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9개
-
한국어교육실습 모의수업 지도안 - 못동사2025.11.131. 못동사의 문법 및 용법 못동사는 동사 앞에 붙어 어떤 행동을 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기타를 못 치다', '축구를 못 해요' 등으로 사용된다. 못동사는 두 가지 의미로 쓰이는데, 첫째는 배우지 않아서 할 수 없는 경우이고, 둘째는 상황이 안 되어 할 수 없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다리를 다쳐서 축구를 못 해요', '비가 와서 달리기를 못 해요' 등이 있다. 과거형으로는 '못했어요' 형태로 사용된다. 2. 취미활동 관련 어휘 및 표현 취미활동은 시간이 있을 때 하는 좋아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주요 어휘로는 '그림을...2025.11.13
-
세종학당 면접용 교안 세종6 2과 -느라고2025.05.141. '-느라고' 표현 이해하기 '-느라고'는 동사에 붙어서 부정적인 결과나 해야 하는 일을 못 했을 때 사용하는 사과 표현입니다. 이 표현은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며, 앞뒤 문장의 주어가 같아야 합니다. 또한 형용사와 함께 사용하기 어려우며, 청유문이나 명령문에도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2. 동사 + '-느라고' 사용하기 동사 + '-느라고'를 사용하여 '원인, 이유'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하느라고 못 쉬었어요', '수업 듣느라고 전화를 못 받았어요' 등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느라고' 표현 이해하기 ...2025.05.14
-
한국어 문법 표현의 예와 교수 방법2025.01.111. -지 말다 '-지 말다'는 어떤 행위의 금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함을 나타낸다. 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서 사용되며, 형용사와는 결합하지 않는다. 높임 표현으로 '-지 마세요, -지 마십시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어 주다'를 붙여 공손한 표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장, 대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을 통해 교수할 수 있다. 2. -지 못하다 '-지 못하다'는 능력이 없거나 어떤 상태에 이르지 못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이...2025.01.11
-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 형태 통사 화용 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2025.01.231. '-지 말다' '-지 말다'는 '동사'에 붙어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하는 표현입니다. 의미 정보로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며, 행위의 금지를 나타냅니다. 형태 정보로는 동사 어간 끝음절의 받침 유무와 상관없이 '-지 말다'로 사용되며, 주로 '-지 마세요' 또는 '-지 마십시오'의 형태로 사용됩니다. 제약 정보로는 형용사와 결합하지 않으며, 주로 명령문과 청유문에만 사용됩니다. 유사 문법 표현으로는 '-지 못하다', '-지 않다'가 있습니다. 교수 방법으로는 학습자와 함께 예문을 만들어 말하기와 쓰기 연습을 하고, 듣기 ...2025.01.23
-
해커스 한국어 교육 실습 모의수업 지도안 'V + 느라고'2025.01.041. '-느라고'의 형태, 의미, 쓰임 '-느라고'는 주로 부정적 결과에 대한 핑계나 이유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느라고' 뒤에는 긍정적인 내용이 오면 어색한 표현이 됩니다. '-느라고'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주어가 같아야 하며, 시간, 힘, 의지가 필요한 동사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명령형, 청유형, 미래형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감사의 표현이나 고생한 노력을 칭찬하는 말에는 관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느라고'와 다른 이유/원인 표현의 차이 'V-는 바람에', 'A/V -(으)ㄴ/는 탓에, N...2025.01.04
-
실용영문법 ) 자신이 좋아하는 팝송을 한 곡 골라서 그 가사를 음미하여 번역하고, 가사에 나오는 문법을 설명해 보십시오.2025.04.251. too ~ to ~ 용법 too ~ to ~ 용법은 너무 ~ 해서 ~ 할 수 없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주로 어떠한 행동에 대해서 그 행동을 이어나갈 수 없는데, 행동을 못하는 것을 강조하면서 원인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는 용법이다. 해당 용법에서는 too 뒤에는 형용사 혹은 부사가, 그리고 to는 to 부정사의 용법으로 뒤에는 동사 원형이 붙어야 한다. 2. be 동사 + p.p (과거분사) 현재 시제에서 과거 분사가 붙으면서 need 필요하다 라는 능동사가 be needed로 필요되어지다, 필요로하다 라는 수동태로 바뀌면서 필...2025.04.25
-
한국어문법총론1 예문 타이핑2025.04.261. 행위주역(Agent) 동사가 행위를 표현할 경우, 그 행위를 지배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아버지가 신문을 읽으신다. 2. 경험주역(Experiencer) 인지(cognition), 지각(perception), 감정(emotion)을 나타내는 용언의 경우, 그 현상의 경험 주체가 되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나는 이곳이 춥다. 3. 동반주역(Companion) 독립적으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다른 의미역, 즉 대개 행위주나 대상을 보조하여 그것과 같은 역할을 하는 주체를 나타내는 논항이 갖는 의미역. [예] 나는 애...2025.04.26
-
문장의 5형식2025.05.081. 1형식 문장 1형식 문장은 주어, 동사만으로 의미가 완전하다. 그 뒤에는 부사(구) 등이 부가적인 뜻을 더하기 위해 자주 온다. 수식어가 길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주요 성분인 주어, 동사와 수식어를 잘 구분해야 한다. 1형식 문장은 목적어가 없으므로 동사는 자동사이며, 주어와 동사만으로 완벽하게 한 문장이 완성되므로 1형식 문장의 동사를 완전자동사라고 한다. 2. 2형식 문장 2형식 문장도 목적어가 없으므로 동사는 자동사이다. 그런데 2형식 문장은 주어와 동사만으로는 완벽한 문장이 되지 않고 보어가 동사 다음에 와서 ...2025.05.08
-
[한국어 모의수업 지도안]원인, 이유를 나타내는 느라[고]표현을 이해할 수 있다.2025.01.241. '-느라(고)' 표현 이해 '-느라(고)'는 원인, 동사 뒤에 붙어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의 원인이 될 때 사용됩니다. 보통 부정적인 결과가 있거나 어떤 일을 하지 못했을 때 사용합니다. '-느라(고)'는 동사에만 붙으며, 특히 시간이 걸리는 동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또한 '-느라(고)'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주어가 같아야 하며, 명령이나 부탁의 말과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느라(고)' 표현 활용 '-느라(고)'를 활용하여 원인이나 이유를 표현하는 연습을 합니다. 동사 카드를 이용한 형태 변형 연습, 대화 완성하...2025.01.24
-
V+자마자 한국어 문법 모의수업2025.11.131. V+자마자 연결어미의 정의 및 용법 V+자마자는 앞의 말이 나타내는 사건이나 상황이 일어나고 곧바로 뒤의 말이 나타내는 사건이나 상황이 일어남을 나타내는 연결어미입니다. 받침의 유무와 관계없이 동사에 '-자마자'를 붙여 사용하며, '곧', '바로'와 같은 단어와 함께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침대에 눕자마자 곧 잠이 들었어요', '합격 소식을 듣자마자 바로 부모님께 전화했어요' 등으로 표현합니다. 2. V+자마자의 문법적 제약 조건 V+자마자로 연결되는 앞의 문장에는 부정 표현이 올 수 없습니다. '안', '못', '지 ...202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