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역사서
문서 내 토픽
  • 1. 동국통감
    동국통감은 외기(外紀), 삼국기(三國紀), 신라기, 고려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전에 편찬된 삼국사절요와 고려사절요를 기반으로 하여 편찬되었으며, 번잡한 내용을 삭제하고 오류를 수정하려는 노력이 있었습니다. 동국통감은 고려 후기부터 나타난 고대사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여 단군조선부터 삼한까지의 고대시기 역사를 서술하였습니다. 삼국기와 신라기에서는 어느 한 나라를 정통으로 내세우지 않고 대등하게 서술하였으며, 통일신라를 분리하여 신라기를 구성하였습니다. 고려기는 고려사절요의 체제와 내용을 따르고 있으며, 918년의 고려 건국보다는 고려의 민족재통일을 강조하였습니다.
  • 2. 편년강목
    편년강목은 고려 충숙왕 때 관리 민지가 고려 국가를 세운 왕건의 조상 때로부터 13세기 중엽 고종 때까지의 역사를 쓴 역사서입니다. 총 42권의 역사서로, 고려사를 편찬할 때 많이 인용되었습니다. 1317년에 저술되었으나 1346년에 누락된 부분이 많아 부원군 이제현 등이 중수하였습니다.
  • 3. 고려사
    고려시대의 역사를 기술한 역사서인 고려사는 세가, 열전, 지, 표, 열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군주 중심의 역사인식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열전은 고려사 전체의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신하들의 내용 외에 왕실관계 인물들의 열전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동국통감
    동국통감은 고려시대 역사를 기록한 대표적인 역사서입니다. 이 책은 고려 건국 이후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려 전기의 역사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고려 초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또한 고려와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도 잘 기록되어 있어 당시의 국제 정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려 말기의 역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략한 편이라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국통감은 고려시대 역사 연구의 기본 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 역사 이해에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 2. 편년강목
    편년강목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역사를 연대순으로 정리한 역사서입니다. 이 책은 역대 왕조의 주요 사건과 인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있어 한국 역사 전반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자료입니다. 특히 고려와 조선 시대의 역사를 연결하여 설명하고 있어 두 왕조의 연속성과 변화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시대의 주요 사건과 인물에 대한 평가와 해석을 제시하고 있어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기록의 정확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다른 사료와의 비교 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편년강목은 한국 역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본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3. 고려사
    고려사는 고려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 대표적인 역사서입니다. 이 책은 고려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고려 시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려의 대외 관계, 불교와 유교의 영향, 문화적 성과 등을 잘 보여주고 있어 고려 시대 역사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고려 말기의 정치적 혼란과 멸망 과정도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고려 왕조의 흥망성쇠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기록
우리나라 역사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9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