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개
-
판넨베르크의 기독론2025.01.141. 판넨베르크의 신학적 배경 판넨베르크의 신학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들로는 칼 바르트, 게르하르트 폰 라드, 그리고 판넨베르크 서클 구성원들이 있다. 바르트의 계시 개념과 폰 라드의 역사 이해, 그리고 판넨베르크 서클에서의 토론과 연구가 그의 신학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판넨베르크 기독론의 특징 판넨베르크 기독론의 핵심은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이다. 그는 예수를 신으로부터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건 속의 인간 예수로부터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전통적 기독론의 양성론 문제와 역사적 예수 문제를 해결...2025.01.14
-
초대교회 발생한 기독론을 둘러싼 논쟁의 주요 쟁점과 에베소 공의회와 칼케돈 공의회를 통한 정통 기독론의 확립2025.01.281. 초대교회 기독론 논쟁의 주요 쟁점 초대교회에서 기독론 논쟁의 주요 쟁점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관계였습니다. 신성을 강조한 입장과 인성을 강조한 입장이 대립했고, 아리우스주의와 네스토리우스주의 등의 이단적 주장이 교회 내 분열을 초래했습니다. 또한 단성론과 단의론 등 예수의 본성과 의지에 대한 논쟁도 있었습니다. 2. 에베소 공의회를 통한 기독론 논쟁 해결 에베소 공의회(431년)는 네스토리우스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마리아를 '하나님을 낳은 자(Theotokos)'로 선언하며 예수의 신성과 인성의 통일성을 강조했습...2025.01.28
-
신약성경의 통일성과 다양성2025.05.111. 신약성경의 통일성과 다양성 신약성경은 여러 시대에 걸쳐서 서로 다른 독자들을 대상으로 최소 8명의 저자들에 의해 기록된 27권의 책이다. 신약성경의 내용들은 다양한 장르와 문학 형태들로 전하고 있다. 또한 지난 2세기 동안 합리주의와 비평학이 대두되면서 성경을 역사적 해석에 의해서 특수한 상황 속에서 인간 저자에 의해 기록된 책으로 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신약성경 안에서의 통일성과 다양성의 문제가 제시되었다. 예를 들면, 마태복음과 야고보서는 전통적 유대 기독교인의 관점을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야고보는 믿음에 ...2025.05.11