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3개
-
A+ 최신 보건의료기술 사례보고서_(이송로봇, 심장삽입전기장치 원격모니터링)_2개2025.01.151. 이송 로봇 이송 로봇은 약제, 검체, 병동 간 물건을 이송하는 기술로, 간호사와 보조 인력의 불필요한 이동 시간을 줄여 환자 돌봄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장점으로는 정확성과 일관성, 약제/물품 분실 위험 최소화 등이 있지만, 장애물 이동 불가, 응급 상황 발생 시 장애물 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향후 개선 방향으로는 병원 바닥의 턱 제거, 로봇 정지 위치 지정, 휠체어 이동 반경 고려, 로봇 전용 공간 확보, 소음 조절 등이 제시되었습니다. 2. 심장삽입전기장치(CIED)의 원격 모니터링 심장삽입전기장치(CIED)...2025.01.15
-
심부전과 관련된 심장수술2025.01.111. 심부전과 관련된 심장 수술 심부전의 원인이 심장의 구조적인 문제, 즉 심장판막 질환 혹은 관상동맥이 막힌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심장판막 수술, 관상동맥 우회로술, 관상동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심장박동 조율기 삽입술, 삽입형 제세동기 삽입술, 심실보조장치 삽입술, 심장 이식술 등이 있다. 2. 심부전의 해부생리 심장의 펌프기능은 전부하(용적부하), 후부하(압력부하), 심박수, 심근수축력 등 4가지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심박출량을 유지한다. 심부전이 발생되면 확장기말 용적이 늘어나도 심박출량은 증가되...2025.01.11
-
심혈관계(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진단 및 치료2025.05.081. 심장의 구조 및 기능과 역할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250-300g의 무게와 12cm 크기를 가지고 있다. 심장의 주요 기능은 노폐물 제거와 산소 및 영양분 공급으로, 분당 70-100회 박동하며 하루 10만 번 박동한다. 심장은 우심방, 좌심방, 우심실, 좌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월판, 방실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벽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을 둘러싼 혈관에는 동맥, 정맥, 모세혈관이 있으며, 관상동맥이 심장 조직에 혈액을 공급한다. 심장의 전기전달체계는 동방결절, 방실결...2025.05.08
-
부정맥의 치료2025.04.281. 미주신경자극 방법 미주신경자극 방법에는 목동맥 마사지와 발살바(Valsalva) 수기가 있다. 목동맥 마사지는 심장 전도계, 특히 굴심방결절과 방실결절의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심장 리듬의 변화를 유도한다. 발살바 수기는 배변할 때처럼 복부에 힘을 주어 미주신경을 자극한다. 이 두 방법의 효과는 일시적이다. 2. 인공 심장박동조율기 인공 심장박동조율기는 인공적으로 심박동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기구로, 파발생기와 유도전극으로 구성된다. 일시적 인공 심장박동조율기와 영구적 인공 심장박동조율기(경정맥형, 경흉부형)로 나뉜다. ...2025.04.28
-
[성인간호학] ARF, 급성호흡부전 Case study (비효과적 호흡양상)2025.04.271. 급성 호흡부전 급성 호흡부전은 호흡기가 신진대사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지 못하거나 CO₂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저산소혈증 호흡부전, 환기 부전 또는 과이산화탄소혈증 호흡부전으로 나뉘며, 폐부종, 익수, 성인호흡곤란증후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치료를 위해 저산소증 교정, 전부하 및 후부하 감소, 관류 보조 등의 내과적 관리가 필요하다. 2. 폐부종 폐부종은 폐포를 둘러싼 간질 강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폐포낭에 체액이 쌓이는 것을 말한다. 심인성과 비심인성으로 구분되며, 심...2025.04.27
-
순환기계 특수 검사 (성인 간호학)2025.04.281. 심전도 (Electrocardiogram; ECG, EKG) 심전도는 심박동의 주기 중에 일어나는 심장 근육의 전기적 활동상태를 그래프상에 나타낸 것이다. 심박동 1주기가 지나는 동안에 P파, QRS군 및 T파가 기본파형으로 나타나며, 유도는 심장을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한다. 표준사지 유도, 증폭사지유도, 흉부 유도 등 12 유도가 있다. 2. 초음파 검사 경흉 심장 초음파 검사(TTE)는 환자 흉부에 장치된 변환기로 초음파를 흉부 안으로 침투시켜 심장 구조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의 반사파를 기록하는 것이다. 식도 심장 초음파...2025.04.28
-
전문심장소생술(ACLS)2025.01.131. 전문심장소생술(ACLS) 전문심장소생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은 심정지 환자의 심박동을 회복시킨 후 혈압을 유지하고 뇌 소생을 위한 치료를 하며 심정지의 원인을 규명하고 심정지의 재발을 방지하는 소생술입니다. 기본심폐소생술에 심전도 감시 및 분석 결과에 따른 전기적 제세동, 약물 투여, 기관내 삽관 등 전문기도유지술에 의한 기도확보, 산소투여, 양압 인공호흡을 포함한 호흡 보조 및 호흡 상태의 평가, 심정지의 원인의 규명 등이 포함됩니다. 첫 번째 목표는 순환회복이며 최종...2025.01.13
-
CTD 환자 간호2025.05.051. 흉관 관리 흉관배액은 대기 압력을 밀봉시키는 배액장치를 이용하여 액체나 공기가 흉막강 내에 축적되어 음압이 아닌 양압이 된 폐에 허탈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막아 흉막강 내에 존재하는 공기, 혈액 염증성 삼출물을 제거하여 폐가 재팽창 할 수 있도록 흉강내 압력을 정상화 시키는 것이다. 흉관배액의 목적은 흉막강 내 채액, 혈액 또는 공기 제거, 심장 수술 후 심장 주위로부터 수액 또는 혈액 제거, 폐의 완전한 팽창, 악성 삼출물 제거 후 항암치료제 주입 등이다. 흉관배액의 적응증에는 기흉, 늑막 삼출, 혈흉, 개흉술 후, 개심술 ...2025.05.05
-
응급실 주요 장비 및 기구 보고서2025.01.091. Airway 기도유지기 구강인두관, 비강인두관, 기관내관, 기관절개관 등 4가지 유형의 인공기도가 있으며, 의식이 없거나 자발호흡이 없는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구강인두관은 구강부터 인두 후방까지 위치시키고, 비강인두관은 비공에서 귓불까지의 길이로 삽입합니다. 기관내관은 구강(또는 비강)에서 기관분기부 3cm 위까지 삽입하며, 기관절개관은 후두 바로 밑 기관을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삽입합니다. 2. Ambu bag (소생백) 호흡이 없거나 불충분한 사람, 스스로 호흡하기 어려운 사람에게 약 10L의 고농도 산...2025.01.09
-
순환기내과 중환자2025.05.041. 심장수술 관상동맥 우회술(CABG)은 관상동맥이 막힌 경우 혈관부위를 우회하여 혈관을 이식함으로써 혈액을 공급하는 수술적 방법이다. 수술 후 간호에는 기도개방성, 폐 상태, 활력징후, I/O 모니터링 등이 포함된다. 합병증으로는 혈역동학적 불안정성, 급성신부전, 호흡기계 감염 등이 있다. 2. 심장의 감염 심내막염은 심장 가장 안쪽 막의 염증으로 세균성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미열, 오한, 피로, 호흡곤란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심초음파, ECG, 혈액검사 등이 필요하다. 치료는 항생제 요법과 함께 심장 기능 지지...2025.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