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13개
-
기전체 역사서인 고려사2025.01.241. 기전체 역사서 기전체 역사서는 본기와 열전을 중심으로 하여 서술한 역사서를 말합니다. 기전체 역사서의 효시는 한나라 시대에 사마천이 지은 역사서인 사기입니다. 기전체는 인물중심의 역사서라고 할 수가 있는데 인물을 다룬 부분인 열전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고려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전체 역사서로는 고려시대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인 고려사가 있습니다. 고려사는 모두 139권으로 되어 있으며, 세가, 지, 표, 열전, 목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려사의 지에서는 천문, 역, 오행, 지리, 예, 악, 여복, 선거...2025.01.24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2025.05.121. 조선시대 관찬 역사서 조선시대에 편찬된 관찬 역사서에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가 있습니다. 고려국사는 조선 태조 시기에 정도전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역사서로,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을 합리화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고려사는 세종 시기에 편찬된 기전체 역사서이며, 고려사절요는 고려사를 편년체 형식으로 다시 편집한 것입니다. 2. 고려사 고려사는 정인지 등이 조선 문종 원년에 간행한 역사서입니다. 고려사는 기전체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가 46권, 지 39권, 표 2권, 열전 50권 등 총 139권으로...2025.05.12
-
조선시대에 편찬된 관찬 역사서2025.05.031. 동국통감 동국통감은 성종때에 서거정 등이 왕명을 받고 편찬한 역사서로, 고대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하였습니다. 동국통감은 단군조선과 기자조선, 위만조선, 한사군 등의 외기(外紀)와 삼국의 건국부터 통일까지의 삼국기, 통일신라의 신라기, 고려 태조부터 고려 말까지의 고려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조선 태종때에 권근, 이첨, 하륜 등이 편찬한 역사서로, 단군조선의 역사를 시작으로 하여 고려 후기까지의 역사를 요약적으로 서술하였습니다. 3.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고려사는 세종때에 완성되어 문종때...2025.05.03
-
조선시기의 역사서2025.01.121. 동국사략 동국사략은 조선 전기에 이전 시대의 역사를 정리하고 통치 이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나온 관찬 사서입니다. 태종 시기에 하윤을 비롯하여 권근, 이첨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고, 편찬을 시작한 이듬해에 완성하였습니다. 동국사략은 성리학적 기준에 의한 편년체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사건의 경중에 따라 기록 형식을 달리하는 강목체(綱目體)를 첨가하였습니다. 동국사략에서는 단군조선부터 삼한까지는 '외기(外紀)'로 간략히 처리하고, 삼국을 중심으로 서술하였기 때문에 삼국사략이라고도 합니다. 2. 고려사절요와 동국통감 고려사절요...2025.01.12
-
조선시대의 지리서적과 역사서적2025.01.191. 조선시대 지리서적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지리서적이 편찬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지리서적으로는 동국여지승람, 진포강리, 몽구강간 등이 있습니다. 이들 지리서적은 국가 행정, 세금 징수, 경제 개발 등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했으며, 지리적,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제공하여 교육적 가치도 있었습니다. 현대에는 이들 지리서적이 역사 연구와 문화적 유산 보존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몽구강간 몽구강간은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조선시대의 지리서적입니다. 이 책은 조선의 다양한 지역에 대한 지리적 정보와 역사적 사실을 ...2025.01.19
-
우리나라의 주요 역사서2025.01.131.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한반도의 삼국 시대인 고구려, 백제, 신라의 역사를 기록한 한국의 역사서입니다. 이 책은 당시의 사료와 기록을 기반으로 편찬되었으며, 그 신빙성과 역사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삼국사기는 삼국 시대의 정치, 사회, 문화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2.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시대에 쓰여진 삼국 시대의 역사와 전설을 담은 책입니다. 이 책은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의 삼국 시대 역사와 함께 전설과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어, 삼국 시대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2025.01.13
-
우리나라 역사서2025.01.051. 동국통감 동국통감은 외기(外紀), 삼국기(三國紀), 신라기, 고려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전에 편찬된 삼국사절요와 고려사절요를 기반으로 하여 편찬되었으며, 번잡한 내용을 삭제하고 오류를 수정하려는 노력이 있었습니다. 동국통감은 고려 후기부터 나타난 고대사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단군조선부터 삼한까지의 고대시기 역사를 서술하였습니다. 삼국기와 신라기에서는 어느 한 나라를 정통으로 내세우지 않고 대등하게 서술하였으며, 통일신라를 분리하여 신라기를 구성하였습니다. 고려기는 고려사절요의 체제와 내용을 따르고 있으며, 918년의 고려...2025.01.05
-
조선시대에 편찬된 역사서2025.01.061. 조선시대 역사서 편찬 조선시대에는 관찬 역사서와 사찬 역사서가 편찬되었습니다. 관찬 역사서로는 동국통감, 고려국사,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등이 있으며, 사찬 역사서로는 해동역사, 동국사략, 동사강목, 발해고 등이 있습니다. 조선 전기에는 주로 관찬 역사서가 편찬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개인이 편찬한 사찬 역사서가 많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2. 고려시대 역사 정리 조선은 새로운 왕조를 연 후 고려시대 역사에 대한 정리 사업을 가장 먼저 하게 됩니다. 정도전이 고려국사를 편찬하여 고려시대 역사를 정리하고 조선왕조 건국의 정당성을 확보...2025.01.06
-
고려 초창기의 역사2025.01.281. 고려 건국과 왕건의 조상 고려는 왕건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왕건의 아버지는 왕륭, 할아버지는 작제건입니다. 작제건 설화는 고려사의 고려세계에 잘 나와 있으며, 삼국유사의 거타지 설화와 유사한 점이 많습니다. 2. 고려사의 구성 고려시대의 역사를 다룬 기전체 역사서인 고려사는 진고려사전, 고려세계, 세가, 지, 연표, 열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열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가는 고려왕조의 왕가를 중국 제후국의 왕가로 강등시켰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습니다. 3. 현종의 맏아들 덕종 현종의 맏아들인 덕종은 거란의...2025.01.28
-
역사에 대한 서적2025.01.131. 삼국시대 역사서 삼국시대에 편찬된 역사서로는 신라시대 거칠부가 편찬한 국사, 고구려 시대의 역사서인 유기와 신집, 백제도 근초고왕시기에 편찬한 서기 등이 있다. 이들 역사서는 각 나라의 전성기에 편찬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2. 고려시대 역사서 고려시대에는 왕조실록을 편찬하였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 후기에 이제현도 많은 역사서를 편찬하였지만 현재 전하지 않는다. 고려 인종시기에 김부식 등이 삼국사기를 편찬하였고, 고려 후기 충렬왕 시기에 일연이 삼국유사를,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다. 3. 조선...2025.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