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03개
-
정책의제 설정이론 및 과정2025.01.121. 정책의제 설정이론 정책의제 설정이론에는 의사결정론, 체계이론, 다원론, 엘리트이론, 무의사결정론이 있다. 의사결정론은 인간이 복잡한 문제를 간소화하는 과정을 거쳐 의사결정을 한다는 이론이다. 체계이론은 정치체제의 제1선인 대통령, 국회의원, 행정부처, 고위관료들이 정책문제를 선별하여 결정한다는 이론이다. 다원론은 정책결정권자들의 지지를 필요로 하는 누군가에 의해 정책의제가 채택된다는 이론이다. 엘리트이론은 소수의 엘리트들이 자신들의 이해와 선호에 따라 중요한 정책을 결정한다는 이론이다. 무의사결정론은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2025.01.12
-
정책의제의 형성과정과 사회복지정책 결정에 관하여2025.01.141. 정책의제화 과정 정책의제화 과정은 사회문제가 발생하여 정부의 정책의제로 채택되는 과정으로, 사회적 이슈 또는 사회적 쟁점이 공중의제로 부상하고 이후 정부의제로 채택되는 단계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세력 있는 소수집단의 편향된 시각으로 인해 중요한 사회문제가 배제될 수 있으므로, 대중의 참여와 정당화 과정이 중요하다. 2. 사회복지정책 결정 과정 사회복지정책 결정 과정은 문제인식, 정책의제화,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정책의제화 단계에서 특정 사회문제가 정책의제로 채택되는 방식에 따라 이후 정책의 성격...2025.01.14
-
사회복지정책과정의 이론적 배경과 개선점2025.05.121. 사회복지정책과정 사회복지정책과정은 사회적 욕구에서 시작하여 정책문제 및 수요, 정책이슈 설정, 대안 선택 및 비교분석, 정책결정 및 집행, 정책평가 등의 단계를 거쳐 형성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적 여론이 강력한 사회문제가 사회복지정책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민청원 제도를 의무화하여 국가가 국민의 의견을 수용하고 답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2. 사회복지문제의 정책화 사회복지문제가 정책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는 사회적 욕구가 공중의제로 부상하고, 정부에...2025.05.12
-
[정책학개론A+] 정책의제로 채택되지 못한 사회문제2025.05.021. 코로나19 백신 부작용과 피해 보상 코로나19 백신 부작용과 피해 보상 문제는 정부가 정책의제로 채택하지 않은 대표적인 사회문제이다. 백신 접종이 강력히 권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백신 부작용으로 인한 중증 상해와 사망 사례가 발생했지만, 정부는 피해 보상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왔다. 이는 백신 부작용 피해 인정 기준이 엄격하고 천문학적인 규모의 보상금 지급이 부담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추진한 정책의 결과에 대해 책임감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2. 국민연금 개혁 국민연금 개혁 문제 또한 정부가 정책의제로 채택하지 않...2025.05.02
-
사회복지정책의 의제 형성(정책의제)2025.01.121. 정책의제의 개념 의제(agenda)란 어떤 문제나 이슈가 정책결정자나 공공의 관심을 두지 않음으로써 공공정책의 형성을 위해 논의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일 때 그 문제나 이슈가 아젠다에 위치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의제란 공공정책으로 전환되기 위해 정책결정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논의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문제나 이슈를 말한다. 2. 의제 설정의 중요성 정책의제의 형성은 사회문제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연구와 분석을 통해 원인을 규명하고, 정책문제로 전환되어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기 위해 필요하다. 정책 형성이 중요한 이유는 첫째...2025.01.12
-
아이스톤(Eyestone)의 정책 의제화 모형(아젠다, 모델)2025.01.121. 사회문제 사회문제의 인식단계는 어떤 문제가 관련된 사회집단에 의해 사회문제로 인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문제란 어떤 형태이든 해결하려는 욕구를 느끼게 하는 불만족스러운 조건이나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결책을 전제로 한다. 사회문제는 사회복지정책의 주원료이지만, 모든 사회복지문제가 사회복지정책으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2. 사회적 이슈 사회적 이슈화 단계는 인식된 사회문제에 대해 반대의사를 갖거나 그 해결방법에 대해 이견이 있는 집단들이 나타남으로써 사회적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이해갈등이 야기되는 단계다. 즉, 사회문제를 정의...2025.01.12
-
사회복지정책 아젠다(의제) 형성2025.01.111. 의제 형성의 의미 아젠다란 공공정책으로 전환되기 위하여 정책결정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논의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문제나 이슈의 목록을 의미한다. 정책의제형성과정은 입법부, 행정부 등이 사회문제를 정책문제로 전환시키는 과정, 즉 비제도적 공중의제를 제도적 정책의제로 채택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2. 의제형성의 참여자 사회복지정책의제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참여자로는 이슈제기자, 이해관계자, 정책가, 클라이언트, 사회복지전문가, 일반국민 등이 있다. 이들은 각자의 역할과 관점에 따라 사회복지정책의제형성에 영향을 미친다...2025.01.11
-
코브와 로스(Cobb & Ross)의 정책 의제화 모형(아젠다, 모델)2025.01.121. 외부주도형 정부 밖의 민간집단으로부터 문제가 제기되어 확산됨으로써 공중의제가 된 후 최종적으로 공식의제로 채택되는 정책모형으로, 이익집단들이 관여하여 주도적으로 정부의제로 채택되도록 강요한다. 외부주도형은 정부가 외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치체제, 즉 다원화되고 민주화된 선진국 정치체제에서 많이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민간 부문이 정부 부문보다 우수한 인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을 때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2. 동원형 정부가 먼저 내부적으로 공식의제로 채택해놓고, 정당성 확보와 정책에 대한 순응을 위해 외형적으로 의제화 ...2025.01.12
-
외부주도모형, 동원모형, 내부접근모형2025.01.141. 외부주도모형 외부주도모형은 사회 내 대립하는 집단 사이의 갈등으로 이슈가 발생하고, 이 이슈가 널리 공중에 확장되어 체제의제로 등장하면 정책결정자의 관심을 끌게 되어 제도의제에 도달하게 된다. 이슈가 발생하여 공중으로 확장되는 확장경로와 체제의제에서 제도의제로 전환되는 진입경로에는 이슈경로를 촉진시키거나 방해하는 요인들이 많이 나타난다. 2. 동원모형 동원모형은 정책결정자가 정책과 프로그램에 내포되어 있는 이슈를 정부의제에서 공중의제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이슈는 정책결정자나 그의 측근에 의해 정부의제에 ...2025.01.14
-
사회복지정책 의제형성(아젠다) 모형2025.01.111. Eyestone의 모형 Eyestone(1978)은 의제형성모형을 여러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는 사회문제의 태동, 사회문제의 인지, 타 집단의 관여, 사회쟁점의 표출, 공중의제의 형성, 쟁점창도자의 활동, 공식의제의 형성, 정책결정, 그리고 정책집행 순으로 분류된다. 사회문제가 집단에 의하여 인지되고 다른 견해를 가진 집단이 관여하면 사회문제가 사회적 쟁점(이슈)으로 성립하고 더 많은 집단들이 계속 관여함으로써 공공의제의 이슈가 되고 이슈제기자(쟁점창도자)의 활동을 통해 공식의제로 발전한다고 본다. 2. Jones의 모...2025.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