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9개
-
성인간호학 대장용종 케이스2025.01.241. 대장(Large intestine) 대장은 소화기 중에 마지막에 위치하며 1.5미터 길이의 관 모양의 장기이다. 대장은 소장의 끝부분인 골반의 오른쪽 장골에서 시작되어 위로 올라가 상복부를 가로지르고 왼쪽 복부를 따라 아래로 내려가 직장을 통해 항문으로 연결된 모양을 하고 있다. 대장은 막창자, 결장, 직장으로 구분되며, 대장벽은 점막, 점막 하 조직, 근육층, 장막의 4층으로 나누어진다. 2. 막창자(맹장) 막창자(맹장)은 소장의 마지막 부분과 상행결장이 연결되는 부위로 끝에는 막창자꼬리(충수돌기)가 있다. 막창자는 음식물을...2025.01.24
-
drain종류와 간호2025.01.121. 결장루 대장의 종양이나 외상, 염증성 질환, 선천성기형 등으로 정상적인 배변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방법으로 복부표면에 장을 노출시켜 변을 배설하기 위해 만든 주머니이다. 일시적인 결장술, 영구적인 결장술, 단일원통, 이중원통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피부 간호와 결장루 세척 등의 간호가 필요하다. 1. 결장루 결장루는 장 질환이나 암으로 인해 장의 일부를 제거하고 복벽에 인공 항문을 만드는 수술 방법입니다. 이는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배변 기능의 변화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어려움이 발...2025.01.12
-
기본간호학 요약 과제 배변2025.01.221. 소화기계 소화기계는 입에서부터 항문에 이르는 약 7m 이상의 긴 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변은 이 중 대장과 항문에서 주로 이루어집니다. 대장은 신체의 우하복부의 회맹판에서 항문까지 이르는 길이 1.5~1.8m, 직경 2.5~7.5m로 맹장, 결장, 직장, 항문관 순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장의 주요 기능은 영양소와 수분 재흡수, 장을 보호하는 점액 분비, 변 배설입니다. 2. 대장의 구조와 기능 대장은 작은창자와 달리 창자벽이 두꺼우며, 잘록창자띠, 잘록창자팽대, 복막주렁 등의 육안적 특징이 있습니다. 대장의 점막에는 융모...2025.01.22
-
게실염 케이스 -A+나오고 꼼꼼하게 피드백 받고 수정했습니다.2025.05.021. 게실염 게실염은 식도, 위, 소장, 대장의 약해진 장벽이 늘어나 생기는 꽈리 모양의 주머니를 말한다. 대부분 대장에 생기고, 대장 중에서도 특히 우측 결장에 잘 생긴다. 변비 등으로 인한 대장의 과도한 수축작용 때문에 대장 내의 압력이 증가하고 대장 벽이 약해진 부분에 주머니처럼 부풀어 생기거나, 장점막이 탈출하여 게실이 생기는 경우도 많다. 게실염은 복통, 배변 습관의 변화, 오한, 발열 등을 호소하며 염증의 정도에 따라서 증상이 심해진다. 진단은 CT, 대장내시경 등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치료는 감염과 염증을 조절하기 위...2025.05.02
-
glycerin enema 정의 및 목적, 필요 물품, 준비사항, 시행방법2025.01.241. glycerin enema glycerin enema는 항문을 통해 직장과 결장으로 50% 글리세린액 50~100mL를 주입하여 장벽을 자극하여 연동운동을 일으켜 배변을 촉진시키는 관장법입니다. 주요 목적은 변비나 분변매복으로 인한 배출, 수술이나 검사를 위한 장 비우기, 수술이나 분만 시 배변으로 인한 오염 방지, 체온 하강, 진단검사 전후 용액 제거, 배변훈련 등입니다. 2. 필요 장비 및 물품 glycerin enema를 시행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 및 물품은 환자 팔찌, 글리세린 관장액, 미온수, 50ml 관장용 주사기,...2025.01.24
-
병리학(순환기계, 호흡기계, 소화기계) 150문제 (답지)2025.01.141. 구강 구강은 입술, 볼, 구개, 혀, 치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혀에는 약 3000개의 맛봉오리가 존재하며, 치아는 상아질, 에나멜질, 시멘트질로 구성됩니다. 구강의 주요 질환에는 치아우식, 치주질환, 구내염, 백반증 등이 있습니다. 2. 위 위는 급성위염, 만성위염, 위축성위염, 장상파화생 등의 질환이 있습니다. 만성위염의 주요 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며, 위궤양은 원형 또는 타원형 모양, 만성적인 통증, 천공 형성 등의 특징이 있습니다. 3. 소장 소장은 심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폐쇄증,...2025.01.14
-
소화기계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2025.05.161. 소화기계 해부학적 구조 소화기계는 입에서부터 항문까지 연속되는 근육성 관으로, 입안, 인두, 식도, 위,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대장(맹장, 충수, 결장, 직장), 항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화기계의 주요 기능은 섭취, 운동, 분비, 소화, 흡수, 배설이다. 2. 입안(구강)의 구조와 기능 입안에는 28개의 치아와 2쌍의 사랑니가 있으며, 구강 상부는 연구개와 경구개, 구강 저부는 혀, 근육, 3쌍의 침샘(설하선, 이하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안에서는 타액 분비, 기계적 소화, 화학적 소화, 구음작용, 미각작용이 이...2025.05.16
-
대장암2025.05.021. 대장암 개요 대장암(Colorectal cancer, CRC)은 대장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암으로,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암과 직장암으로 분류된다. 대장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률이 높아지며 주로 50세 이상에서 많고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식생활이 서구화됨에 따라 대장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전체 암의 14.3%를 차지한다. 2. 대장암 병태생리 대장암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창자조직이 치유 및 교체되는 과정에서 자연적인 돌연변이에 의하여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2025.05.02
-
기본간호학-배변2025.05.011. 음식물의 소화관 통과시간 삼켜서 위까지 6초, 소장까지 5분~6시간, 대장까지 4~15시간, 배설까지 24~72시간이 소요된다. 고형물은 0.5초~1분 정도 소요된다. 2. 대장(large intestine) 회맹부 판막에서 항문까지 약 125~150cm 길이이며, 3가지 운동유형인 팽대교우, 결장연동, 집단연동이 있다. 하루 약 1,500mL의 유미즙이 통과하며 대부분은 결장에서 재흡수되고 100mL 정도가 대변으로 배설된다. 3. 직장 rectum 직장 길이는 보통 10~15cm이며, 항문관(anal canal)은 직장의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