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개
-
[역사교육과] 소논문 발제 <통감부 시기 세계사 교과서 <정선만국사>의 근세사 서술 분석>2025.01.121. 역사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역사교육에 발을 내딛고 이 분야를 탐색하면서 가장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였다. 역사학에서 출발한 풋내기 연구자의 눈으로는 교과서 내용과 서술이 정확한지, 어떤 내용이 얼마만큼의 분량으로 서술되었는지, 교과서가 특정 시기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또 최근 학계의 성과와 동향은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수많은 연구들의 의의와 효용을 찾기 힘들었다. 그렇게 많은 지적과 제언에도 여전히 현 시점에서 오류투성이라는 연구결과들은 그 회의감을 더하게 했다. 도대체 왜? 무엇을 위해서?...2025.01.12
-
동국사략의 종류2025.05.041. 동국사략의 종류 고려시대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동국사략에는 조선 태종때 편찬된 동국사략, 박상이 지은 동국사략,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이 있습니다. 이외에 조선전기에 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과 민제인이 지은 동국사략도 있습니다. 현채가 지은 동국사략은 근대에 역사 교과서로 많이 활용되었고, 유희령이 지은 동국사략은 표제음주동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2.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 조선 태종의 명에 따라 권근, 이첨, 하륜 등이 지은 동국사략은 우리나라 최초의 통사라고도 할 수 있는데, 단군 때부터 고려 말기까지의 사실을 ...2025.05.04
-
역사에 대한 서적2025.01.131. 삼국시대 역사서 삼국시대에 편찬된 역사서로는 신라시대 거칠부가 편찬한 국사, 고구려 시대의 역사서인 유기와 신집, 백제도 근초고왕시기에 편찬한 서기 등이 있다. 이들 역사서는 각 나라의 전성기에 편찬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2. 고려시대 역사서 고려시대에는 왕조실록을 편찬하였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 후기에 이제현도 많은 역사서를 편찬하였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 인종시기에 김부식 등이 삼국사기를 편찬하였고, 고려 후기 충렬왕 시기에 일연이 삼국유사를,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다. 3. 조선...2025.01.13
-
고려와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2025.01.181. 고려와 조선시대 역사서 고려와 조선시대에 편찬된 주요 역사서로는 삼국사기, 삼국유사, 동국통감, 동국사략,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사강목, 발해고, 해동역사 등이 있습니다. 이 역사서들은 각각 고대부터 근세까지의 한반도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기전체, 사찬, 관찬 등 다양한 형태로 편찬되었습니다. 2.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삼국사기는 본기와 열전 중심의 기전체 역사서로, 삼국시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삼국유사는 역사적 내용과 불교적 내용을 함께 담고 있는 역사서입니다. 3.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권근, 박상, 현채 등이 ...2025.01.18
-
[KMOOC] 역사와 자연 생태로 알아보는 독도이야기 퀴즈 족보2025.05.141. 독도의 역사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울릉도와 독도가 강원도 울진현 소속으로 명기되어 있다. 일본 정부가 독도를 다케시마라는 이름으로 편입한 것은 1905년이다. 우리나라가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확립한 것은 15세기 중반이다. 삼국사기에는 울릉도 지방을 우산국으로 인식하고, 울릉도와 독도를 명확하게 분리하고 있으며, 독도에 대한 지리적인 인식도 나타나 있다. 1906년에 시마네현의 조사단으로부터 일본의 독도편입 사실을 듣고 대한제국 정부에 보고한 울도군수는 이규원이다. 지증왕 13년에 독도는 울릉도의 부속도서로 신라의 영토가 되어서 ...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