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전기화학 셀 충방전 평가 및 CV 평가, 전지 구동 시 양극 구조 변화분석 결과보고서
문서 내 토픽
  • 1. 전기화학 셀 충방전 및 CV 평가
    실험 1에서는 조립한 셀을 충방전기에 걸어 총 100번의 충전 및 방전 cycle을 진행하였고, cycle 수에 따라 충전 및 방전 용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구하였습니다. 7회 cycle까지는 전지의 용량이 증가하다가 7회 이후로는 cycle이 진행될수록 충전과 방전 곡선 모두 활물질 1g당 저장 할 수 있는 전자의 양 또는 받아들일 수 있는 작동 이온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쿨롱효율은 약 23회까지는 100%가 넘는 값을 가진 채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는 약 100%을 유지하였습니다.
  • 2. 전지 구동 시 양극 구조 변화 분석
    실험 2에서는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이온이 전착 및 탈착되며 과전압이 발생하는데, 방전 초기에는 짧은 시간 동안 IR drop 현상이 진행되고 그 후 전압의 변화가 느려지며 전극 내부에서 작동이온의 확산이 일어납니다(오믹 분극). 마지막으로 방전 말단에서는 전압이 빠르게 감소하는 농도 분극 현상이 관찰되는데 이는 작동 이온의 움직임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기화학 셀 충방전 및 CV 평가
    전기화학 셀의 충방전 및 CV(Cyclic Voltammetry) 평가는 전지 및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에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충방전 특성 분석을 통해 전지의 용량, 효율, 수명 등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으며, CV 분석을 통해 전극 물질의 산화/환원 반응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 기술은 새로운 전지 소재 및 구조 개발에 필수적이며, 전지 성능 향상을 위한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화학 셀 충방전 및 CV 평가 기술의 발전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전지 구동 시 양극 구조 변화 분석
    전지 구동 시 양극 구조 변화 분석은 전지 성능 및 수명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양극 물질의 구조 변화는 전지 용량, 효율, 안전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다양한 분석 기술, 예를 들어 in-situ XRD, TEM, NMR 등을 활용하여 충방전 과정에서의 양극 구조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양극 물질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전지 수명 및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전극 설계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지 구동 시 양극 구조 변화 분석 기술은 차세대 고성능 전지 개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A+] 전기화학 셀 충방전 평가 및 CV 평가, 전지 구동 시 양극 구조 변화분석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1.06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