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2장 결과 보고서
본 내용은
"
[A+]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2장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0
문서 내 토픽
-
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SMPS는 일정한 직류 출력 전압을 부하에 공급해주는 직류 안정화 전원으로, PWM 제어 회로를 이용한다. PWM 제어 회로는 출력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생긴 오차를 오차 증폭기로 증폭한다. 이렇게 증폭된 오차는 comparator에서 톱니파와 비교되어 오차에 상응하는 구형파 펄스를 생성한다. 구형파 펄스가 driver stage를 통하여 converter의 스위치를 구동하게 되며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켜준다.
-
2. PWM 제어 회로PWM 제어 회로 모듈의 블록도를 구성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출력 전압이 0~10V로 12.5kHz로 스위칭하는 동작을 목표로 하였으며, 실험 결과 톱니파형(초록색)과 출력 파형(노란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계한 R1의 값 1.274kΩ으로 하였을 때는 원하는 출력값 0~10V보다 더 작은 범위에서 스위칭하였고, R1의 가변저항 값을 약 5.07kΩ로 설정하였을 때 비로소 출력 전압이 12.5kHz로 0~10V 스위칭하였다.
-
3. Buck ConverterBuck Converter는 스위치 Q, 다이오드 D, 출력 필터 L 및 C로 구성되어 있다. 주 스위치 Q가 ON되면 입력에서 전류가 L을 통하여 출력으로 흐르면서 동시에 L에는 에너지가 축적된다. 그리고 Q가 OFF되면 L에 축적된 에너지가 다이오드 D를 통하여 출력으로 방출하게 되면서 원하는 출력 전력으로 변하게 된다. 실험 결과 Buck Converter에서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낮은 범위인 1~2V에서 나타났다.
-
4. Boost ConverterBoost Converter는 스위치 Q가 ON일 때 inductor 전류에 의해서 L에 에너지가 축적되고 다이오드 D는 차단된다. 이때 출력에서는 C의 전하가 R을 통해 방전된다. 그리고 Q가 OFF일 때 L에 축적된 에너지가 다이오드 D를 통하여 출력 쪽으로 방출된다. 실험 결과 Boost Converter에서는 출력 전압이 입력 전압보다 높은 범위인 6~10V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1.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는 전력 변환 장치로, 전통적인 선형 전원 공급 장치에 비해 효율성이 높고 크기와 무게가 작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SMPS는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원하는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이 선형 전원 공급 장치에 비해 작습니다. 또한 SMPS는 다양한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어 전자 기기의 전원 공급 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SMPS는 스위칭 동작으로 인해 전자기 간섭(EMI)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필터링 회로가 필요합니다. 또한 스위칭 소자의 고장으로 인한 안전성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전반적으로 SMPS는 전력 변환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이러한 단점들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
2. PWM 제어 회로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 회로는 전력 변환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PWM 제어 회로는 일정한 주기의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전력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정밀한 전력 제어가 가능합니다. PWM 제어 회로는 모터 제어, 전력 변환기, 조명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SMPS에서는 PWM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PWM 제어 회로는 디지털 제어가 가능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연계하여 복잡한 제어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WM 제어 회로는 스위칭 동작으로 인한 전자기 간섭 문제와 스위칭 손실 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3. Buck ConverterBuck Converter는 SMPS 기술 중 하나로, 입력 전압을 낮은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Buck Converter는 스위칭 소자, 인덕터, 캐패시터 등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입력 전압을 효율적으로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전력 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4 9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설계실습(실습4 예비보고서)소속전자전기공학부담당교수수업 시간학번성명예비 보고서설계실습 4. 신호 발생기실습날짜2021.10.04. 17시교과목 번호제출기한2021.10.03. 24시작성자제출날짜(이클래스)2021.10.03.1. 목적Wien bridge RC 발진기를 이용하여 신호 발생기를 설계, 제작, 측정하며 그 동작을 확인한다.2. 실습 준비물부품Op amp. (UA741CN)1 개다이오드 1N40012 개가변저항 10KΩ6 개커패시터 100nF, ceramic disk2 개사용장비오실로스코프(Oscil...2022.09.14· 9페이지 -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5 11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설계실습(실습5 예비보고서)소속전자전기공학부담당교수수업 시간학번성명예비 보고서설계실습 5. 전압제어 발진기실습날짜2021.10.11. 17시교과목 번호제출기한2021.10.10. 24시작성자제출날짜(이클래스)2021.10.07.1. 목적전압제어 발진기 (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를 설계하고 전압을 이용한 발진주파수의 제어를 실험으로 확인한다.2. 실습 준비물부품저항 100 Ω , 1/2 W, 5%3 개저항 5.1 kΩ , 1/2 W, 5%1 개저항 10 kΩ , 1/2 W...2022.09.14· 11페이지 -
경북대학교 기초전기전자실험 OP-AMP 실험보고서 [기계공학부] 10페이지
OP-AMP 반전 증폭기 실험 보고서기계공학부1. 실험 목적(1) OP-AMP의 Offset 전압과 그의 영향에 대한 실험을 해본다.(2) OP-AMP의 동작원리와 반전, 비반전 증폭기에 대하여 알아본다.(3) OP-AMP를 이용한 여러 가지 증폭기의 설계 이론을 실습해 본다.(4) OP-AMP를 이용한 응용회로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 특성을 실험한다.2. 실험 관련 이론1) OP-AMP (연산 증폭기)연산 증폭기(OP-AMP, Operational Amplifier)는 두 개의 차동 입력과, 대개 한 개의 단일 출력을 가지는 직류 ...2023.06.17· 10페이지 -
경북대학교 기초전기전자실험 센서실험보고서 [기계공학부] 16페이지
센서 Ⅰ,Ⅱ 실험 보고서기계공학부1. 광센서 실험1) 실험 목적여러가지 시편의 변화에 따른 투과형 광센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2) 실험 관련 이론(1) 광센서모듈형 광센서는 빛 자체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기보다는 빛을 이용하여 물체의 유무를 검출하거나, 속도나 위치의 결정에 이용하기도 하며, 레벨검출, 특정 표시의 식별 등을 하는 곳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광센서는 응용분야가 넓은 만큼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크게 투광부(sender or emitter)와 수광부(receiver)의 구성 여부에 따라 일체형과 분리...2023.06.17· 16페이지 -
2016년도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3학년 2학기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8장 논리함수와 게이트 9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결과 보고서실습 8. 논리함수와 게이트조제출일작성자조원8-4. 설계실습 내용 및 분석8-4-1 설계한 논리게이트 구현 및 동작(A) Low(0) 값, High(1) 값, Vcc를 각각 0V, 5V, 5V로 설정한다. AND, OR, NOT 게이트를 사용하여 NAND, NOR, XOR 게이트의 진리표와 등가회로를 작성하고 두 입력의 모든 경우에 대해 출력 전압의 값을 측정한다.1. NAND입력출력입력 A입력 B출력 X*************. NOR입력출력입력 A입력 B출력 X0010101001103...2016.12.23·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