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개
-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종류와 감염관리 방법2025.05.161. MRSA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알균) MRSA(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aureus)는 메티실린(Oxacilline)이나 베타락탐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황색 포도알균으로, 1961년 영국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MRSA는 mecA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PBP2a 단백을 만들어 베타락타메제에 안정한 항균제에 내성을 나타낸다. 국내에서는 1976년 5% 정도였던 MRSA 비율이 1990년대 초부터 60~70%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환자실에서는 95.7%가 MRSA로 나타났다. 2. V...2025.05.16
-
다제내성 원내 감염균의 정의, 발생원인 및 치료관리2025.11.171. 항생제 내성의 개념 및 메커니즘 항생제는 병원균을 죽이거나 번식을 억제하는 약물이며, 내성은 병균이 항생제의 공격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장기간 노출 시 미생물은 저항 능력을 갖추게 되고, 균의 유전적 변이와 플라스미드를 통한 수평적 유전자 이동이 다제내성의 주요 메커니즘이다. 세균이 항생제 내성을 획득하는 기전은 항균제 불활성화, 표적 변화, 대체효소 생산, 투과성 저하, 항균제 배출의 5가지로 분류된다. 2. 다제내성균의 분류 및 국내 법정감염병 다제내성균은 항생제 내성 범위에 따라 MDR...2025.11.17
-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 간호 케이스 스터디2025.11.131.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유전적 요인, 방사선 조사, 화학약품 노출, 항암 화학요법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원인들은 암유전자 또는 인접 부위의 유전자에 이상 변화를 일으켜 암유전자가 활성화되고 백혈병 세포가 과증식되어 정상세포의 기능을 방해한다. 조혈모세포 이식 후 생착 실패 시 호중구 감소증이 지속되어 다양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2. 조혈모세포이식과 HLA 적합성 비혈연간 조혈모세포이식은 HLA 적합성이 중요하며, HLA-A, -B, -C, DRB1, -DQB1 유전자위의 분석...202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