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한의학용어
본 내용은
"
기본 한의학용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5.11
문서 내 토픽
-
1. 기혈(氣血)기는 생체에너지, 힘, 활력을 의미하고, 혈은 혈액을 의미한다. 기가 허할 때의 증상으로는 무기력, 입맛 감소, 호흡 약화 등이 있으며, 혈이 허할 때의 증상으로는 창백한 얼굴, 어지러움, 손발 저림 등이 있다.
-
2. 원기(元氣)와 정혈(精血)원기와 정혈은 생명력의 핵심으로, 원기는 에너지적 측면, 정혈은 물질적 측면을 의미한다. 중병으로 원기와 정혈이 손상되면 건강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다.
-
3. 음양(陰陽)음양은 모든 존재와 현상에 나타나는 상대적인 상반된 속성과 이를 파악하는 생각의 틀을 말한다.
-
4. 오행(五行)오행은 자연과 생명의 5가지 변화 패턴과 이를 파악하는 생각의 틀을 말한다.
-
5. 경락(經絡)경락은 몸속에서 기가 순환하는 통로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이다. 세로로 흐르는 경맥과 이를 이어주는 락맥으로 구성된다.
-
6. 경혈(經穴)경락에 흐르는 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위치가 경혈이다.
-
7. 맥(脈)과 진맥(診脈)맥은 경락의 상태가 잘 나타나는 동맥 부위를 말하며, 진맥은 맥을 손으로 눌러 그 흐름을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
8. 장부(臟附)오장에는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이 있고, 육부에는 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가 있다. 한의학의 장부는 서양의학의 해부학적 장기와 일치하지 않으며, 기능적인 시스템으로 이해한다.
-
9. 체액(體液)과 진액(津液)체액은 몸속 수분 전체를 말하며, 진액은 기능적으로 신체 각 부분에 수분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
10. 울화(鬱火)와 허열(虛熱)울화는 열이 느껴지는 증상으로, 스트레스나 자극적인 음식 등으로 누적된 열에 의해 생긴다. 허열은 체액 감소나 순환 이상으로 인해 특정 부위에 열이 편중되어 생기는 현상이다.
-
1. 기혈(氣血)기혈(氣血)은 한의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인체의 생명력과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기는 인체의 생명력과 활동성을 나타내며, 혈은 인체의 영양분과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기혈의 불균형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한의학에서는 기혈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기혈의 개념은 서양 의학과는 구별되는 한의학의 독특한 관점을 보여주며, 인체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
2. 원기(元氣)와 정혈(精血)원기(元氣)와 정혈(精血)은 한의학에서 인체의 근본적인 생명력과 건강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원기는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생명력으로, 인체의 성장과 발달, 노화 과정을 관장합니다. 정혈은 정수(精髓)와 혈액이 결합된 것으로, 인체의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고 장부(臟腑)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원기와 정혈의 부족 또는 불균형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한의학에서는 이를 진단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이러한 개념은 인체에 대한 한의학의 독특한 관점을 보여주며, 서양 의학과는 구별되는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
-
3. 음양(陰陽)음양(陰陽)은 한의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우주와 인체의 모든 현상을 설명하는 기본 원리입니다. 음양은 서로 대립하면서도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균형이 깨지면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음양의 개념을 통해 인체의 생리적 기능과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 방법을 모색합니다. 예를 들어, 양증(陽證)에는 열성 질환을, 음증(陰證)에는 허약 질환을 치료하는 등 음양의 개념이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음양의 관점은 서양 의학과는 구별되는 한의학의 독특한 특징이며, 인체와 자연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
4. 오행(五行)오행(五行)은 한의학의 또 다른 핵심 개념으로, 우주와 인체의 모든 현상을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가지 요소로 설명합니다. 이 다섯 가지 요소는 서로 생성, 극복, 상극의 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균형이 깨지면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오행의 개념을 통해 인체의 장부(臟腑), 경락(經絡), 생리 기능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단과 치료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간(肝)은 목(木)에 해당하고, 심(心)은 화(火)에 해당하는 등 오행과 장부의 관계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오행의 관점은 서양 의학과는 구별되는 한의학의 독특한 특징이며, 인체와 자연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
5. 경락(經絡)경락(經絡)은 한의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인체 내부의 기(氣)와 혈(血)이 순환하는 통로를 의미합니다. 경락은 장부(臟腑)와 연결되어 있어 장부의 기능을 조절하고, 인체의 생리적 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경락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경락의 기혈 순환 장애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이를 치료하기 위해 침술, 뜸, 약물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경락의 개념은 서양 의학과는 구별되는 한의학의 독특한 관점을 보여주며, 인체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
6. 경혈(經穴)경혈(經穴)은 한의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인체의 특정 지점에 위치한 혈자리를 의미합니다. 이 경혈은 경락(經絡)과 연결되어 있어 기(氣)와 혈(血)의 순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경혈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침술이나 뜸 치료를 통해 특정 경혈을 자극하면 해당 경락의 기혈 순환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해결하고 건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경혈의 개념은 서양 의학과는 구별되는 한의학의 독특한 관점을 보여주며, 인체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
7. 맥(脈)과 진맥(診脈)맥(脈)과 진맥(診脈)은 한의학에서 중요한 진단 방법 중 하나입니다. 맥은 인체의 기(氣)와 혈(血)이 순환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진맥은 의사가 환자의 맥박을 직접 촉진하여 이를 진단하는 과정입니다. 한의사는 맥의 상태를 통해 환자의 장부(臟腑) 기능, 기혈 순환, 음양 균형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질병의 원인을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맥진은 서양 의학의 진찰 방법과는 구별되는 한의학의 독특한 특징이며, 인체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
8. 장부(臟附)장부(臟附)는 한의학에서 인체의 주요 기관을 의미하며, 이들 장부의 기능과 상호 관계가 질병의 원인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장부를 음양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각 장부의 기능과 특성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간(肝)은 계획과 분석의 기능을, 심(心)은 정신 활동을 관장하는 등 장부의 역할이 다양합니다. 이러한 장부 개념은 서양 의학의 기관 중심 접근과는 구별되며, 인체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한의학의 독특한 관점을 보여줍니다. 장부 기능의 이해는 질병의 원인 진단과 치료 방법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9. 체액(體液)과 진액(津液)체액(體液)과 진액(津液)은 한의학에서 인체의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체액은 혈액, 림프, 뇌척수액 등 인체 내부의 액체를 의미하며, 진액은 체액 중에서도 특히 중요한 영양분과 수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이러한 체액과 진액의 균형이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라고 봅니다. 체액과 진액의 부족 또는 과다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한의사는 이를 진단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 이러한 체액과 진액의 개념은 서양 의학과는 구별되는 한의학의 독특한 관점을 보여주며, 인체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
10. 울화(鬱火)와 허열(虛熱)울화(鬱火)와 허열(虛熱)은 한의학에서 중요한 병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울화는 기(氣)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열증(熱證)을 의미하며, 허열은 기혈(氣血)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증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 열증은 서로 다른 원인과 증상을 가지고 있어, 한의사는 이를 구분하여 진단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울화는 스트레스나 감정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허열은 만성 질환이나 노화로 인한 기혈 부족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병리 개념은 서양 의학과는 구별되는 한의학의 독특한 관점을 보여주며, 인체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
통합 실습 시뮬레이션 보고서1. 응급 간호 응급상황에서는 즉각적으로 환자의 생명을 보호할 조치와 손상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최초의 간호사정이 필요하다. 신경학적 검사, 병력 사정, 전반적 사정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응급 간호를 수행해야 한다. 무의식 환자의 경우 기도 확보, 혈당 측정 및 투여, 산소 공급, 체온 관리 등의 응급 간호가 필요하다. 2. 저혈당성 쇼크 저...2025.01.13 · 의학/약학
-
의대를 다니고 느낀 점1. 의대 생활 의대생 나는 의대를 졸업했다. OO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다. 의대를 졸업하고 느낀 점에 대해서 간단히 적어보겠다. 이 글은 지극히 주관적이고 개인 신상 관련된 사항은 전부 OO 처리하니 양해바란다. OO과학고 출신으로 O명이나 OO대 의대에 함께 진학했는데 모두 기라성 같이 뛰어난 친구들이었다. 물론 전국 각지에서 오는 학생들 전부 우수했...2025.04.28 · 의학/약학
-
알고리즘의 정의와 활용 분야1. 알고리즘의 정의 알고리즘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거나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의된, 일련의 명확한 연산 절차나 규칙의 집합을 의미한다. 이러한 절차는 입력을 받아 처리하고, 그 처리 과정을 거쳐 출력을 생성한다. 알고리즘은 문제 해결의 핵심 로직이며, 그 명확성과 효율성은 종종 알고리즘의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2. 알고리즘의 유...2025.01.18 · 정보통신/데이터
-
식품독성학1. 독성학 소개 독성학은 '생명에 물리적인 성질을 가진 화학물질이나 물질의 부작용(유해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이러한 유해효과는 즉각적인 죽음부터 몇 년 또는 몇 년에 걸쳐서 나타날 수 있다. 독성 물질이 어떻게 신체를 손상시키는지에 대한 이해는 의학 지식과 함께 발전해왔다. 일부 독성 화학물질은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2. 독성학의 역사 독성...2025.05.07 · 의학/약학
-
[A+보장]아동간호학실습 뇌종양,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15페이지 자료입니다.1. 뇌종양 뇌종양은 두개골 내에 생기는 모든 종양으로 뇌 및 뇌 주변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양까지 포함합니다. 소아청소년 뇌종양은 소아청소년암 중에서 백혈병 다음으로 흔하고 고형 종양 중 제일 흔한 종양입니다. 뇌종양은 악성도에 따라 양성 종양과 악성 종양으로 나눌 수 있으며, 발생 위치에 따라 천막 상부 종양과 하부 종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소...2025.05.11 · 의학/약학
-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정신보건의 방향1.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개념 지역사회 정신보건은 매우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용어의 기본개념은 지역사회 내에서 발생하는 정신보건 문제를 지역사회내의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해결하자는 것이었다. 또한, 이 개념에 따르자면 지역사회 정신보건은 특정 개인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지역 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금 치료보다는 예방과 정신건강증진을 ...2025.04.27 · 보건
-
의학용어 정리 3페이지
의학용어진단 (Diagnosis) - 질병 또는 상태를 판단하고 정확한 명칭을 붙이는 과정처방 (Prescription) - 의사가 환자에게 특정 약물 또는 치료 방법을 권고하는 것수술 (Surgery) - 의료적인 목적으로 몸의 부분을 절개하거나 수정하는 치료 방법약물 (Medication) - 질병 치료 또는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증상 (Symptom) - 질병이나 상태의 체감되는 변화 또는 불편한 느낌예방 (Prevention) - 질병이나 상태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치료 (Treatment) -...2023.05.23· 3페이지 -
신경계 의학용어 7페이지
◈ 신경계 해부학 용어? Brain (뇌): 신경계통의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 Cerebrum (대뇌):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영역.? Brainstem (뇌간): 중뇌, 교, 연수 등을 포함하며 인간의 생명 활동 기능을 조절하는 곳. 뇌간이 작동하지 않으면 인간은 사망합니다.? Cerebellum (소뇌): 운동과 균형 기능을 조절하는 부분.? Nerve (신경): 뉴런과 축삭(Axon)으로 구성.? Spinal Cord (척수): 뇌에서 천추부까지 연결된 신경.? Central Nervous System (CNS) (중추신경...2025.05.23· 7페이지 -
의학용어사전 피부관련 용어 95개 6페이지
의학용어사전(dictionary of medical terms)NOFull term/(약어)뜻설명1eschar가피피부병을 앓아 생긴 부스럼 딱지2induration경화몸의 조직 따위가 단단하게 굳어짐3debridement괴사조직제거술데브리망괴사조직을 제거술 하는 수술4evisceration내장적출내장을 감추어져 있던 것을 들추어냄.5fistulasinun tracts누공‘샛길’의 전 용어6friction마찰두 물체가 서로 닿아 비벼짐7binders바인더서류·잡지 등을 철하여 꽂는 물건.8ecchymosis반상출혈피부에 검보랏빛 얼룩...2021.11.20· 6페이지 -
수술실 의학용어 및 약어 10페이지
수술실 의학용어 및 약어1) 기본용어(1) 일반외과 수술appendectomy 충수절제술Billroth I operation 위십이지장문합술cholecystectomy 담낭절제술fistulectomy 누공절제술hemorrhoidectomy 치질절제술hernioplasty 탈장성형술mastectomy 유방절제술polypectomy 용종절제술Whipple’s operation 췌장십이지장 절제술(2) 신경외과 수술craniectomy 두개골절제술craniotomy 개두술myelotomy 척수절개술neurotomy 신경절단술(3) 정형외...2025.02.09· 10페이지 -
한의학의 특성 및 서양의학 및 한열의 진가 분석 3페이지
한방병리학한방병리학레포트- 한의학의 특성 및 서양의학 및 한열의 진가 분석1. 한의학이란?가. 한의학 이란?한국에서 고대부터 발전해온 의학이며 서양의학에 대응하여 동양계 의학이라고 한다.한의학은 중국·일본 등 한자 문화권 지역의 의학과 교류되어 발전해오면서 동양의 철학적인 방법에 기반으로 두고 있다. 그리고 한의학은 WHO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중국 전통의학으로 알려져 있으며, 북미대륙에서는 대체의학으로 주목되고 있다.고유한 한의학은 일제시대를 거쳐오면서 명치유신(明治維新) 때 전통의학을 말살하고 양방으로 일원화한 일본제도의 영...2022.09.15·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