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5개
-
호르몬과 성행동 간의 관계 이해2025.01.201. 호르몬 호르몬은 혈액 안으로 분비되어 특정 표적기관 수용체에 결합해 반응하는 물질로 정상적인 대사 과정 속도를 증가 혹은 감소하는 데에 작용해 신체 항상성을 유지하게 된다. 내분비기관은 신체 전신에 있고 이를 조절하는 중추는 뇌하수체에 있다. 호르몬은 대부분 화학적으로 아미노산 성분 혹은 스테로이드 성분, 프로스타글란딘으로 이루어져 있다. 호르몬은 몸 안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로 주변 혈액, 간질액으로 분비되어 호르몬에 따라 특정하게 작용하는 표적기관에서 인체 변화를 조절해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주요 조절작용은 생식, 성장 발달,...2025.01.20
-
성 행동과 관련성이 높은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옥시토신에 대한 설명 및 성범죄자에 대한 화학적 거세에 대한 견해2025.01.181. 호르몬 및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이해 호르몬은 우리 몸의 내분비 기관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화학물질을 가리키며, 신경전달물질이 관여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호르몬은 혈관을 통해 분비되어 세포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며 다양한 신경활동을 자극합니다. 대표적인 호르몬으로는 안드로겐, 옥시토신, 코르티솔, 테스토스테론 등이 있습니다.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신호전달물질로, 신경과 신경 사이의 시냅스를 통해 전달되며 전달 속도가 빠릅니다. 2. 테스토스테론과 옥시토신 테스토스테론은 대표적인 남성호르몬으로, 과다 ...2025.01.18
-
DSM-5정리(DSM-IV와 달라진 내용 위주)2025.01.141. 강박 및 관련장애 강박장애는 '부적강화'에 의해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이 하루 1시간 이상 지속되며 일상-사회-직업기능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고통을 유발합니다. 신체변형장애는 정상 외모지만 기형적이라고 잘못된 주관적 인식과 집착을 보입니다. 모발뽑기장애와 피부벗기기장애는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독특한 양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저장장애는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고 쓰레기나 저장물건에 애착 및 자기정체성을 투여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2. 급식 및 섭식장애 신경성 폭식증은 정상체중이지만 살찌는 것을 두려...2025.01.14
-
주변에서 관찰했거나 경험했던 사건에 대해 심리학적으로 해석하기2025.01.051. 성폭력 범죄 성폭력 범죄는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극심한 정신적인 외상을 입히고 치유되기 힘든 후유증이 평생 동안 지속될 수 있는 파괴적인 범죄이다. 성폭력 범죄는 전 세계적으로 만연해 있는 사회적 문제로, 미국의 경우 여성의 약 13%가 성폭행을 당한 경험이 있고 국내에서도 여성의 약 10%가 성폭행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가해자에 대해 심리학적으로 해석해 보고자 한다. 2. 성폭력 가해자 평가 성폭력 가해자의 정신의학적 진단, 임상 화학 검사, 충동성 및 분노 평가 등을 통해 그...2025.01.05
-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 간호과정 - 진단 3개2025.01.141. 급성 심근경색증의 정의, 원인과 병태생리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중요한 동맥인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심장 근육이 죽어가는 것을 말한다. '혈전'이라는 '피떡'이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을 갑자기 막아서 심장 근육으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 막이 형성되는데, 이 섬유성 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고, 이곳에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게 되어 발생하...2025.01.14
-
DSM-5 정신장애의 진단 및 분류 요약본2025.05.151. 정신장애의 분류기준 현재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분류기준은 ICD-10과 DSM-IV이다. DSM-IV에서는 다축진단체계를 채택하여 Axis I, Axis II, Axis III, Axis IV, Axis V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2. 정신장애의 유형 정신장애는 정신질환과 정신지체로 구분되며, 정신질환은 주로 정신신경증과 정신병으로 나뉜다. 정신병에는 기질성 정신장애, 정신분열증, 정동장애, 편집장애 등이 포함된다. 신경증적 장애에는 불안장애, 신체형 장애, 해리성 장애 등이 있다. 3. 정신분열장애 정신분열장애...2025.05.15
-
STEMI 문헌고찰 케이스(진단5개, 간호과정2개)2025.05.081. STEMI(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는 고혈압, 흡연, 고지혈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관상동맥의 내피세포가 손상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혈전이 발생하여 관상동맥 혈류 부족으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 급작스러운 심근조직의 괴사가 일어나는 응급질환이다. 신속한 재관류 치료가 목표이다. 2. STEMI 증상 STEMI의 주요 증상은 10분 이상 지속되는 가슴통증, EKG상 새로운 Q wave와 ST분절 변화, 심근효소(CK, GOT, LDH)의 일과성 상승이다. 이 중 2가지 이상이...2025.05.08
-
응급실 의학용어 및 약어2025.01.291. 응급문제와 관련된 용어 응급실에서 자주 사용되는 의학용어와 약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급성췌장염, 알코올 금단증상, 협심증, 대동맥류, 충수염, 일시적 의식소실, 화상, 심정지, 심장압전, 담석증, 혼수, 뇌진탕, 경련, 설사, 당뇨성 저혈당증, 당뇨성 케톤산증, 호흡곤란, 체인-스토크스 호흡, 부정맥, 자궁외 임신, 경막외 혈종, 식도정맥류 출혈, 열성 경련, 골절, 토혈, 혈뇨, 객혈, 출혈, 혈흉, 고체온증, 저체온증, 열상, 다발성 외상, 복막염, 태반조기박리, 기흉, 폐색전증, 신부전, 저혈량성 쇽, 패혈성 쇽, 뇌졸...2025.01.29
-
심폐소생술2025.01.091. 심폐소생술의 정의 심폐소생술이란 심장과 폐의 활동이 갑자기 멈추었을 때 실시하는 응급조치로서 심장마비가 발생하였을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이다. 이러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는 목적은 심정지 환자의 멈추어진 심장의 자발순환을 회복시켜 환자의 사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의 유형 심폐소생술에는 기본 소생술(BLS: Basic life support)과 전문 심장 소생술(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이 있다. 기본 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발견한 사람이 현장에서 ...2025.01.09
-
A++++MI 심근경색 케이스스터디 5개 간호과정 2개2025.01.101. 급성 심근경색의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협심증과 달리 심장근육을 먹여 살리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어 가는 질환입니다. 발생 직후 병원에 도착하기 이전에 환자의 1/3은 사망하게 되며, 병원에 도착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2. 급성 심근경색의 원인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게 되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막(fibrous cap)이 생기게 됩니다. 어떤 이유로든 이러한 섬유성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게 되...2025.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