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6개
-
고긴장성 자궁부전 병태생리&PBL 사례2025.05.131. 고긴장성 자궁기능부전 고긴장성 자궁기능부전은 분만 1기의 잠재기에 발생되어 잠재기 지연까지 나타난다. 자궁저부의 수축보다 자궁체부의 중간부의 수축이 더 강하거나 각 자궁각에서 기인된 전기적 수축 흥분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정상 자궁수축은 자궁저부에서 압력이 가장 강하고 하부로 갈수록 약해진다. 하지만 고긴장성은 자궁수축이 질서가 없이 여기저기에서 강한 수축을 보이며, 개대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강한 수축으로 인해 심한 통증을 유발하고, 이완기가 없어 효과적으로 자궁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자궁경관의 개대...2025.05.13
-
[A+자료] 고위험 분만 유형별 특징 및 간호2025.04.271. 난산 난산은 분만과정이 정상에서 벗어나서 느리고 비정상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시간의 지연, 분만진행의 어려움, 경부 개대 및 태아하강 속도의 이상, 모체나 태아에 여러 가지 장애 원인 등이 특징이다. 주요 원인으로는 자궁기능부전, 부적절한 산부의 힘주기, 협골반, 생식기 기형, 태위/태향 이상, 태아의 크기/발육/수 이상, 분비 부족에 따른 불안, 공포, 과거 경험, 문화, 지지체계 등이 있다. 2. 저긴장성 자궁수축 저긴장성 자궁수축은 정상 수축기압에 미달하여 불충분한 경관 개대와 태아하강 지연이 특징이다. 주요 원인으로는...2025.04.27
-
고위험 분만의 종류와 간호2025.01.021. 난산(Dystocia) 난산의 원인은 분만의 5가지 요소(만출력, 만출물질, 산도, 심리, 자세)의 이상으로 인한 것이다. 만출력 이상에는 자궁기능부전(고긴장성, 저긴장성), 부적절한 수의적 만출력, 병리적 견축륜 등이 있다. 태아 이상에는 선진부 및 태향 이상, 거대아, 태아기형 등이 있다. 산도 이상에는 골반 이상, 연조직 이상이 있다. 산부의 심리 및 자세 이상도 난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조산(Preterm labor) 조산은 임신 20-37주 사이에 분만하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는 모체의 인구학적 요인, 내과...2025.01.02
-
[여성간호학] 고위험 분만 [분만 중 출혈성 건강문제(자궁파열, 자궁내번, 태반유착)] 자료조사, 요약정리, 문헌고찰, 교과서(교재, 필기) 정리 [과제(레포트) 자료조사 시]2025.05.041. 자궁파열 자궁파열은 드물지만 1,500~2,000명당 1명의 비율로 발생하며, 심각한 산과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경산부에게 더 빈번히 발생하며, 이전의 고전적 제왕절개 상흔의 분리, 세로절개, VBAC(제왕절개 후 질분만), 강한 자궁수축제로 인한 과다수축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궁파열은 완전파열과 불완전파열로 구분되며, 태아에게 다양한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자궁이 완전파열되면 산부는 하복부의 갑작스럽고 날카로운 통증을 호소하며, 출혈에 의해 저혈압, 저혈량성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자궁파열의 전조증상은 병리적...2025.05.04
-
모성간호학 분만의요소5p2025.01.161. 산도 산도는 골반과 경관, 골반상, 질 ,질구 등으로 이루어진 연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반의 뼈는 한쌍의 장골, 좌골, 치골로 이루어져있고, 1개의 미골과 천골이 있다. 관절은, 천장관절 2개, 치골결합1개, 천미관절 1개로, 총 4개의 관절이 자리잡고 있다. 골반은 골반 분계선을 중심으로 가골반과 진골반으로 나뉜다. 가골반은 골반분계선 상부이며, 분만과정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지만 내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진골반은 골반분계선 하연에 해당하며, 직접적인 산도가 된다. 2. 태아와 그 부속물 태아 머리는 선진부가 되는 가...2025.01.16
-
아동간호학 급성세기관지염 간호과정2025.04.281. 세기관지염의 정의 세기관지염(bronchiolitis)은 하부호흡기 세기관지의 급성 바이러스 감염 질환이다. 2세 이전의 영아에서 호발하며 생후 6개월에 발병 빈도가 가장 높다. 가을과 봄에 많이 유행하며 RSV가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남아,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영아, 가족구성원이 많은 경우에 더 흔하게 발생한다. 2. 세기관지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대부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가 원인이 되며, 그 외에 adenovirus, parainfluenza virus,...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