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TD 환자 간호
본 내용은
"
CTD 환자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4.07
문서 내 토픽
-
1. 흉관 관리흉관배액은 대기 압력을 밀봉시키는 배액장치를 이용하여 액체나 공기가 흉막강 내에 축적되어 음압이 아닌 양압이 된 폐에 허탈이 일어나게 되는 것을 막아 흉막강 내에 존재하는 공기, 혈액 염증성 삼출물을 제거하여 폐가 재팽창 할 수 있도록 흉강내 압력을 정상화 시키는 것이다. 흉관배액의 목적은 흉막강 내 채액, 혈액 또는 공기 제거, 심장 수술 후 심장 주위로부터 수액 또는 혈액 제거, 폐의 완전한 팽창, 악성 삼출물 제거 후 항암치료제 주입 등이다. 흉관배액의 적응증에는 기흉, 늑막 삼출, 혈흉, 개흉술 후, 개심술 후, 흉복부의 관통상, 기흉의 증거가 없는 늑골 골절, 기도 삽관 후 양압 호흡이 필요할 때 등이 있다.
-
2. 배액기구의 종류배액기구에는 natural drainage(자연 배액), wall suction(흡인 배액)이 있다. A-type bottle은 배액만을 목적으로 하는 1병 시스템으로, 공기는 관 끝의 물기둥 압력(2cmH20)을 넘으면 공기방울을 형성하며 밖으로 빠져나간다. C-type bottle은 2병 시스템으로 체액을 수집하는 동시에 air를 따로 배출한다. A+C type bottle은 3병 시스템으로 배액과 water seal, suction을 따로 분리시켜 배액과 폐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
3. 배액기구의 원리A-type bottle의 경우 배액만 목적으로 하며, 공기는 관 끝의 물기둥 압력(2cmH20)을 넘으면 공기방울을 형성하며 밖으로 빠져나간다. 조수 현상(Tidaling)은 들숨 시 물의 높이가 올라가고 날숨 시 원래 높이로 돌아오는 현상이다. water seal bottle은 한쪽 관이 물에 2cm 정도 잠겨 있어 외부와 차단되어 있는 상태로, 흉막강 내부 공기가 적어도 2cmH20의 정수압을 이겨낼 수 있다면 거품을 형성하면서 배액이 된다.
-
4. 합병증흉관 삽입 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는 잘못된 위치 삽입, 폐/가로막/주요혈관/신경 손상, 출혈, 피하기종 등이 있다. 피하기종은 삽입부위 근처로 기흉이나 폐기종 환자에게 자주 관찰되며, 피부 및 조직에 작고 많은 수의 에어셀이 만져진다. 농흉, 폐부종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5. CTD 환자 간호CTD 환자 간호에는 삽입 전 간호와 삽입 후 간호가 있다. 삽입 전에는 동의서 확인, 자세 조정, lung expansion 필요성 확인, 활력징후 모니터링 등을 한다. 삽입 후에는 흉부 X-ray 확인, 배액량/양상/출혈/air leak 관찰, 삽입부위 상태/드레싱 확인, 통증 사정, suction pressure 확인, 배액병 상태 확인 등을 한다.
-
6. 흉관 삽입 준비물품흉관 삽입 시 준비하는 물품에는 incision set, chest tube, chest bottle (A-type or C type), CTD 걸대, syringe#2, mess#1, gauze, 26G needle, 18G needle or angio catheter 등이 있다. 또한 환자 침상에는 wall suction, suction line 등을 준비한다.
-
7. 흉관 제거 시기 및 관리흉관 제거 시기는 공기 유출이 없고 배액량이 100ml 미만, 흉부 X-ray상 폐가 완전히 확장되고 혈액을 포함한 흉막 삼출액이 남아있지 않은 경우이다. 제거 후에는 흉부 X-ray로 기흉 유무를 확인하고, 제거 부위의 적절한 드레싱과 oozing 여부를 확인한다.
-
1. 흉관 관리흉관 관리는 중환자 간호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흉관은 폐 또는 흉강 내 공기나 액체를 배출하여 호흡 기능을 회복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흉관 삽입 및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흉관 삽입 부위의 감염 예방, 흉관의 폐쇄 및 누출 예방, 배액량 및 배액액 관찰, 흉관 고정 및 이동 제한 등 다양한 간호 활동이 요구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 변화에 따른 신속한 대응과 함께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교육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배액기구의 종류배액기구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액기구로는 수동식 배액기, 자동식 배액기, 흡인식 배액기 등이 있습니다. 수동식 배액기는 간단하고 저렴하지만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고 배액량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자동식 배액기는 배액량 조절이 용이하지만 전기 공급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흡인식 배액기는 흡인력이 강해 배액이 잘 되지만 고가이며 전기 공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치료 목적, 의료기관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배액기구를 선택해야 합니다.
-
3. 배액기구의 원리배액기구의 원리는 흉강 내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기나 액체를 배출하는 것입니다. 흉강 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으면 배액기구를 통해 공기나 액체가 배출됩니다. 수동식 배액기는 환자의 호흡 운동에 따라 압력 차이가 발생하여 배액이 이루어지며, 자동식 배액기와 흡인식 배액기는 전기 모터나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지속적인 흡인력을 제공합니다. 배액기구의 올바른 사용을 위해서는 압력 조절, 배액량 모니터링, 배액관 관리 등 다양한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4. 합병증흉관 삽입 및 관리와 관련된 합병증에는 출혈, 감염, 폐 손상, 공기 누출, 배액관 폐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환자의 상태를 악화시키고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예방과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삽입 부위 관찰, 배액량 및 배액액 모니터링, 배액관 관리 등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합병증 징후 및 대처 방법에 대해 교육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CTD 환자 간호CTD(Connective Tissue Disease) 환자는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다양한 장기에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TD 환자 간호에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됩니다. 간호사는 CTD 환자의 병태생리, 증상, 치료 및 관리 방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 변화에 대한 신속한 사정과 대응, 합병증 예방, 증상 관리, 투약 관리, 영양 관리, 심리사회적 지지 등 다양한 간호 중재를 제공해야 합니다. 특히 CTD 환자는 면역 기능 저하로 감염 위험이 높으므로 감염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CTD 환자의 건강 관리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 흉관 삽입 준비물품흉관 삽입을 위해서는 다양한 물품이 준비되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멸균 가운, 장갑, 마스크, 드레싱 세트, 소독제, 국소 마취제, 흉관 세트, 배액기구 등이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환자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물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출혈 위험이 높은 경우 지혈제, 혈관 확보를 위한 정맥 주사 물품 등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또한 흉관 삽입 후 배액관 고정, 드레싱 등을 위한 부자재도 준비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물품들은 무균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위해 체계적으로 준비되어야 합니다.
-
7. 흉관 제거 시기 및 관리흉관 제거 시기와 관리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배액량이 감소하고 흉강 내 압력이 안정화되면 흉관 제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제거 전에는 흉강 내 공기나 액체의 유무, 배액량, 배액액의 성상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제거 시에는 무균적 술기를 사용하고 제거 부위를 소독하며, 제거 후에는 드레싱을 하고 환자의 호흡 상태와 배액 유무를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제거 과정과 주의사항을 교육하여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흉관 제거 후 합병증을 예방하고 환자의 안전과 회복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흉관삽입술, 흉관 배액, CTD1. Chest tube 삽입 간호 Chest tube는 흉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 또는 체액을 제거하고 폐가 재팽창 될 수 있도록 흉강 내 압력을 정상화시키기 위한 카테터입니다. Chest tube 삽입 간호 순서에는 동의서 확인, 환자 확인, 목적과 방법 설명, 손위생, 필요 물품 준비 등이 포함됩니다. 기흉에서는 앙와위, 반좌위에서 삽입하며...2025.01.14 · 의학/약학
-
신규간호사를 위한 투약간호, 안전간호, 영양간호, 배액 및 배설간호1. 투약간호 투약간호에는 약물의 형태(경구, 정맥, 근육, 피내, 피하, 국소 투여 등)와 약물의 작용기전(흡수, 분포, 대사, 배설)이 포함됩니다. 투약 시 5가지 원칙(정확한 대상자, 약명, 용량, 시간, 투여경로)을 지켜야 하며, 경구 및 비경구 투여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제공됩니다. 2. 안전간호 안전간호에는 환자 확인, 낙상 예방, 욕창 예...2025.01.05 · 의학/약학
-
배액 간호 (chest tube, L-tube, Hemobac & JP bag, Rectal tube)1. 배액 배액은 간호 분야, 특히 상처 관리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배액의 목적은 감염을 예방하고 치유를 촉진하기 위해 몸에서 과도한 수분이나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특히 감염이나 기타 합병증의 위험이 높은 경우, 배액은 수술 후 관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2. 배액 방법 간호에서 체액을 배출하는 것은 신체의 다른 부분에 축적된 체액을 제거하...2025.04.30 · 의학/약학
-
[성인간호학] 골절 사례 연구 보고서 Case 케이스1. 골절 골절(fracture)은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를 말한다. 골절의 증상과 징후로는 변형, 부종, 점상 출혈, 근육경련, 압통, 통증, 감각 변화, 염발음, 쇼크 등이 있다. 골절의 치료는 정복, 고정, 재활로 이루어지며 정복은 도수정복, 견인장치, 개방정복 등의 방법으로 시행하고 고정은 외부고정과 내부고정으로 나뉜다....2025.05.01 · 의학/약학
-
A+ 간호과정 SOAPIE 차팅 사례집 간호진단 8개 (실습_과제 필수 자료)1. 우발적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적 손상의 위험 83세 여성 환자는 경도인지장애가 있으며, 최근 1주일 사이 낙상이 1회 발생했고 반복적으로 침상 난간을 넘어 이동하려는 시도가 관찰되었다. 환자에게 다양한 치료 기기(유치도뇨관, CTD, Rt. 24G, nasal prong)가 부착되어 있어 우발적 움직임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침상 ...2025.01.29 · 의학/약학
-
CTD삽입 관련 간호과정 6개(비효과적 호흡양상, 가스교환장애, 급성통증 등) 5페이지
목적(장기목표)대상자는 입원 기간 동안 편안한 호흡을 유지한다.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간호지시과학적 근거●단기목표:1. 대상자는 4시간 이내 분당 18~22회의 규칙적인 호흡을 한다.2. 대상자는 1일 이내 SpO2 수치가 95% 이상 측정됨을 확인한다.3. 대상자는 1일 이내 숨가쁨이 호전되었다고 말한다.4. 대상자는 효율적인 호흡 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인다.1-1 대상자의 활력 징후를 4시간에 한 번씩 측정한다.1-2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호흡 양상을 사정한다.2-1 대상자의 SpO2 수치를 지속적으로 사정한다.2-2 처방...2023.09.26· 5페이지 -
흉관관리 및 간호 29페이지
흉관 관리 및 간호CONTENTS1. 목적 및 적응증2. CTD 준비 및 시술3. CTD bottle system Wall suction4. 관리 및 주의 사항흉관 배액관 목적CTD : Closed thoracostomy drainage.흉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는 공기,체액,혈액,염증성 삼출물 제거 폐의 완전한 팽창 흉강 내의 압력을 정상화하도록 하기 위함.적응증기흉 (Pneumothorax) 혈흉 (Hemothorax) 흉막 삼출증 (Pleural effusion) 농흉 (Empyema) 흉곽 수술 후 (폐의 팽창 및 출혈 ...2020.07.29· 29페이지 -
폐쇄식흉관삽관술 관리 및 간호 9페이지
CTD (Chest tube drainage )흉막 강 내의 비정상적인 공기, 흉수를 제거해 흉막 강 내의 음압을 유지하여 폐의 손상이나 호흡곤란을 완화시키기 위해 적용합니다.목적① 기흉 (Pneumothorax)Accumulation of air or gas in ter pleural space외부의 공기가 흉막강 내로 들어오거나, 폐측 흉막이 손상을 입어 폐포 속 공기가 흉막강내로 누출되면 폐가 찌그러져 흉곽이 팽창 또는 수축하더라도 호흡운동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해 호흡곤란을 발생폐질환 환자, 폐암, 건장한 (키크고 마른)성인 ...2021.09.02· 9페이지 -
흉부외과 CTD, ATMOS 설치 방법 및 간호 6페이지
REPORT-CTD-1. 시행 목적- 비정상적인 흉막강 내에 존재하는 공기, 혈액, 염증성 삼출물 제거를 위해- 흉부외상으로 인한 기흉으로 폐허탈 시 이를 재팽창시키기 위해- 중증이 pleural effustion 이 차있어 배액하거나 수술 후 lung space내의 삼출물 배액위해2. 준비물품- Thoracostomy set, 2*2 Y gauze*5, 4*4 gauze*5, 10cc syringe*1, 베타딘 볼- blade 11번, nylon 1번, fixing roll, 멸균glove 8호, 6.5호 준비 24Fr Troca...2022.11.15· 6페이지 -
교수님께 칭찬받은 기흉Pneumothorax 질병보고서 A+(흉관CTD간호+수술전후간호까지 포함,풍부한 사진자료)(흉부외과 RN쌤, 교수님께 피드백받았어요. ) 10페이지
Contents1. 기흉 [pneumothorax]이란?2. 호흡기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3. pneumothorax의 개념4. pneumothorax의 증상5. 진단6. 치료7. 수술 전·후 간호8. CTD 전*후 간호9. 참고문헌1. 기흉 [pneumothorax]기흉이란 한자어로 ‘공기’라는 의미의 ‘기’(氣)와 ‘가슴’이라는 의미의 ‘흉’(胸)자가 합쳐진 말로서 폐를 둘러싸고 있는 흉막강 내에 여러 원인으로 인해 공기가 차게 되어 호흡곤란(dyspnea)이나 흉부 통증(chest pain)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2020.12.21· 1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