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0개
-
분극시험 - 분극곡선2025.01.131. 분극(electrochemical polarization) 분극은 금속 표면과 용액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위해 필요한 분극이다. 전기화학적 양극분극이 많이 이루어지면 부식이 많이 일어나고, 전기화학적 음극분극이 잘 이루어지면 부식이 전혀 생기지 않는다. 분극에는 활성화 분극, 농도분극 등이 있으며, 분극의 정도를 '과전압'이라고 한다. 2. 부식전위 부식전위는 금속이 용액 중에서 자발적으로 갖게 되는 전위로, 금속의 부식 경향을 나타낸다. 부식전위가 높을수록 귀금속에 속하고, 낮을수록 활성금속에 속한다. 부식전위가 높을수록 부...2025.01.13
-
분극실험을 통한 분극곡선 측정2025.01.131. 전기화학적 분극실험 전기화학적 분극실험을 통해 평형전극전위로부터 전위 Shift가 일어나는 분극현상과 부식전위의 개념을 이해하고, 분극곡선을 통해 부식반응을 분석할 수 있다. 분극곡선에서 부식전위와 교환전류밀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Faraday 법칙을 이용하여 부식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2. 정전위법과 동전위법 정전위법은 일정 시간 전위를 유지하며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동전위법은 일정 스캔속도로 전위를 변화시키며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빠른 시간 내에 분극곡선을 얻을 수 있다. 동전위법을 통해 ...2025.01.13
-
[A+]수소연료전지(PEMFC) 평가 결과레포트2025.05.041. PEMFC 평가 이번 실험은 PEMFC Cell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Cell을 조립하여 측정 장비를 통해 성능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 값을 통해 Cell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PEMFC의 성능 측정을 통한 데이터 값을 통해 분극 곡선을 그려보고, 분극 곡선을 통한 전기화학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2. 분극 곡선 분석 PEMFC의 성능 측정을 통한 데이터 분석값들을 통해 분극 곡선을 그려보면 크게 3가지 구간에서 전압손실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는 Activ...2025.05.04
-
ITO 및 FTO 히스테리시스 레포트2025.05.081. 자화(magnetization) 물체가 자성을 지니는 현상으로 자기장 안의 물체가 자화되는 양상에 따라 강자성체, 상자성체, 반자성체로 나뉜다. 그 세기는 물체의 단위부피에 대한 자기모멘트로 측정한다. 자화율은 물질이 자화되는 세기와 외부 자기장의 자화력의 비율로 상자성체나 반자성체는 물질의 고유상수이나, 강자성체는 자화과정과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자화율이 변한다. 2. 분극 분극은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유전체에 전계를 가하면 원자를 구성하는 음 양의 전하 또는 이온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위하여 쌍극자 모멘트를 일...2025.05.08
-
[A+]수소연료전지(PEMFC) 평가 예비레포트2025.05.041. 연료전지의 정의와 기본원리, 구조 연료전지란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서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전기화학적 에너지 컨버터이다. 연료전지의 기본원리는 전기를 이용하여 물을 H2와 O2로 분해하는 것을 역이용하는 방식으로, H2와 O2의 반응을 통해 물이 생성됨과 동시에 전기를 만들어내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연료전지의 구조는 크게 Anode와 Cathode 그리고 전해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사이사이에는 Current collector, Gasket, Polar plate, 촉매층과 GDL, MEA ...2025.05.04
-
[A+] 전기화학 셀 충방전 평가 및 CV 평가, 전지 구동 시 양극 구조 변화분석 결과보고서2025.01.241. 전기화학 셀 충방전 및 CV 평가 실험 1에서는 조립한 셀을 충방전기에 걸어 총 100번의 충전 및 방전 cycle을 진행하였고, cycle 수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용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구하였습니다. 7회 cycle까지는 전지의 용량이 증가하다가 7회 이후로는 cycle이 진행될수록 충전과 방전 곡선 모두 활물질 1g당 저장 할 수 있는 전자의 양 또는 받아들일 수 있는 작동 이온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쿨롱효율은 약 23회까지는 100%가 넘는 값을 가진 채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는 약 100%을 유지하였습니...2025.01.24
-
[A+]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작 결과레포트2025.05.041.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작 이번 실험은 리튬이온전지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직접 cell을 만들어본 다음, 측정 결과값들을 그래프를 통해 분석해 보는 것이 주된 실험 목적이다. 실험과정을 통해 전극 제작, coin cell 조립 등의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고, CV 곡선, 충방전 그래프, 사이클 성능 등을 분석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작동 원리와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2. 리튬이온 배터리의 필요성 리튬이온 배터리는 가볍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재충전하여 수천 번 재사용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제품의 소형화에 필수적이며, 전기자...2025.05.04
-
소재물성실험 시험 요약본2025.04.301. 3DP의 정의와 기술 3DP(3D 프린팅)은 설계 데이터에 따라 고체, 액체 형태의 폴리머(수지), 금속 등의 재료를 가공하여 적층 방식(Layer-by-layer)으로 쌓아올려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입니다. 3DP의 주요 기술에는 Material Extrusion, Material Jetting, Binder Jetting, Sheet Lamination, Vat Photopolymerization, Powder Bed Fusion, Directed Energy Deposition 등이 있습니다. 금속을 재료로 사용하는 3DP...2025.04.30
-
금속 분극 A+ 예비레포트2025.01.041. 전기화학적 부식 금속의 부식 반응은 일종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비의도적이고 파괴적인 반응이다. 이는 전자 e를 방출하는 산화 반응(또는 양극 반응)과 이 전자를 받아들이는 환원 반응(또는 음극 반응)이 짝지어질 때 일어난다. 보통 금속의 표면에서 일어나고,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자리를 양극(anode),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자리를 음극(cathode)이라 한다. 금속이 균일하게 부식될 때 금속 표면에는 수많은 양극과 음극이 분산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양극과 음극의 위치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수시로 변한다. 1. 전기화학적...2025.01.04
-
Emergency cart 약물, 응급약물 종류, 작용기전, 용법용량, 주의사항2025.05.101. 에피네프린(Epinephrine) 에피네프린은 부신호르몬제로 α와 β adrenergic receptor를 자극하여 심박동수와 심근수축력을 강화하고 혈관을 수축시킨다. 심정지 환자의 심근 수축력을 강화하고 천식 환자의 기관지를 확장시키는 등 다양한 적응증을 가지고 있다. 심폐소생술 시 3-5분 간격으로 1mg씩 투여하며, 아나필락시스 쇼크 시에는 0.3-0.5mg을 근주한다. 2. 노르에피네프린(Norpin) 노르에피네프린은 α와 β1 adrenergic receptor를 자극하여 혈관수축과 강심작용을 나타낸다. 에피네프린과 ...2025.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