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디푸스 왕'을 통해 바라본 영화'하녀(1960)'의 메커니즘 분석
본 내용은
"
'오이디푸스 왕'을 통해 바라본 영화'하녀(1960)'의 메커니즘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6.09
문서 내 토픽
  • 1. 라캉의 '욕망 이론'
    라캉의 주체이론은 '거울 단계(le stade du miroir)'를 통해 설명된다. 거울 단계란 생후 6~18개월 된 어린아이가 거울로 자신의 이미지를 보면서 그것이 '나'임을 인식하고 자기 신체이미지를 획득해 가는 동일시의 경험을 의미한다. 거울 단계이전의 어린아이는 자신의 신체를 통일된 전체가 아닌 흩어진 어떤 것으로 경험한다. 이른바 산산이 '조각난 신체(le corpsmorcele)'로서 신체를 인식하다가 거울에 비친 신체 이미지와자기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서 '내'가 구조화되는 것이며 거울상에 대한 동일시를 통해 '자아'를 인지하게 되고 이것을 통하여 정체감을 획득한다는 것이다.
  • 2. 상상계
    상상계는 인간이 맨 처음 경험하는 단계로서 '거울 단계'라고도 부르는데, 인간 발달상에서의 이러한 단계는 아직 자아가 통합되고 조정되지 않은 유아가 거울에 반사된 자신의 육체이미지를 발견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아의 자기 인식은 근본적으로 왜곡되어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존재적주체인 '나(s)'와 인식되어지는 주체인 또 다른 '나(a)'는 근본적으로 '분리', '분열'되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3. 상징계
    상징계란 상상계의 상상적인 왜곡으로부터 상징적 의미로의 전이를 고착시키는 단계이다. '상상계'가 어머니와의 긴밀한 접촉과 거울을 통한 자신과의 '동일화'의 단계라면 '상징계'에서는 아버지를 통해 어머니와의 분리를 경험, 인식하게 되고'구별(차이)'을 통해 사회와 법, 언어를 습득하게 되는 시기이다.
  • 4. 실재계
    실재계는 상상계, 상징계와 연결된 제 3항으로서 상징계가 주체의 의미 세계인 현실로부터 배제한 부분이며 상징화를 벗어나는 모든 영역을 일컫는다. 실재계는 상징화에 절대적으로 거부하고 상징화가 되지 않은 상태이다. 일상 속에서 나타는환상, 주체 탄생 시 잃어버린 어떤 것, 언어적 질서로 표현하지 못하는 욕구의 찌꺼기, 하나 됨을 이루지 못하는 불가능한성관계 등 실재계는 상징화에 저항하고 기표들의 질서에 동화되지 않는 모든 질서라고 할 수 있다.
  • 5. '오이디푸스 왕'에서의 욕망
    오이디푸스 왕에서 욕망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캐릭터의 배경을 먼저 살펴보면,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을 한다는 신탁을 받고 신탁을 피하기 위해 고향을 떠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신탁은 절대자, 신 혹은 운명이 오이디푸스에게 그렇게 되길 바라는 것으로, 즉 욕망으로 바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오이디푸스는 라캉의 이론처럼 타인 여기서는 운명의 욕망에 의해 그것을 거부하고 싶은 자신의 의지가 생겼다. 그 의지가 오이디푸스의 욕망이 되어 오이디푸스를 움직이게 만든다.
  • 6. '하녀'에서의 욕망
    하녀가 동식의 집으로 들어가게 된다. 그것도 동식을 연모하는 또 다른 여직공인 '미스 김'(엄앵란)의 소개로 들어간 것이었고, 하녀는 미스 김을 흉내 내듯 행동하기 시작한다. 동식을 사모하는 미스 김처럼 하녀 역시 동식을 노리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처럼 하녀가 보여주는 욕망의 드라마도 특별해 보인다. 라캉의 이론처럼 욕망의 시작이 타인한테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하녀의 이상적인 자아에 대한 욕망은 타자의 욕망 속에서 형성되거나 모방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 7. 여주인의 욕망
    여주인의 이상적인 자아 역시 사회적인 관계 속에서 규정된다. 그녀가 그리는 이상적인 자아는 당시 관습적으로 가족관계에서 요구되는 아내의 이상적인 역할을 보여준다. 하녀와 여주인의 이상적인 자아에 대한 욕망은 가정 안이라는 한계에 봉착한다. 그들의 욕망은 자신의 삶의 주체로서 가지는 욕망과는 거리가 멀다.
  • 8. 남성의 욕망
    동식은 타 여성의 욕망으로부터 가정을 지키기 위해 욕망을 발현 하였다. 동식은 자신을 흠모하는 여성들 사이를 오가며 남성의 욕망을 보여준다.
  • 9. 욕망의 특징
    라캉은 인간의 욕망(desire)을 욕구(need)와 요구(demand)와 구분하였다. 욕구는 생리적인 성격을 가진 특정 대상을 겨냥한 것으로, 식욕, 성욕과 같은 1차적인 충동을 말하며, 이를 다른 사람에게 충족시켜달라는 요구(demand)로 표현한다. 하지만 이 요구는 사회적으로 허용된 범위 내에서만 들어줄 수가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용인의 범위를 벗어난 욕구는 받아들여질 수가 없다는 틈이 생긴다. 라캉은 이러한 욕구와 요구 사이에는 항상 틈이 생기고 이 틈이 결핍이자 욕망이라고 했다.
  • 10. 욕망의 환유
    인간은 욕망의 대상을 찾아 끊임없이 노력하지만 완벽히 충족시킬 수 없고 이로 인해 생긴 또 다른 결핍에 의해 새로운 욕망을 찾게 된다. 이것을 라캉은 욕망의 환유라고 불렀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라캉의 '욕망 이론'
    라캉의 '욕망 이론'은 정신분석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인간의 욕망이 어떻게 형성되고 작용하는지를 설명합니다. 라캉은 욕망이 단순히 생물학적 충동이 아니라 상징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에 따르면 욕망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며, 결국 주체의 정체성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기존의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확장하고 심화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닙니다. 라캉의 욕망 이론은 인간 주체에 대한 이해를 깊화하는 데 기여했으며, 현대 철학과 문화 연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 2. 상상계
    라캉의 상상계 개념은 주체 형성의 초기 단계를 설명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상상계는 자아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로, 이 과정에서 주체는 자신의 온전한 통일성을 환상적으로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아 이미지는 실제 자신과 일치하지 않으며, 결국 주체는 상징계로 진입하면서 자신의 결핍과 분열을 인식하게 됩니다. 상상계는 주체 형성의 출발점이자 근본적인 환상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주체성의 근원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3. 상징계
    상징계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에서 매우 핵심적인 개념입니다. 상징계는 언어와 문화의 체계로, 주체가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고 정체성을 구축하는 영역입니다. 주체는 상징계에 편입됨으로써 자신의 결핍과 분열을 인식하게 되며, 동시에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주체성을 형성해 나갑니다. 상징계는 주체에게 구속과 억압을 가하지만, 동시에 주체성 형성의 토대가 됩니다. 이러한 상징계의 양가적 성격은 인간 주체의 복잡한 구조를 잘 보여줍니다. 상징계에 대한 이해는 인간 주체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 4. 실재계
    실재계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실재계는 상징화될 수 없는 영역으로, 주체가 결코 완전히 접근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실재계는 주체에게 끊임없는 결핍과 욕망을 불러일으키지만, 동시에 주체성 형성의 근원이 되기도 합니다. 실재계는 상상계와 상징계를 초월하는 영역으로, 주체의 근본적인 존재론적 토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실재계에 대한 이해는 인간 주체의 복잡성과 한계를 보여줌으로써, 주체성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 5. '오이디푸스 왕'에서의 욕망
    라캉은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을 통해 욕망의 구조를 설명합니다. 오이디푸스의 욕망은 어머니에 대한 욕망이자 아버지에 대한 욕망입니다.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결혼하지만, 결국 자신의 욕망이 불가능한 것임을 깨닫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결핍과 분열을 인식하게 되며, 이는 주체 형성의 핵심적인 계기가 됩니다. 라캉은 이를 통해 욕망의 구조와 주체성 형성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 6. '하녀'에서의 욕망
    라캉은 장 질 고티에의 소설 '하녀'를 통해 욕망의 구조를 분석합니다. '하녀'에서 주인 부인의 욕망은 하녀 클레망스에 대한 욕망으로 표현됩니다. 부인은 클레망스에게 자신의 욕망을 투사하고, 클레망스를 통해 자신의 결핍을 보완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클레망스는 부인의 욕망을 거부하고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면서, 부인과의 갈등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욕망의 구조와 주체성의 문제가 드러납니다. 라캉은 이 작품을 통해 욕망이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주체성이 욕망의 구조에 의해 규정된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 7. 여주인의 욕망
    라캉의 관점에서 볼 때, 여주인의 욕망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주체성 구축의 핵심적인 계기가 됩니다. 여주인은 자신의 욕망을 하녀 클레망스에게 투사하고, 클레망스를 통해 자신의 결핍을 보완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클레망스가 부인의 욕망을 거부하면서 갈등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여주인의 욕망은 자신의 주체성 형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드러납니다. 라캉은 이를 통해 욕망이 주체성 구축의 핵심적인 요소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 8. 남성의 욕망
    라캉의 관점에서 볼 때, 남성의 욕망 또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됩니다. 남성은 자신의 욕망을 여성에게 투사하고, 여성을 통해 자신의 결핍을 보완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여성은 남성의 욕망을 거부하고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면서, 갈등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남성의 욕망은 자신의 주체성 형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이 드러납니다. 라캉은 이를 통해 욕망이 주체성 구축의 핵심적인 요소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남성의 욕망 또한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주체성 형성의 핵심적인 계기가 됩니다.
  • 9. 욕망의 특징
    라캉의 관점에서 볼 때, 욕망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것이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점입니다. 욕망은 단순한 생물학적 충동이 아니라 상징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주체성 형성의 핵심적인 계기가 됩니다. 또한 욕망은 결코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것으로, 주체에게 끊임없는 결핍과 분열을 야기합니다. 이러한 욕망의 특징은 인간 주체의 복잡성과 한계를 보여줍니다. 라캉은 욕망에 대한 이해를 통해 주체성 형성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 10. 욕망의 환유
    라캉의 관점에서 볼 때, 욕망의 환유는 주체성 형성의 핵심적인 메커니즘입니다. 환유란 한 대상을 다른 대상으로 대체하는 수사법으로, 라캉은 이를 통해 욕망이 끊임없이 다른 대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주체는 자신의 결핍을 보완하기 위해 끊임없이 다른 대상을 욕망하지만, 결국 그 대상 또한 만족스럽지 않습니다. 이러한 욕망의 환유 과정은 주체성 형성의 근본적인 구조를 보여줍니다. 라캉은 이를 통해 주체가 결코 완전한 존재가 될 수 없으며, 끊임없이 자신의 결핍을 보완하고자 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