험성 신생아 황달 환아의 경우 광선요법으로 인한 불감성 수분 상실이 증가하여 체액 부족의 위험이 있다. 환아의 체중, 대천문 상태, 진단검사 결과(protein, chloride, creatinine, BUN 등)를 모니터링하여 탈수 징후를 확인하고, 수분 공급을 위한 정맥 주사액 투여, 구강위생 관리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하였다. 단기 목표는 2일 이내 탈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었고, 장기 목표는 7일 이내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 범위로 돌아오는 것이었다. 2. 감염위험성 신생아 황달 환아는 미성숙한 면역능력으...2025.01.04
-
성인실습 ICU 간호과정 (진단 3개)2025.01.131. 객담 배출능력 저하 대상자는 가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호흡곤란을 겪고 있다. 4시간마다 혈압, 체온, 맥박, 호흡, SPO2를 측정하고 2시간마다 suction을 시행하여 객담의 색과 양을 관찰한다. 또한 3시간마다 chest percussion을 시행하여 기도 청결과 환기 개선을 돕는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1일 이내에 정상 호흡수로 회복하고 2주 이내에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청진되지 않도록 한다. 2. 출혈과 관련된 체액 부족 대상자는 반복적인 출혈로 인해 체액 부족 상태이다. 2시간 간격으로 활력징후와 체중을 측정하고 시...2025.01.13
-
제왕절개 case study(간호진단-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2025.04.281. 제왕절개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외과적 수술법입니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35~40% 수준이며, 제왕절개 분만율의 85% 이상의 경우에서 이전 제왕절개 수술력, 난산, 태아 곤란, 태아의 위치 이상으로 수술하게 됩니다. 제왕절개는 가장 안전한 수술 중의 하나이지만 질 분만보다는 산모에게 더 위험합니다. 2.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제왕절개 수술 후 출혈은 산모에게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간호사는 산모의 활력징후, 오로의 양과 색깔, 혈액검사 수치 등을...2025.04.28
-
A+탈수케이스 브이심2025.05.091. 탈수의 위험 요인 과도한 화상, 구토, 당뇨병성 케톤산증 등이 탈수의 위험 요인으로 여겨질 수 있다. 체액의 손실로 인해 탈수가 발생할 수 있다. 2. 탈수 환자의 체액 상태 평가 어린이의 경우 일일 체중이 체액 상태의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이다. 구강섭취, 소변 배출량 측정도 중요한 지표이지만 일일 체중이 가장 좋다. 3. 소변 검체 채취 방법 탈수 환자의 경우 중간뇨 채취가 가장 적절한 방법이다. 침습적인 방법은 피하고, 배변 훈련이 되지 않은 영유아에게는 소변 주머니가 적합하다. 4. 발달 단계에 맞는 의사소통 5...2025.05.09
-
성인_상악동암_간호과정3_체액 불균형 위험성_가스교환장애_감염위험성2025.05.061. 체액 불균형 위험성 대상자는 치료적 금식, 수술 후 출혈 및 배액으로 인해 체액 불균형 위험성이 있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측정, 피부 및 점막 상태 사정, 섭취량과 배액량 확인, 저혈량 증상 관찰, 혈액검사 결과 확인, 처방된 수액과 전해질 및 약물 공급, 산소 공급, 대상자 교육 및 지지, 안정된 환경 유지, 하지 상승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체액 불균형을 예방하고자 한다. 2. 가스교환장애 대상자는 비강 및 구강 호흡이 불가능하여 ventilation이 적용되고 있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및 SpO2 측정, 호흡양상과 객담 양...2025.05.06
-
[성인간호학 응급실 실습 케이스] 급성췌장염 Acute pancreatitis A+ 자료 완전꼼꼼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2025.01.161. 급성췌장염 급성췌장염은 췌장 내 효소가 활성화되어 췌장 세포를 자가소화하면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상복부 통증, 오심/구토, 백혈구 증가, 발열, 빈맥, 황달 등이 있습니다. 진단을 위해 혈청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등의 검사와 영상검사가 필요하며, 치료는 통증 조절, 췌장 분비 억제, 체액량 유지, 합병증 관리 등이 포함됩니다. 간호중재로는 통증 완화, 수분 및 영양 관리, 호흡 증진, 불안 감소, 합병증 예방 등이 필요합니다. 1. 급성췌장염 급성췌장염은 췌장의 급격한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