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4개
-
[case study] esophageal perforation, acute mediastinitis, 식도 천공, 급성 종격동염2025.01.161. 식도천공 식도천공은 식도에 구멍이 뚫린 것으로, 주요 원인으로는 기구에 의한 의인성 손상(59%), 자발성 천공(15%), 섭취한 식도 이물(12%), 외상(9%), 수술에 의한 손상(2%), 종양(1%) 등이 있다. 증상으로는 연하곤란, 흉통, 호흡곤란, 빈호흡 및 빈맥, 저혈압 등이 나타나며, 치료는 천공 부위를 통한 누출과 감염 방지, 배액과 금식, 항생제 치료, 적절한 영양공급 등이 필요하다. 2. 종격동염 급성 종격동염은 식도암, 이물질을 잘못 삼킨 것이 원인이 되어 식도에 구멍이 생기고 이를 통해 세균에 감염된 음식...2025.01.16
-
급성 세로칸염 케이스 A+ 자료2025.01.061. 급성 세로칸염 급성 세로칸염은 폐장, 심장, 대동맥, 식도 등 신체 내에 생존과 관련된 거의 모든 장기가 모여 있는 부위로 생명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부위이다. 급성 세로칸염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치사율이 75% 정도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주변 장기의 파열에 따른 세균 감염이 제일 흔한 원인이며, 흉곽 내의 감염이나 인후두 공간의 감염이 세로칸으로 퍼져 발생하고 발열, 급작스러운 흉통 오한, 연하곤란이 나타난다. 2. 세로칸의 구조와 기능 세로칸(종격)은 앞면 가슴뼈(흉골), 등의 척추, 상단의 목과 그 아래 횡격막을...2025.01.06
-
성인간호학실습 심낭염 케이스(+자세한 2개 간호과정 포함)2025.01.121. 심낭염 심낭염(pericarditis)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심낭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으로 심장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질환 중 하나입니다. 심장질환은 매우 중요한 질환으로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심낭염을 진단받은 환자 중에서 심낭삼출(pericardial effusion)이나, 심장 눌림증(cardiac tamponade) 등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초기 단계에 치료를 받고 주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심장 구조 심장(he...2025.01.12
-
심경부감염(Deep Neck Infection) - 질병보고서, 문헌고찰_중환자실2025.01.041. 심경부감염(Deep Neck Infection) 심경부감염은 심경막과 그 사이의 심경부공간에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봉와직염 또는 농양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항생제의 발달로 심경부감염의 유병률도 감소하고 치료 결과가 좋아졌지만 내경정맥혈전증, 종격동염, 패혈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심경부감염의 원인은 경부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증상은 종창, 발적, 압통 등입니다.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 영상검사 등이 필요하며, 치료는 항생제 투여와 외과적 배...2025.01.04
-
[성인간호학] 식도염 문헌고찰2025.05.021. 식도염의 정의 식도염은 식도 점막에 염증이 일어나 짓무르는 질환이다. 영어로는 esophagitis(식도염)으로 esophagus(식도) + -itis(염증)이다. 식도염의 질병분류코드는 K20으로 식도의 농양, 식도염 NOS, 화학성 식도염, 소화성 식도염을 포함한다. 역류식도염은 K20에서 제외 되어 K21로 분류한다. 식도염은 소화기내과,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에서 진료한다. 2. 식도염의 종류 식도염은 크게 역류성 식도염과 비역류성 식도염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의 역류로 인해 식도하부의 점막에 결...2025.05.02
-
수술실 실습 중 작성한 편도절제술 사례2025.01.211. 편도선의 구조 및 기능 편도선은 임파구들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는 조직으로, 상기도 감염에 대한 방어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편도선에는 구개편도, 설편도, 인두편도, 귀인두관편도 등이 있으며, 면역, 조형, 내분비, 비타민 생성, 소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한다. 2. 편도염 편도염은 구개편도가 빨갛게 붓고 목구멍이 아프며 고열이 나는 병으로, 세균성, 바이러스성 감염, 과로, 과음, 과식, 기후변동 등이 원인이 된다. 증상으로는 고열, 목 통증, 편도 비대 등이 있으며, 합병증으로 편도주위농양, 인후농양, 경부림프절화농 등이 발...2025.01.21
-
신규간호사를 위한 검사 및 시술 간호2025.01.101. PCD(경피적 농양 배액술) PCD(percutaneous abscess drainage 경피적 농양 배액술)은 몸 안에 농양이 있는 환자에게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늘고 긴 관을 초음파 및 투시 촬영술을 이용하여 몸 밖에서부터 고름집 안으로 넣어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시술입니다. 농양에 의해 생기는 증상(고열, 발한 등)이 없어지고 혈액 검사 수치가 정상화되는 등 임상적으로 충분한 호전이 있으면서 카테터를 통해 나오는 액체의 양이 거의 없어지면 카테터를 제거하게 됩니다. 필요한 경우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촬영(CT)...2025.01.10
-
위장관 출혈성 질환(종류, 진단, 치료, 간호) case study2025.01.241. 소화기관 해부생리 소화기관은 구강에서 항문까지 약 9m에 이르는 긴 관으로 음식물 섭취와 이동, 섭취한 음식물의 소화, 소화된 음식물의 흡수, 분변을 형성하여 배설하는 기능을 한다. 식도는 직경 2cm, 길이 23-25cm의 속이 빈 근육성 관으로, 기관과 후두 뒤편에 있으며 종격동과 횡격막을 지나 제6경추에서 제11흉추의 위치까지 아래로 뻗어 있다. 위는 왼위구역(LUQ)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부학적으로 위기저부(fundus), 몸체(body), 유문동(antrum)의 세 부분으로 구분되며 위의 용적은 대략 1,500ml이다...2025.01.24
-
A+ 폐 암 케이스(LUNG CANCER CASE)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2025.05.091. 폐암의 정의 폐암이란 폐에 생긴 악성 종양을 말한다. 폐암은 폐 자체에서 발생하거나(원발성 폐암) 다른 장기에서 생긴 암이 폐로 전이되어(예: 유방암의 폐전이) 발생하기도 한다. 대부분 폐에 국한되어 발견되지만 진행될수록 반대쪽 폐뿐만 아니라 임파선이나 혈액을 통하여 뼈, 간, 부신, 신장, 뇌, 척수 등 온몸으로 전이될 수 있고 이러한 전이가 폐암의 특징이다. 2. 폐암의 종류 원발성 폐암의 종류는 암세포의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폐암의 80~85%는 비소세포폐암이고 이것은 다시...2025.05.09
-
lymphoblastic B-cell lymphoma의 정의, 치료, 검사, 간호교육2025.05.091. lymphoblastic B-cell lymphoma lymphoblastic B-cell lymphoma는 공격형 악성림프종으로 대부분 종격동에 덩어리를 형성하고 골수와 중추신경계의 침범이 흔하다. 급성림프구성 백혈병에 준하는 치료를 하거나 강화된 항암치료가 필요하다. 급격히 진행하는 림프종으로, 확진 후 바로 신속한 항암제 투여가 필요하며 고용량 항암치료와 조혈모세포이식을 권하는 림프종이다. 종격동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 요법이 동원된다. 2. 치료법 1) 항암치료: 림프구성 림프종의 주요 치료법으로 항암제가 전신을...202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