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1개
-
직류 공급전압 Vs 400 V 부하저항 R 402025.05.071. 강압형 컨버터 설계 주어진 설계 조건에 따라 강압형 컨버터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습니다. 직류 공급전압 Vs = 400 V, 부하저항 R = 40 Ω, 듀티비 D = 0.4, 인덕터 L = 0.5 mH, 커패시터 C = 1 uF의 값을 사용하였습니다. 스위칭 주파수 fs를 계산한 결과 40 kHz가 되어야 인덕터가 연속전류모드(CCM)에서 동작하며, 맥동 전압 ΔV0는 3 V로 나타났습니다. PSIM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조건을 만족하였음을 확인하고, 각 부 파형(공급전압, 출력전압, 인덕터 전압 및 전류, 커패시터...2025.05.07
-
부산대_응용전기전자실험2_예비보고서4_MOSFET [A+보고서]2025.01.291. MOSFET Buck Chopper MOSFET Buck Chopper는 전류의 ON-OFF를 반복하여 직류 또는 교류 전원으로부터 원하는 전압이나 전류를 만들어내는 전원 회로 제어 방식입니다. 스위칭 소자가 ON일 때 전류가 흐르고 OFF일 때 다이오드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낮아지는 강압형 컨버터입니다. 인덕터의 전압 특성을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적절한 인덕턴스와 스위칭 주파수 선정이 중요합니다. 2. MOSFET Boost Chopper MOSFET Boost Chopper는...2025.01.29
-
MOSFET 예비보고서 (2)2025.01.231. DC/DC 컨버터 DC/DC 컨버터는 직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장치로, 리니어 레귤레이터나 스위칭 레귤레이터 등의 방식으로 변환을 수행한다. MOSFET buck chopper는 입력 전압에 대해 출력 전압을 낮추는 강압형 컨버터이며, MOSFET boost chopper는 입력 전압에 대해 출력 전압을 높이는 승압형 컨버터이다. 2. MOSFET buck chopper MOSFET buck chopper는 스위칭 소자가 ON 상태일 때 전류가 흐르고 LC 회로에 의해 고주파 부분은 GND로 빠져나가고 저주파 부분만 통과하게 된...2025.01.23
-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 실습 실습2_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_결과보고서2025.01.211. PWM 제어회로 PWM 제어회로의 가변저항 크기 변경을 통해 원하는 스위칭 주파수를 만들 수 있었고, 제어회로의 출력 펄스를 통해 SMPS 회로의 출력 전압을 조정할 수 있었다. 2. Buck Converter PWM 제어회로와 Buck Converter를 이용해 일정한 직류 출력을 내는 SMPS 회로를 설계하였다. 3. SMPS 회로 SMPS는 일정한 직류 출력 전압을 공급해주는 안정화 장치로 그 중요도가 높다. SMPS 회로 동작 중 부품의 기생 요소에 의한 전압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PWM 방식을 채택하였다. 4. PWM...2025.01.21
-
연세대 23-2 기초아날로그실험 A+7주차 예비보고서2025.01.131. 정류회로 설계 Transformer 동작 이해하기, Diode 동작 이해하기, Ripple 이해하기 2. Buck-Converter 설계 Switch 동작 이해하기, DC-DC converter 이해하기 3. PSPICE 및 빵판을 이용한 실험을 통한 이론 검증 PSPICE를 통해 Full Wave Rectifier와 Buck Converter 회로를 구현하고 실험을 통해 이론을 검증하였음 1. 정류회로 설계 정류회로 설계는 전력 전자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정류회로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2025.01.13
-
[A+] 중앙대학교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2.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2025.04.29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on-off 시간을 조절하여 출력을 안정화시킨 직류 안정화 전원 장치입니다. 고효율, 소형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다수의 전자기기 및 장비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입니다. DC-DC 컨버터에 있어 부품의 기생 요소에 의해 출력전압의 저하가 발생하면 안정화 전원으로서의 응용이 곤란하므로 PWM 방식을 채택한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출력전압을 안정화시켜줍니다. 2. PWM 제어 회로 PWM 제어 회로를 구성하여 톱니 파형과 출력 파형을 확인...2025.04.29
-
A+ 연세대학교 기초아날로그실험 4주차 예비레포트2025.05.101. PN 접합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 사이에 있는 물질로, 주로 실리콘(Si)이나 저마늄(Ge)으로 이루어져 있다. 순수 반도체에는 자유전자가 없어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13족 또는 15족 원소를 섞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만든다. P형 반도체는 양공을, N형 반도체는 자유전자를 주요 캐리어로 사용한다. PN 접합을 하면 전자와 양공이 확산되어 전기장이 형성되며, 이 상태를 평형 상태라고 한다. 순방향 바이어스와 역방향 바이어스에 따라 PN 접합의 전류-전압 특성이 달라진다. 2. 다이오드 다이오드...2025.05.10
-
중앙대학교 정류회로 및 정전압 전원회로 결과 보고서2025.01.291. 평활 회로 평활 회로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사용한 저주파 필터로 구성되어 교류 전압 성분을 제거한다. 인덕터는 교류의 흐름은 차단하고 직류는 그대로 통과시키며, 커패시터는 교류의 흐름은 통과하고 직류는 차단시킨다. 인덕터를 사용하면 평활 성능이 뛰어나 더 안정적인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지만 가격이 저항보다 비싸다. 저항으로 교체할 경우 회로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의 장점이 있지만, 전압 강하와 리플의 증가로 인해 출력의 질이 떨어진다. 2. 정전압 전원 회로 정전압 안정화 회로에서 부하가 변동하여 부하 전류가 갑자기 증가하게 ...2025.01.29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2장 결과 보고서2025.01.04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는 일정한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에 공급해주는 직류 안정화 전원으로, PWM 제어 회로를 이용한다. PWM 제어 회로는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생긴 오차를 오차 증폭기로 증폭한다. 이렇게 증폭된 오차는 comparator에서 톱니파와 비교되어 오차에 상응하는 구형파 펄스를 생성한다. 구형파 펄스가 driver stage를 통하여 converter의 스위치를 구동하게 되며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켜준다. 2. PWM 제어 회로 PWM 제어 회로 모듈의 블...2025.01.04
-
다이오드 정류기 예비 보고서2025.04.271. 전력 변환 회로 전력 변환 회로의 종류에는 정류기(AC → DC), 컨버터(DC→DC), 인버터(DC→AC), 사이클로 인버터(AC→AC) 등이 있다. 전력 변화의 핵심은 스위치의 활용으로, 스위치를 언제(when) 및 어떻게(how) on/off 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전력 변환이 가능하다. 2. 스위치 소자 전력전자공학에서 사용되는 스위치 소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연결/차단(on/off)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적인 스위치는 on 시 무한한 크기의 양방향 전류 도통을 허용하고 전류가 흐를 때 손실이 없으며, off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