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자크 라캉과 르네 지라르 욕망 이론 비교분석- 사이버리얼리티에 관한 연구2025.04.271.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 라캉은 '인간의 욕망은 타자(他者)의 욕망이다'라는 명제 아래 인간의 자아 주체성과 욕망을 분석했다. 라캉에 따르면 인간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통해 자기 몸의 전체상을 지각하고 자기 자신으로 인식하게 되지만, 이러한 통일성은 자기 바깥의 모습을 통해 얻은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소외적이다. 인간은 상징적 질서에 편입되면서 허용과 금지를 통해 '결여' 혹은 '모자람'을 경험하게 되고, 이를 통해 욕망의 주체가 된다. 라캉은 자아 정체성이 타자에 의해 구성된다고 보았다. 2. 르네 지라르의 욕망이론 ...2025.04.27
-
A+her 비평문2025.05.091. 영화 《그녀》 소개 《그녀》는 2013년 개봉한 미국의 SF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 영화로, 스파이크 존스가 제작과 감독을 맡은 작품이다. 이 영화는 테오도르(호아킨 피닉스)라는 남자가 인공지능 운영체제 사만다(스칼렛 요한슨)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사랑, 외로움, 인간 연결의 본질에 대한 신랄한 탐구로 찬사를 받았다. 2. 테오도르와 사만다의 사랑 테오도르와 사만다의 관계는 정상적인 연애 관계와 다르지만, 그들이 경험하는 사랑, 친밀함, 파트너십의 감정은 많은 사람들과 관련이 있다. 그들의 관계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2025.05.09
-
'오이디푸스 왕'을 통해 바라본 영화'하녀(1960)'의 메커니즘 분석2025.01.161. 라캉의 '욕망 이론' 라캉의 주체이론은 '거울 단계(le stade du miroir)'를 통해 설명된다. 거울 단계란 생후 6~18개월 된 어린아이가 거울로 자신의 이미지를 보면서 그것이 '나'임을 인식하고 자기 신체이미지를 획득해 가는 동일시의 경험을 의미한다. 거울 단계이전의 어린아이는 자신의 신체를 통일된 전체가 아닌 흩어진 어떤 것으로 경험한다. 이른바 산산이 '조각난 신체(le corpsmorcele)'로서 신체를 인식하다가 거울에 비친 신체 이미지와자기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서 '내'가 구조화되는 것이며 거울상에 대한...2025.01.16
-
영화 <욕망의 모호한 대상>과 <그녀>를 통해 살펴본 환멸과 성장 사이의 욕망2025.01.021. 욕망의 모호성 영화 <욕망의 모호한 대상>과 <그녀>에서 주인공들의 욕망은 결코 충족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티유는 콘치타라는 대상에 자신의 나르시시즘적 선호를 투영하고 있으며, 테오도르 또한 캐서린과 사만다에게 자신의 이상적인 모습을 투사하고자 한다. 이처럼 욕망의 대상은 주체 외부에 존재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주체는 결국 소외되고 만다. 또한 욕망의 대상은 언어의 기표와 기의 사이를 오가며 결코 고정된 의미를 갖지 못하는 모호한 존재로 나타난다. 2. 욕망과 성장 그러나 이러한 욕망의 좌절과 공허함 속에서도 주인공들...2025.01.02
-
심리학의 5대 관점과 인간심리 설명2025.05.091. 생물학적 접근 생물학적 접근은 사고, 꿈, 정신 이미지 등이 신경계에서 이루어진다는 관점으로, 특히 뇌에서 정신과 사건 간의 연결 관계를 찾아보고자 한다. 예를 들어 담배 중독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생물학적 요인들을 연구하여 담배 피우는 행동과의 연관관계를 조사한다. 2. 인지적 접근 인지적 접근은 정신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인간의 두뇌가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하며 행동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연구한다. 예를 들어 담배 중독자가 담배의 위험에 대해 크게 평가하지 않거나 정보를 합리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025.05.09
-
뤼스 이리가레 (이리가레이) 반사경 발제2025.05.121. 차이 페미니즘 이리가레는 남성과 여성 간의 차이를 인정하되, 언어학적, 사회구조적, 정신 분석학적 연구를 통해 남성성을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여성성을 새롭게 발견하며, 남성과 여성 간의 주체성을 탐구하는 '차이 페미니즘'을 창시하였다. 2. 여성성의 정의 남성을 전제로 하는 서구 철학과 언어에서 여성을 정의하는 것이 불가하기 때문에, 시적 언어와 단정적이지 않은 언어로 새로운 여성성을 탐구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3. 서구 철학의 비판 이리가레는 서구 철학이 여성의 주체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타자성에 대해 논해야 한다...2025.05.12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평가와 적용2025.05.151. 프로이트의 업적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의 창시자로, 증상을 발산함으로써 치유되는 무의식 상태를 처음 발견했습니다. 그는 히스테리의 원인이 유년기성과 관련된 내재적 외상 경험이며, 인간의 행동과 근본적 욕구인 리비도를 발견했습니다. 프로이트는 인간 내부를 보다 성실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냈고, 내부에 미지의 '자아'의 연이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중요성을 처음 공개했습니다. 2. 정신분석이론의 정의 정신분석 발전에서 히스테리 증상은 심리적이고 무의식적이며, 인간 마음의 무의식적인 측면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꿈의 해석'을...2025.05.15
-
칼 융(C. Jung)의 분석적 심리치료와 인간의 의식 및 무의식 세계2025.01.031. 분석적 심리치료의 원형 분석적 심리치료에서는 인간 정신에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핵인 원형이 중요한 개념이다. 대표적인 원형으로는 페르소나, 아니마/아니무스, 그림자 등이 있다. 페르소나는 사회적 역할과 적응을 위한 외적 인격, 아니마/아니무스는 의식과 무의식을 연결하는 내적 인격, 그림자는 의식되지 않은 자아의 부정적 측면을 의미한다. 2. 나의 성격에 적용한 원형 분석 나의 성격을 분석해보면, 직업인으로서의 페르소나는 소극적이고 내향적인 반면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페르소나는 다정하고 적극적이다. 또한 내 속에 숨겨진 그림자에는 ...2025.01.03
-
피그말리온과 메타버스의 변주2025.01.241. 인간 행위의 주체성 상실 제시문 1번과 3번은 인간의 행위에 대한 구조적인 부분을 지적한다. 이는 인간 행위 이면 존재하는 주체적인 선택과 결정 보다는 그것을 가능케 하는 요소와 동기들에 주목하는 것이다. 특히 경제학자의 논리를 빌려와 말하는 제시문 1번의 경우, 인간의 행위 이면에는 그것을 통제하고 계산하는 경제관념이 숨어있다고 말한다. 사실 이와 같은 내용의 경우 프로이트가 제안하고 후대의 인문철학가들인 라캉과 소쉬르 등이 증명해낸, 인간의 관념과 사유 등은 그 당시에 소비하고 있는 모든 삶의 요소 등에 의해 지배된다는 개...2025.01.24
-
(시창작론) 나희덕의 「새는 날아가고」(교재 p.9), 이수명의 「사과」(교재 p.11), 세잔의 '사과 그림 이야기2025.01.241. 나희덕의 「새는 날아가고」와 이수명의 「사과」에 나타난 사과 묘사 나희덕의 「새는 날아가고」와 이수명의 「사과」에 등장하는 화자는 눈앞에 실재하는 사과를 적극적으로 관찰한다. 적극적 관찰이란, 돋보기나 현미경을 놓고 자세히 보는 시각적 관찰이 아니라 사과를 보고 만지고 잘라서 먹어보면서 체험하는 것이다. 사과는 붉은 빛, 달고 향기로운 맛, 단단하지만 쉽게 베어 물 수 있는 질감 등 다양한 감각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교ㆍ신화 속 사과는 오히려 부정적인 이미지로 그려진다. 2. 세잔의 '사과 그림 이야기'에 나타난 사...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