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
속명의유안 14권 울증.hwp 한문 원문 및 한글번역2025.04.261. 울증 두재는 한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나이 15세이며 크게 근심하고 번뇌에 기인하여 다시 비허로 되었다. 보통 의사는 오령산에 청피, 지각등의 약을 사용하여 곧 음식을 먹지 못하고 가슴속이 답답했다. 명관을 200장, 관원을 500장을 뜸을 뜨라 명령하고 강부탕 1,2제, 금액단 1200g을 복용하니 나았다. 2. 내상 이는 피로로 중기를 손상하고 비가 혈을 통솔 못해서이다. 기침은 화가 폐를 녹여서이다. 신열은 원양이 뜨고 넘어가서이다. 자한은 기허로 액을 다스리지 못해서이다. 두통은 혈이 허하고 크게 화를 내서이다. 3. 보...2025.04.26
-
기본 한의학용어2025.05.071. 기혈(氣血) 기는 생체에너지, 힘, 활력을 의미하고, 혈은 혈액을 의미한다. 기가 허할 때의 증상으로는 무기력, 입맛 감소, 호흡 약화 등이 있으며, 혈이 허할 때의 증상으로는 창백한 얼굴, 어지러움, 손발 저림 등이 있다. 2. 원기(元氣)와 정혈(精血) 원기와 정혈은 생명력의 핵심으로, 원기는 에너지적 측면, 정혈은 물질적 측면을 의미한다. 중병으로 원기와 정혈이 손상되면 건강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3. 음양(陰陽) 음양은 모든 존재와 현상에 나타나는 상대적인 상반된 속성과 이를 파악하는 생각의 틀을 말한다. 4. 오...2025.05.07
-
속명의유안 13권 징가.hwp2025.04.251. 혈가 진자명이 진찰하고 말하길 이는 혈가로 약이 눈이 아찔하게 명현방응이 있지 않으면 제거할수 없다. 도인전을 달여 다시 경초[저녁 7시부터 9시까지]에 복용하길 오시까지 하면 매우 아파 참지 못하면 곧 눕게 된다. 잠시만에 주먹같은 피덩어리 몇 개를 하혈하고 소변이 1,2되 검은콩즙과 같게 되어 통증이 멎고 낫게 되었다. 2. 징가 진자명이 진찰하고 말하길 이는 혈가로 약이 눈이 아찔하게 명현방응이 있지 않으면 제거할수 없다. 도인전을 달여 다시 경초[저녁 7시부터 9시까지]에 복용하길 오시까지 하면 매우 아파 참지 못하면 ...2025.04.25
-
석산의안 상권 비뉵유체 이질, 협통, 고창2025.05.131. 코피와 콧물 한 사람이 형체가 살찐듯하고 취약해 나이가 30여세로 집에 총애하는 첩이 있었다. 3개월에 과로로 기인해 열감을 느끼고 코피가 있었다. 오래되어 콧물이 그치지 않고 냄새가 더러워 가까이하기 어렵고 점차 눈이 어둡고 귀가 웅웅거리며 음식을 적게 먹고 몸이 권태로웠다. 의사가 사물양혈탕을 쓰거나 혹은 인삼, 황기를 써 기를 보해도 효과가 없었다. 초기에 물이 화를 제어 못하고 폐가 화로 기인해 요란하고 콧물 흐름이 그치지 않아서 폐의 열이 심하면 콧물이 나온다고 함이 이것이다. 하물며 금의 몸은 근본이 건조이며 진액이...2025.05.13
-
간호학개론 한국간호역사 정리본입니다!(기말 만점 맞음)2025.05.071. 조선시대 간호 조선시대에는 '간호'란 단어를 직접 사용하지 않았지만, 의료 기관이 설치되어 있었고 여성 의료인력인 '의녀'가 활동했다. 의녀는 진맥, 조산, 간호, 침구, 약물 처방 등의 의료 활동을 했으며, 국가에서 정규 과정을 통해 양성했다는 점에서 간호 발전의 시발점이 되었다. 2. 개항기 간호 1876년 한일수호조약과 1882년 한미통상조약 체결로 문호가 개방되면서 선교 목적으로 내한한 서양 간호사들이 유입되었다. 이들은 간호교육을 시작하여 한국 여성의 고등교육과 직업교육을 개척했다. 또한 일본 거류민 병원, 선교병원,...2025.05.07
-
간호학개론 1학년 중간고사 실제 답안2025.01.121. 간호학개론 간호학개론은 간호학의 기초가 되는 학문으로, 간호의 역사, 철학, 이론, 실무 등을 다룹니다. 이 자료는 간호학 1학년 학생들의 중간고사 실제 답안을 정리한 것으로, 간호학의 발전 과정과 주요 개념, 간호사의 역할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2. 간호학 역사 간호학의 역사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발전해왔습니다. 이 자료에서는 원시 상고시대의 본능적 경험적 간호, 이집트의 에버스 파피루스, 팔레스타인의 모세오경, 중국의 진맥이론, 로마의 셀서스 의학역학 등 간호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3. 간호사의 역할 간...2025.01.12
-
한국간호의 역사 정리본 -A+ 100점으로 받았습다!2025.05.101. 조선 시대 간호 역사 조선 시대에는 의녀 제도를 통해 여성 전문 의료인력을 양성하려는 국가 정책이 시작되었다. 의녀들은 조산, 진맥, 침구술, 명약 등의 전문 간호 행위를 수행했으며, 체계적인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양성되었다. 2. 구한말 간호 교육의 시작 1906년 에드먼즈가 설립한 간호교육기관인 정동 보구여관과 1906년 세브란스병원 간호부 양성소가 한국 간호교육의 효시였다. 초기 간호 교육에는 여성들의 은둔생활, 조혼 풍습, 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이해 부족 등의 장애 요인이 있었다. 3. 일제 강점기 간호 교육과 단체 활...2025.05.10
-
간호학개론 중간고사 대비 문제2025.01.161. 조선시대 간호의 개념 조선시대 간호의 개념은 예방보다는 치유활동에 집중하였고, 음식 섭취와 조절, 적절한 활동과 휴식, 수면, 운동을 통한 활동조절, 계절에 맞는 환경관리, 고통 분담과 병상 지키기 등이었다. 여성이 가정 건강 관리와 직접 간호를 담당하였으며, 국가에서도 의학 장려, 의서 편찬, 의료기관 설치 등 백성의 건강을 위한 정책을 펼쳤다. 2. 조선시대 의녀 제도 조선시대 의녀 제도는 태조 6년(1397년)에 설치된 제생원에서 시작되었으며, 여성 의료인으로서 간호, 조산, 진맥, 침구술, 투약 등의 전문직업적 역할을 ...2025.01.16
-
초기 한국간호의 지도자들2025.04.251. 조선시대 의녀제도 조선시대에는 여성 진료를 담당하는 의녀제도가 수립되었습니다. 의녀들은 문자교육과 진맥, 침구, 명약 등의 기본적인 의학교육을 받았으며, 진찰, 처방, 침술, 조산, 간호 등 다양하고 폭넓은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그러나 연산군 시대에는 의녀제도의 목적이 변색되어 여성 범죄의 수색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2. 안나 제이콥슨 안나 제이콥슨은 1895년 북장로회 소속 선교사로 조선에 파송되었습니다. 그녀는 한국 의료체계가 '무'에서 출발한 상황에서 재중원 1대 간호사원장으로 부임하여 병든 사람들을 밤낮으로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