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697개
-
세계 국가명과 지명의 한국식 표현2025.01.171. 국가명과 지명의 가차 표기 세계 국가명과 지명의 가차 표기는 여섯 가지 방법에 따라 만들어졌다. 이 중 가차(假借)는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다른 글자를 빌려 쓰는 방법이다. 우리나라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원지음을 따르는 것이 원칙이지만,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가차 표기도 인정된다. 이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세계 국가명과 지명의 가차 표기를 정리하였다. 이 중 '북미, 남미, 구라파' 등은 원지음보다 더 일반화된 경우이다. 장기적으로는 원지음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가차 표기가 더 익숙하고 혼...2025.01.17
-
헥셔-오린 정리의 개념, 제1명제와 제2명제의 내용2025.01.271. 헥셔-오린 정리의 개요 리카도의 비교생산비이론은 무역의 발생 원인을 노동생산성의 상대적인 격차에서 찾았는데, 그는 비교생산비의 국가 간 격차가 무엇 때문에 발생하는지 그 원인을 밝히지 못하고 기후조건차이 때문이라는 불명확한 답변으로 해명하였다. 따라서 리카도가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한 비교생산비격차 발생 원인을 핵셔(E. F. Heckscher)는 1919년 그의 논문 '무역이 소득분배에 미치는 영향'에서 밝히기 위한 시도를 하였고, 그 후 그의 제자 오린(B. 0닌n)이 더욱 체계화시켰다. 오린은 1993년 '지역 및 국제무역...2025.01.27
-
우리나라는 OECD 최저 수준의 출산율을 보이고 있다. 출산율이 낮은 이유와 출산율을 높이는 방안2025.05.041. 우리나라의 출산율 문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18년 0.98명으로 1명 이하로 하락한 이후에도 하락세를 지속하여, 2020년에는 0.84명으로 나타났다. 1970년에 4.53명, 1980년 2.82명, 1990년 1.57명, 2000년 1.47명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합계출산율은 2005년 1.08명으로 저점을 찍은 후 1.2명 내외에서 횡보를 지속하다가, 2018년에 드디어 1명 이하로 떨어진 것이다. 우리나라는 출산율을 제고하기 위해 2006년부터 5개년 계획으로 2020년까지 3차에 걸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실...2025.05.04
-
국가별 질병유병률에 대해 분석 _결핵2025.05.131. 대한민국의 보건의료 수준 대한민국의 보건의료체계는 자유방임형/복지지향형으로 정부의 통제가 극히 제한된 상태이며, 국민건강보험제도가 정착되어 있다. 의료의 자유 선택과 책임을 강조하며 행위별수가제를 채택하고 있다. 기대수명은 남성 79.7세, 여성 85.7세이며, 65세까지의 생존율은 남성 88.0명, 여성 95.1명당이다. 1인당 의료비는 2,980.2달러이며, 총 의료비 중 본인 부담금 비중은 33.7%이다. 의사 수는 1,000명당 2.4명, 간호사 수는 7.3명이다. 2. 북한의 보건의료 수준 북한의 보건의료체계는 사회주...2025.05.13
-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한 결핵 보고서2025.05.081. 결핵의 역사 대한민국에서 결핵의 역사는 일제 식민시대까지 올라가지만, 통계의 왜곡과 부정확함으로 인해 본격적인 결핵에 관한 통계는 해방 이후부터 찾을 수 있다. 해방 이후에 약 100만 명 이상이 결핵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3000-4000명이 매년 결핵으로 사망했다. 이로 인해 '결핵'은 해방 직후 50년대를 대표하는 단어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2. 결핵 발생률 및 사망률 민간의 노력과 국가 주도의 의료서비스 제공(보건소와 예방접종)이 자리잡으면서 결핵 발생률은 현저히 줄었으나, 2015년 기준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2025.05.08
-
한국국가인원위원회의 현재 위상과 조직 구성 및 지난 2008년에서 2013년 이명박 정부에서 문제되었던 국가위원회의 실태2025.01.201. 국가인권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는 1993년 6월 비엔나 세계인권회의 참여한 한국민간단체 공동대책위원회가 처음으로 정부에 국가인권기구 설치를 요구하면서 시작되었다. 1997년 12월 김대중 대통령 후보 시절 '인권법 제정 및 국민인권위원회 설립'을 공약으로 발표하였고, 대통령이 된 후 이를 시행하여 2001년 5월 국가인권위원회법이 제정되어 국가인권위원회가 공식적으로 출범하게 되었다. 2. 국가인권위원회의 위상과 조직 구성 국가인권위원회의 설립목적은 모든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보호하고 그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인간...2025.01.20
-
20세기 초 스페인 독감과 현재 COVID-19 대유행의 차이2025.01.261. 스페인 독감 스페인 독감은 1918년에 발생한 바이러스로, 제1차 세계대전 당시 급격하게 확산되었다. 당시 생물학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바이러스의 원인을 밝히거나 백신을 개발하기 어려웠으며, 위생관념도 부족했기 때문에 사망자 수가 크게 증가했다. 스페인 독감의 확진자 수는 약 5억 명으로 추정되며, 사망자 수는 최소 2,500만 명에서 최대 1억 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2. COVID-19 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바이러스로, 빠르게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각국 정부는 국경 폐쇄, 도...2025.01.26
-
우리나라 재외동포정책에 대해 설명하시오2025.01.161. 재외동포 현황 현재 전 세계 재외동포 수는 약 708만 명으로 알려져 있고, 재외동포 중 외국 국적자(시민권자 포함)는 약 460만 명이고 재외국민은 약 248만 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국가별(대륙별) 우리나라 재외동포 수는 일본 80만 명, 중국 210만 명, 미국 261만 명, 캐나다 24만 명, 중남미 10만 명, 유럽 65만 명, 아프리카 1만 명 등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2. 재외동포정책의 목표 우리나라의 재외동포정책은 재외동포들이 한민족이라는 유대감을 유지하면서 거주국 사회의 모범적인 구성원으로 살아감에 ...2025.01.16
-
한국의 주요 사망 지표 현황 및 분석2025.04.271. 사망률 한국의 2021년 사망 통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사망자 수는 317,680명으로 전년 대비 4.2%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조사망률은 618.9명으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연령별로는 80세 이상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였으며, 성별로는 남자의 사망률이 여자보다 높았다. 주요 사망 원인은 암, 심장질환, 폐렴 등이었고, 자살률도 증가 추세를 보였다. 특히 10대와 20대의 자살률이 크게 늘어나 정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사망도 10대 사망 원인 중 하...2025.04.27
-
간호사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법규와 보건의료정책 리포트2025.05.031. 결핵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에 의한 만성 감염병으로 주로 폐에 감염을 일으켜 폐결핵이 결핵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신장, 신경, 뼈 등 우리 몸 속 거의 대부분의 조직이나 장기에서 병을 일으킬 수 있다. 결핵은 주로 활동성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결핵균이 포함된 미세한 침방울에 의해 감염된다. 2020년 전 세계(215개국) 결핵 현황은 987만명으로 1위는 레소토(650명), 2위는 남아프리카공화국(554명), 3위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540명), 6위는 북한(523명)이며,...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